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Journalism Communication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3, pp.69-114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07 Dec 2018 Revised 27 May 2019 Accepted 31 May 2019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3.003

신문이 사라지는 이유 : 저널리즘 VS. 미디어 대체 가설

박혜영**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cheerupyou@naver.com
Why the newspaper disappears : Journalism VS. Media Supplementation or Substitution
Hyeyoung Park**
**Senior Researcher, Institute of Media & Culture at Sogang Univ. cheerupyou@naver.com

초록

매해 계속되는 신문 위기 국면에서, 신문 위기의 원인 중 뉴미디어의 대체와 보완, 신문의 신뢰도 저하 등이 원인임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무엇이 더 영향력을 미치는가와 그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를 진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SNS 등을 통해 뉴스가 유통되는 가운데, 뉴미디어 뉴스 신뢰도와 신문뉴스 신뢰도가 각각의 미디어에, 그리고 서로의 미디어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고찰이 동시적으로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2013년, 2015년, 2017년 인터넷 및 SNS 뉴스 이용량과 신문뉴스 이용량을 비교하고, 각 매체의 신뢰도가 미치는 영향 관계를 고찰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신문뉴스 신뢰도가 신문뉴스 이용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에 대한 영향력은 줄어들고 있었다. 모바일뉴스 신뢰도는 신문뉴스 이용량에 부적 영향관계인데 이 또한 줄어들고 있었다. 둘째, 모바일뉴스 이용량이 신문뉴스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정적인데 반해 모바일 이용량이 신문뉴스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부적이며 증가하였다. 셋째, 모바일뉴스 신뢰도와 모바일뉴스 이용량의 영향관계가 정적 영향관계인데, 2017년에는 부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모바일뉴스 이용량의 모바일 이용량과 신문뉴스 이용량에 대한 매개적 효과가 꾸준히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간의 변화에 따라 두 개 미디어 모두 ‘신뢰’가 미치는 영향력이 작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디어 대체 가설’이 더욱 영향력을 행사하는 추이 가운데, 모바일뉴스 이용량의 매개적 역할, 신문이용량 예측 등을 고려하여 신문 이용량 증가 방향에 대해 제언했다.

Abstract

In the crisis of newspaper, never-en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ly demonstrating the cause of the newspaper crisis. This study analyzes which influence is stronger between Journalism and Media Supplementation or Substitution. In addition, it concluded that the influence of ‘internet news reliability’ and ‘newspaper news reliability’ on each of them and mutual influence on both of them are needed to be addressed simultaneously, while the news is distributed through the Internet and SNS. This study compared the amount of ‘Internet news usage’ with ‘newspaper news usage’ in each period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each media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of newspaper news usage decreased steadily over the period of 2017, while ‘mobile news usage’ and ‘mobile usage’ were the highest in 2017. Secondly, ‘newspaper reliabil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newspaper usage’ and its influence on ‘newspaper usage’ has been decreasing. ‘Mobile news reliability’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newspaper news usage’ and this was also decreasing. ‘Mobile news usage’ was influenced by ‘newspaper news usage’ positively, whereas the ‘mobile usage’ is influenced by ‘newspaper news usage’ negatively. Thirdly, the influence of ‘moblie news reliability’ and ‘newspaper news usage’ is negatively influenced. From 2017, ‘mobile news reliability’ and ‘mobile news usage’ also changed from positive to negative.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mobile news usage’ on ‘newspaper news usage’ and ‘mobile usage’ have steadily increased over time.

Through this study, the fact that Media Supplementation or Substitution exerts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is clarified while comparing the influences of two variables which were most frequently pointed out as the cause of decrease in newspaper usag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ole of newspaper news, if the newspaper news usage should be increased, it is predictable that increasing ‘mobile news reliability’ which may result in the increase of ‘mobile news usage’ will contribute to increase the ‘newspaper news usage’

Keywords:

crisis of newspaper, newspaper reliability, newspaper usage, Media Supplementation or Substitution

키워드:

신문 위기, 신문뉴스 신뢰도, 미디어 대체 가설, 인터넷 뉴스, 모바일 이용량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제 3회 언론수용자 언론인 의식조사 통계 활용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내용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수정된 내용을 2018년 가을철 언론정보학회 신진학자 세션에서 발표하고 이후 일부 내용을 보완 및 수정하였습니다.

References

  • 강남준 외 (2001). <텔레비전 수용자 보고서>. 방송문화진흥회.
  • 강남준 외 (2003). <텔레비전 수용자 보고서>. 방송문화진흥회.
  • 강미은 (2000).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50호, 179-208.
  • 강시은 (2012, 10, 27). [시론/강미은]페이스북 이용자 1000만 명 시대의 명암. <동아일보> URL: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21027/50425313/1
  • 김당 (2012). 인터넷 저널리즘의 현주소. <관훈저널>, 통권 125호, 228-279.
  • 김동윤·김성해·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언론과학연구>, 13권 3호, 75-122.
  • 김성해 (2007). 미디어와 교육.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37호, 7-42.
  • 김세은 (2004). <신문산업의 경쟁과 변화: 영국을 중심으로>. 미디어연구소.
  •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MPLUS 예제와 함께>. 서울: 학지사.
  • 김승일·이호진 (2007). <대책없는 한국신문 일본에 길을 묻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영주 (2017). 소셜미디어, 저널리즘을 구할까 망칠까. <관훈저널>, 통권 144호, 26-38.
  • 김주현 (2018).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 이용이 홈 TV 시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권 8호, 434-445.
  • 김전영 (2004). 미디어 대체에 관한 연구: 전통적 미디어에 대한 인터넷 이용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24호, 37-67.
  • 김형지·김정환·정세훈 (2013). 스마트폰 이용이 기존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경제와 문화>, 11권 1호, 88-119.
  • 루홍위·이효성 (2015). 모바일 뉴스 콘텐츠의 정보품질 요소가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1권 3호, 113-132.
  • 류춘열 (1998). 사회적 판단 이론과 미디어 신뢰성. 한국언론학회 98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97-108.
  • 마동훈·오택섭·김선영 (2013). <저널리즘 공공성 실현을 위한 한국형 팩트체킹 모델 연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박노일 (2008). 블로그 이용자의 뉴스미디어 신뢰도 연구. <한국언론학보>, 52권 3호, 422-439.
  • 박노일·정지연·장정헌 (2017). 고령자 집단의 뉴스 미디어 이용과 신뢰도 연구. <언론정보연구>, 54권 1호, 314-347.
  • 박선희 (2004). 주류 인터넷 언론과 대안 인터넷 언론의 이용 비교: 이용자집단의 특성, 이용자의 뉴스사이트에 대한 태도, 뉴스이용패턴.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26호, 259-289.
  • 박인곤·신동희 (2010).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0권 4호, 192-225.
  • 박정의 (2001). 다 매체 시대의 매체별 신뢰도 분석. <한국방송학보>, 15권 3호, 129-154.
  • 박진우·송현주 (2012). 저널리스트 전문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언론정보학보>, 57호, 49-68.
  • 박찬수 (2017). 신문의 위기, 혁신의 강박. <관훈저널>, 통권 144호, 3-7.
  • 반현 (2003). 인터넷 뉴스 미디어의 신뢰도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방송학보>, 17권 2호, 207-231.
  • 반현·권영순 (2007). 포털 뉴스와 기존 뉴스 매체의 이용행위에 대한 상관관계성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1호, 399-426.
  • 배선영·이봉규·이상우 (2010). 언론 수용자의 공정성 평가가 매체 이용에 미친 영향 분석. <방송통신연구>, 70호, 87-116.
  • 삼성경제연구소 (2010. 2.).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 성동규·박상호 (2005). 지상파 3 사의 미디어 신뢰도와 TV 뉴스 이용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60호, 213-242.
  • 손승혜 (2005). 미디어 이용량, 연령, 성별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간 경쟁 및 대체 관계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16호, 273-308.
  • 손승혜·최윤정·황하성 (2011).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보>, 55권 2호, 227-251.
  • 송종길 (2006). 기자들의 미디어 신뢰도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6권 4호, 172-202.
  • 송종길 (2007). 매체별 신뢰도의 유사성 및 차별성 분석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2호, 180-202.
  • 수신·육건엽·정용국 (2015). SNS 뉴스 신뢰도 결정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 22권 3호, 7-30.
  • 심미선·김은실·하예린 (2009). 미디어 이용의 보완 및 대체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3권 3호, 317-364.
  • 양일영·이수영. (2011). 이용 동기에 기반한 스마트폰 초기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5권 1호, 109-139.
  • 오대영 (2015). 언론사 대학평가 기사가 고교생의 대학평가와 언론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4호, 102-130.
  • 오대영 (2017). 수용자의 언론인, 신문뉴스 문제, 신문뉴스 신뢰도 평가가 신문뉴스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83호, 96-129.
  • 우병동 (1996). 뉴스 보도의 정확성 연구: 오보 발생의 구조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1권, 34-65.
  • 유세경 (2004). 텔레비전과 인터넷 이용행위의 상호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8권 3호, 475-520.
  • 유은경 (2011, 10).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매체 이용에 따른 기능적 대체 및 보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서울: 연세대학교.
  • 이상기·김주희 (2013). 기자의 전문성 및 온라인 언론 활동에 대한 인식과 평가.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권 2호, 41-82
  • 이재현 (2005). 인터넷, 전통적 미디어, 그리고 생활시간 패턴. <한국언론학보>, 49권 2호, 224-254.
  • 이종경 (2000). 조사보고: 제10회 미디어의 영향과 신뢰도 조사. <신문과 방송>, 358호, 22-27.
  • 이종혁 (2015). 언론 보도에 대한 편향적 인식이 공정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1호, 7-36.
  • 이종혁·최윤정 (2018). 세대별 사회 이슈에 대한 관심도 변화 추적. <한국방송학보>, 32권 1호, 66-95.
  • 이준웅 (2010). 언론 체계와 신문의 가치 창출. <한국언론학보>, 54권 4호, 253-275.
  • 이준웅·심미선·김은미 (2007). <매체융합시대의 이용자 복지개념의 확장을 위한 매체이용조사>. 방송위원회.
  • 이준웅·최영재 (2005). 한국 신문위기의 원인: 뉴스 매체의 기능적 대체, 저가치 제공, 그리고 공정성 위기. <한국언론학보>, 49권 5호, 5-35.
  • 이창현·김은영 (2004, 6). <인터넷 신문과 종이신문 이용자의 매체 공신력과 수용자능동성 차이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춘계학술대회.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 임종수 (2005). 포털 미디어 재매개에서의 뉴스 소비. <한국방송학보>, 19권 2호, 8-46.
  • 임종수 (2007). 포털미디어에 의한 뉴스 미디어의 기능적 대체와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4호, 437-465.
  • 임종섭 (2017). 언론의 위기와 가짜 뉴스 파동. <관훈저널>, 통권 142호, 87-93.
  • 장호순 (1999). 경영시대: 시장경제 논리와 신문경영. <신문과 방송>. 41-44.
  • 하승태·이정교 (2011). 미디어 이용량과 선호 콘텐츠 유형이 미디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권 1호, 413-434.
  • 한국언론재단 조사분석팀 (2002). 수용자가 본 언론: 언론과 언론인에 대한 신뢰도. <신문과 방송>, 52-56.
  • 한국언론재단 편집부 (2000). <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재단.
  • 한국언론재단 (2002). <2002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재단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2010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2012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2014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2015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2015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2017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한희선·박기호 (2005, 6). <모바일 콘텐츠 품질요인 (MCQ) 이 사용자의 유용성에 대한 지각과 기대가치 충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학술대회.
  • 허윤·이상우 (2012). 다매체 환경에서의 미디어 간 경쟁과 대체. <한국언론학보>, 56권 4호, 29-54.
  • Anderson, B., & Tracey, K. (2001). Digital living: The impact (or otherwise) of the Internet on everyday lif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5(3), 456-475. [https://doi.org/10.1177/00027640121957295]
  • Atkin, David J., Leo W. Jeffries., & Kimberly A. Neuendorf (1998) ‘Understanding internet Adoption as Telecommunications Behavior’,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42(4), 475–490. [https://doi.org/10.1080/08838159809364463]
  • Berte, K., & De Bens, E. (2008). Newspapers go for advertising!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a changing media environment. Journalism studies, 9(5), 692-703. [https://doi.org/10.1080/14616700802207623]
  • Boomsma, A. (2000). Reporting analyses of covariance structu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7(3), 461-483.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0703_6]
  • Chyi, H. I., & Lasorsa, D. L. (2002). An explorative study on the market relation between online and print newspapers.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15(2), 91-106. [https://doi.org/10.1207/S15327736ME1502_2]
  • Delli Carpini, M. X. (2000). Gen. com: Youth, civic engagement, and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Political communication, 17(4), 341-349. [https://doi.org/10.1080/10584600050178942]
  • Dimmick, J., Chen, Y., & Li, Z. (2004). Competition between the Internet and traditional news media: The gratification-opportunities niche dimension.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17(1), 19-33. [https://doi.org/10.1207/s15327736me1701_2]
  • Fidler, R. (1997). <Mediamorphosis: Understanding new media>. Pine Forge Press.
  • Gaziano, C., & McGrath, K. (1986). Measuring the concept of credibility. Journalism quarterly, 63(3), 451-462. [https://doi.org/10.1177/107769908606300301]
  • Gentzkow, M. (2007). Valuing new goods in a model with complementarity: Online newspapers. American Economic Review, 97(3), 713-744. [https://doi.org/10.1257/aer.97.3.713]
  • Jang, S., & Park, M. (2016). Do new media substitute for old media?: A panel analysis of daily media use. Journal of Media Economics, 29(2), 73-91. [https://doi.org/10.1080/08997764.2016.1170021]
  • Jeffries, L.W., & Atkin, D.J. (1996, Autumn). Dimensions of student interest in reading newspaper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Educator, 51, 15-23. [https://doi.org/10.1177/107769589605100303]
  • Johnson, T. J., & Kaye, B. K. (1998). Cruising is believing?: Comparing Internet and traditional sources on media credibility measure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5(2), 325-340. [https://doi.org/10.1177/107769909807500208]
  • Johnson, T. J., & Kaye, B. K. (2000). Using is believing: The influence of reliance on the credibility of online political information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7(4), 865-879. [https://doi.org/10.1177/107769900007700409]
  • Joreskog, K. G., & Goldberger, A. S. (1975). Estimation of a model with multiple indicators and multiple causes of a single latent variabl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0, 631-639. [https://doi.org/10.1080/01621459.1975.10482485]
  • Jung, J., Kim, Y., & Chan-Olmsted, S. (2014). Measuring usage concentra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s: Selective repertoire in a marketplace of choices. Mobile Media & Communication, 2(3), 352-368. [https://doi.org/10.1177/2050157914542172]
  •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uctural equation modeling>. NewYork: The Guilford Press.
  • Kiousis, S. (2001). Public trust or mistrust? Perceptions of media credibility in the information age. Mass Communication & Society, 4(4), 381-403. [https://doi.org/10.1207/S15327825MCS0404_4]
  • Lee, P. S., & Leung, L. (2008). Assessing the displacement effects of the Internet. Telematics and Informatics, 25(3), 145-155. [https://doi.org/10.1016/j.tele.2006.08.002]
  • Liebowitz, S. J., & Zentner, A. (2012). Clash of the titans: does Internet use reduce television viewing?.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94(1), 234-245. [https://doi.org/10.1162/REST_a_00148]
  • McDonald, R. P., & Ho, M. H. R. (2002). Principles and practice in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Psychological methods, 7(1), 64. [https://doi.org/10.1037//1082-989X.7.1.64]
  • Meyer, P. (1988). Defining and measuring credibility of newspapers: Developing an index. Journalism quarterly, 65(3), 567-574. [https://doi.org/10.1177/107769908806500301]
  • Meyer, P. (2004). <The vanishing newspaper: saving journalism in the Information. Ag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 Muthén, L. K., & Muthén, B. O. (2012). <Mplus Version 7 user’s guide. Los Angeles>. CA: Muthén & Muthén.
  • Nerone, J. (2013). The historical roots of the normative model of journalism. Journalism, 14(4), 446-458. [https://doi.org/10.1177/1464884912464177]
  • Nguyen, A., & Western, M. (2006).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and Traditional Mass Media: The Case of Online News and Information. Information Research: An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11(3), n3.
  • Ha, L., & Fang, L. (2012). Internet experience and time displacement of traditional news media use: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the niche. Telematics and Informatics, 29(2), 177-186. [https://doi.org/10.1016/j.tele.2011.06.001]
  • Hasebrink, U., & Popp, J. (2006). Media repertoires as a result of selective media use. A conceptua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patterns of exposure. Communications, 31(3), 369-387. [https://doi.org/10.1515/COMMUN.2006.023]
  • Henn, M., & Foard, N. (2012). Young peopl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rust in Britain. Parliamentary affairs, 65(1), 47-67. [https://doi.org/10.1093/pa/gsr046]
  • Hovland, C. I., & Weiss, W. (1951).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Public opinion quarterly, 15(4), 635-650. [https://doi.org/10.1086/266350]
  •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 PEJ. (2004). <The state of the news media journalism 2004>. Project for Excellence in Journalism.
  • Rogers, E. M. (1983). <Diffusion of innovations> (3rd. ed.). New York: Free Press.
  • Roper, B. W. (1986). <Public attitudes toward television and other media in a time of change>. NewYork: The television Information Office.
  • Schweiger, W. (2000). Media credibility—experience or image? A survey on the credibility of the World Wide Web in Germany in comparison to other media.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15(1), 37-59. [https://doi.org/10.1177/0267323100015001002]
  • Sherif, M., & Hovland, C. I. (1961). <Social judgment: Assimilation and contrast effects in communication and attitude change>. Oxford, England: Yale Univer. Press.
  • Tewksbury, D. (2005). The seeds of audience fragmentation: Specialization in the use of online news sit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9(3), 332-348.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903_5]
  • Waldfogel, J. (2002). Consumer substitution among media. Media Ownership Working Group Study, 3.
  • WAN (2004). <Measuring the newspaper business for profit and growth, 2003>. World Forum on Newpaper Strategy.
  • Webster, J. G., & Ksiazek, T. B. (2012). The dynamics of audience fragmentation: Public attention in an age of digital media. Journal of communication, 62(1), 39-56. [https://doi.org/10.1111/j.1460-2466.2011.01616.x]
  • West, S. G., Taylor, A. B., & Wu, W. (2012). <Model fit and model selectio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ndbook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09-231.
  • Wimmer, R. D., & Dominick, J. R. (2009). <Research in media effects. Mass media research: An introduction>. Cengage Learning: Wadsw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