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Articl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5, No. 5, pp.257-285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1
Received 09 Apr 2021 Accepted 15 Sep 2021 Revised 28 Sep 2021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21.65.5.007

방송 연출직 종사자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사에 관한 연구 : 2차 노동시장 연출직을 중심으로

정윤경** ; 채정화*** ; 송진****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ykchung@sch.ac.kr
***서강대학교 ICT법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 angelcjh95@naver.com
****한국콘텐츠진흥원 책임연구원 gsong@kocca.k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V Producers in the Secondary Labor Market
Yoon Kyung Chung** ; Jung-Hwa Chae*** ; Gin Song****
**Professor, Dept. of Media Communic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lead-author ykchung@sch.ac.kr
***Senior Researcher, Sogang University ICT Law & Economy Institute, co-author angelcjh95@naver.com
****Senior Researcher,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corresponding author gsong@kocca.kr

초록

본 연구에서는 2차 노동시장의 연출직이 증가하는 현실에 주목, 이들의 직무 만족도 및 이직 결정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9년 방송제작 노동환경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 270명의 연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물리적 환경 만족도에는 노동시간과 경력이, 발전 가능성 만족도와 고용안정 만족도에는 경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송계 이직의사에는 물리적 환경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범미디어계 이직의사에는 발전 가능성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작에 대한 열정으로 열약한 노동 환경에 뛰어든 신규 연출직들이 연차가 높아질수록 고용불안과 미래에 대한 회의를 지니게 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이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이 창작인, 직업인으로서 의미와 가치를 회복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중견 연출직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지원책 모색이 시급하다.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V producers in the secondary labor market, as a growing population of this sector needs academic attention. Utilizing raw data from the <2019 Survey on Working Environment of Broadcasting Production>, we examin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270 producers in the secondary market. The findings show that physical environment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length of working hours and career, while the latter influences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and job security satisfaction. We also find that physical environment satisfaction affects the turnover intention from the broadcasting industry, yet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explains the turnover intention from the media industry the most. Results suggest that enthusiastic young producers are becoming skeptical about their jobs and future after having experienced sterile working conditions, which ultimately lead to job turnovers. Public policy interventions are urgently required for secondary market producers to work with pride as professionals and creators. Policies that can improve job security should also be required for middle-career workers to work in a stable environment.

Keywords:

TV producers, broadcasting production, secondary sector in dual labor market,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키워드:

방송 연출직 종사자, 2차 노동시장, 직무 만족도, 이직 의사

Acknowledgment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fund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CCA 19-61, 2019 Survey on Working Environment of Broadcasting Production). (본 연구는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재원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위탁을 받아 수행된 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였음. KOCCA 19-61, 2019 방송제작 노동환경 실태조사)

References

  • Cho, J. (2019). Investigation of determinants of journalists’ intention to leav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3(4), 83-119.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4.003]
  • Choi, H. (2012). Determining factors of television screenwriter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2(2), 572-602.
  • Eun, S. (2008). Non-regular worker policy: complacent perception and helpless response. In Socioeconomic Research Society on the Korean Peninsula(ed.), Frustration in the Roh Moo-Hyun Era: A Critical Diagnosis for Reconstruction of Progress(pp.139-151). Seoul: Chanbi Publishers.
  • Gang, J. & Lee, G. (2012).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Art·Culture TV Program Producers : A Case Study of EBS <Culture Empath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6(4), 339-364.
  • Jang, H. & Jang, H., & Kim, C (2010). Impacts of newspaper contents producers' role stress and burnout on their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0), 209-218. [https://doi.org/10.5392/JKCA.10.10.209]
  • Jung, Y. & Oh, M. (2015). A study about the perceived burnout among broadcasting people in Korea : Focused on differences by socio-demographic attribute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9(1), 216-241.
  • Jung, E. (2007). Firm size or work arrangements?: the determinants of labor market inequality in Korea. Economy and Society. 73, 332-355.
  • Jung, J. & Kim, Y. (2011). Causes and consequences of burnout of newspaper firms' employees : Comparison between reporters and non-reporting staff memb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2), 252-276.
  • Lee, Y. (2004). A review on the use of job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s and statistical methods in empirical researches.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2(3), 33-85.
  • Kim, D. (2009). Predictors of Job Burnout in Korean Broadcasting Journalist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3(1), 7-49.
  • Kim, D. (2010). The formation of irregular employees in Korea broadcasting industry : the rising of broadcasting capital through reconstitution of the class relation, Doctoral dissert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im, S. (2005). The Reality of Journalistic Labor and Identity of Local Journalist,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5(2), 104-140.
  • Kim, B. & Kim, K. (2011). Study on Changes in the Employment Structure of TV Production Staffs in South Korea : focused on the Labor transfer and temporary employment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1(2), 28-68.
  • Kim, M & Lee, K. (2013). A Qualitative Analysis of Television Drama Writers' Lived Experiences, Identities, and Work Conditions, Media & Society, 21(3), 5-63.
  • Kim, M & Hong, J. (2016). The Study about TV Drama Writers : Focusing on the Conflict and Compromises during theProcess of Producing TV Drama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0(4), 41-82.
  • Kim, S. & Jung, H. (2007). A Study on the Role Orientation of Local Journalist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1(4), 136-154.
  • Kim, H. (2005). The Cultural Industry and Gendered Labor: With an emphasis on women writers in the television program broadcast industry,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1(2), 69-103.
  •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20). A Study on the Status and Support Plan of Employment/Career Management of Broadcast Production Freelancer.
  • Korea Press Foundation (2019). 2019 A survey on the consciousness of press audiences.
  • Lee, K. & Hwang, K. (2016). Situating the complex social functions of a well-known investigative program <the unanswered> through a textual and production analysi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75, 83-144.
  • Lee, S. & Hong, N. (2020). Precarious youth in the media industry :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youth workers in the media industr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101, 113-152. [https://doi.org/10.46407/kjci.2020.06.101.113]
  • Lee, S., Lee, J. & Kim, J. (2013). Job recognition and work experiences of temporary workers in the major over-the-air broadcasting companies: Focusing on the in-depth interviews of floor directors. Broadcasting & Communication, 14(2), 157-206.
  • Lee, Y. & Kim, J. (2009). Knowledge journalism and television culture: Focusing on the <Knowledge Channel e>. Studies of Broadcasting Culture, 21(2), 49-80.
  • Lee, E. (2019). Gender difference in the wage gap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labor market. Gender and Culture, 12(1), 81-110. [https://doi.org/10.20992/gc.2019.06.12.1.81]
  • Lee, J. (2019).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mong newspaper, broadcasting, and internet media journalists - with a focus on the data of the 13th survey on reporters consciousness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35(1), 1-22. [https://doi.org/10.18859/ssrr.2019.2.35.1.1]
  • Lee, C. (2009). Labor conditions of temporary workers in broadcasting industry: labor market structure and customary rules of employment. Democracy & Policy Studies. 15, 273-310.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0). 2009 Culture industry statistics.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0). 2019 Contents industry statistics.
  •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09). 2020 Broadcasting Industry statistics.
  •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20). 2020 Broadcasting Industry statistics.
  • Oh, H., Jung, Y. & Hong, J. (2019). The gap between independent production policy and reality in Korean broadcasting: Focus on KBS 2TV daily morning live program produc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56(4), 313-365.
  • Oh, M. (2016). The Impacts of broadcasting staff’s role stress, job insecurity, self-efficacy on Job engagem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5), 449-462.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449]
  • Park, J. (2011). Flexibility, creativity, precarity - A new way of problematisation on the media work research, Media & Society, 19(4), 41-86.
  • Park, J., Kim, K. & Jeon, Y. (2020). A Study on the Labor Conditions of Independent PDs and Broadcasting (Outsourcing) Writers and Policy Support Plans, Hyewon Choo Research Service Project Report.
  • Park, J. & Ryue, K.(2010). The ideological implic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practice of an international current affairs program - The representation of the West and the Third World on MBC’s〈W〉, Media & Society, 18(2), 2-39.
  • Shim, S. (2021). Entertainment industry. Seoul: Communications Books.
  • Song, Y. (2011). Working life of independent directors in changes of broadcasting production system. Doctoral dissertation, Sungkonghoe University.
  • Yoo, H., Lee, I., Kim, Y., & Ryu, J. (2013).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isk management system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video contents such as dramas and movie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ppendix

부록 I.

  • 강진숙·이광우 (2012). 문화예술 프로그램 생산자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EBS〈문화공감〉제작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6권 4호, 339-36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09). <2009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 (2020). <2020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 김동률 (2009). 방송사 기자들의 심리적 탈진에 관한 연구: KBS, MBC, SBS 등 지상파 3 사 취재기자를 대상으로. <한국방송학보>, 23권 1호, 7-49.
  • 김동원 (2010). <한국 방송산업의 유연화와 비정규직의 형성>.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김성재 (2005). 언론노동의 현실과 지역 언론인의 정체성. <언론과학연구>, 5권 2호, 105-140.
  • 김병선·김건용 (2011).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제작 스태프 고용 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1권 2호, 28-68.
  • 김미숙·이기형 (2013). 심층인터뷰와 질적인 분석으로 조명한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들의 정체성과 노동의 단면들-보람과 희열 그리고 불안감이 엮어내는 동학. <언론과 사회>, 21권 3호, 5-63.
  • 김미숙·홍지아 (2016). TV 드라마 작가 연구: 드라마 생산 과정에서 겪는 타 생산자들과의 갈등과 타협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0권 4호, 41-82.
  • 김선남·정현욱 (2007). 지역일간지 기자의 역할지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4호, 136-154.
  • 김현미 (2005). 문화 산업과 성별화된 노동. <한국여성학>, 21권 2호, 69-103.
  • 나미수 (2011). 텔레비전 드라마의 생산자 연구: 생산과정에 나타난 젠더의 문제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0권 1호, 159-199.
  • 류웅재·박진우 (2012). 서바이벌 포맷 프로그램에 침투한 신자유주의 경쟁 담론: 프로그램의 채택과 제작과정에 대한 생산자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4권 1호, 139-165.
  • 문화체육관광부 (2009). <2009 문화산업통계>.
  • 문화체육관광부 (2020). <2019 콘텐츠산업통계조사>.
  • 박지훈·류경화 (2010). 국제시사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MBC <W>의 서구와 제3세계 재현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8권 2호, 2-39.
  • 박진우 (2011). 유연성, 창의성, 불안정성:미디어 노동 연구의 새로운 문제 설정. <언론과 사회>, 19권 4호, 41-86.
  • 박재범·김기영·전윤희 (2020). <독립PD·방송(외주)작가 노동실태와 정책지원 방안 연구>. 추혜원의원실 연구용역과제보고서.
  • 송동욱·이기형 (2017). 불안정한 현실과 대면하는 이 시대 청년들의 삶에 관한 질적인 분석:‘삼포세대’, 그리고 ‘헬조선’이라는 호명에 대한 청년주체들의 체화된 대응과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84권 4호, 28-98.
  • 송용한 (2011). <방송콘텐트 생산방식 변화에 따른 비정규 연출직의 노동생활: 지상파 방송사 시사교양 프로그램 제작의 외주화와 기술변화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심상민 (2021). <엔터테인먼트 산업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오미영 (2016). 방송 종사자의 역할스트레스, 고용불안정성, 자기효능감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5호, 449-462.
  • 오형일·정영주·홍종윤 (2019). 한국 외주제작 정책과 현장의 간극에 대한 심층적 탐색: KBS 2TV <생방송 아침이 좋다> 외주제작 노동현장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56권 4호, 313-365.
  • 유홍식·이익희·김영은·류재미(2013). <드라마·영화 등 영상콘텐츠 제작관련 리스크 관리제도 도입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 은수미 (2008). 비정규직 정책: 안일한 인식과 무력한 대응. 한반도사회경제연구회(편), <노무현 시대의 좌절: 진보의 재구성을 위한 비판적 진단>, 서울: 창비, 139-151.
  • 이기형·황경아 (2016). SBS < 그것이 알고 싶다> 의 역할과 성취 그리고 명과 암을 맥락화하기: 텍스트 분석과 미디어 생산자연구를 통해서 조명하기. <한국언론정보학보>, 75권 83-144.
  • 이설희·홍남희 (2020). 유동하는 청년들의 미디어 노동: 2·30 대 미디어 생산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101권, 113-152.
  • 이상길·이정현·김지현 (2013). 지상파 방송사 비정규직 노동자의 직무인식과 노동경험: 파견직 FD 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권 2호, 157-206.
  • 이영면 (2004). 국내실증연구문헌에서 나타난 측정도구 사용방법 및 절차적 문제에 대한 분석: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12권 3호, 33-38.
  • 이영주·김진혁 (2009). 지식 저널리즘과 텔레비전 문화:<지식채널 e>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1권 2호, 49-80.
  • 이은정 (2019). 노동시장 이중구조에 따른 임금 격차: 성별 분석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12권 1호, 81-110.
  • 이정기 (2019). 신문사, 방송사, 인터넷 언론사 언론인들의 직무 만족도 결정요인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제13회 기자 의식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5권 1호, 1-22.
  • 이종구 (2009). 방송산업 비정규직 노동자의 실태-노동시장 구조와 고용관행.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15권, 273-310.
  • 장해순·김창남 (2010). 뉴스콘텐츠 제작자들의 역할스트레스와 심리적 탈진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권 10호, 209-218.
  • 정유진·오미영. (2015). 방송 제작 종사자들의 ‘번아웃’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9권 1호, 216-241.
  • 정이환 (2007). 기업규모인가 고용형태인가. <경제와사회>, 73호, 332-355.
  • 정재민·김영주 (2011). 신문 종사자의 탈진에 대한 연구: 편집국과 비편집국 종사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2호, 252-276.
  • 정정훈 (2016). 헬조선의 N 포 세대와 노력의 정의론. <문화과학>, 86호, 132-154.
  • 조재희 (2019). 언론인의 이직 의도 결정요인 분석: 직무만족도와 직무피로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3권 4호, 83-119.
  • 최현주 (2012). 방송작가의 직업만족도 결정요인 연구. <언론과학연구>, 12권 2호, 572-602.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2017 언론수용자 의식 조사>.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방송제작 프리랜서 고용·경력 관리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