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Broadcast, Contents Cultur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3, pp.145-195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01 Feb 2019 Revised 27 May 2019 Accepted 31 May 2019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3.005

게임화하는 방송 : 생산자적 텍스트에서 플레이어적 텍스트로

강신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playborer@gmail.com
A Study on the Gamification of Television Broadcasting
Kang, Shin-kyu**
**Research Fellow, Media & Advertising Research Institute,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playborer@gmail.com

초록

이 글은 텔레비전 방송(이하 ‘방송’)의 게임화(gamification) 과정을 추적해, 방송 속에서 게임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글이 주된 분석틀로 삼은 것은 아즈마 히로키(東浩紀)의 ‘게임적 리얼리즘(ゲーム的リアリズム, gamic realism)’이다. 하지만 게임적 리얼리즘의 한계, 그리고 단일 연구자의 논의를 주된 분석틀로 삼는 것의 한계를 고려해, 게임화 현상을 보다 잘 설명해줄 수 있는 기존 개념들을 활용하거나 새로운 개념을 고안하도록 했다. 실질적인 분석을 위해 방송 텍스트 5개(KBS 2TV <생방송 게임천국>, SBS <런닝맨>, Mnet <프로듀스 101>,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사랑, 그것은 데스티니...’, 유튜브(YouTube)의 <양띵 유튜브>)를 대상으로 삼았다. 게임화로 인해 방송에서의 큰 이야기는 사라지고 그 자리를 데이터베이스가 채우게 된다. 텍스트의 심층에 데이터베이스가 자리한다는 것은, 이제 더 이상 방송이 완결된 이야기를 시청자에게 제공하지 않으며, 시청자의 참여를 통해서만 완성되는 불완전한 텍스트가 됨을 의미한다. 그러한 데이터베이스의 요소는 설정(기획의도·콘셉트, 시·공간 배경, 이벤트), 규칙·목표·결과, 그리고 캐릭터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화의 효과 혹은 결과로 게임화한 방송의 이야기는 복수화(複數化)되고 모듈화(modularization)된다. 데이터베이스는 시청자에 의해 재/조합 가능한 작은 이야기가 되며, 그것들이 모여 만들어진 이야기에 대해서는 리셋과 리플레이가 가능해진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서는 게임화한 방송 텍스트를 열린/작가적 텍스트, 생산자적 텍스트를 잇는 ‘플레이어적’ 텍스트로 규정하고자 했다. 플레이어적 텍스트는 생산자적 텍스트의 대중성과 텍스트성뿐 아니라, 플레이어성과 현재성을 가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k down how a television broadcast program (The rest is mentioned as ‘program’) transforms into a digital game, reveal the activating mechanism of games within the programs, analyze how the viewers embrace it and what it means in our everyday life.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goal, four Korean television broadcast programs and one internet game broadcasting channel were analyzed based on ‘the gamic realism’ of Azuma Hiroki. Due to the gamification, the grand narrative allowed its place to the database. This means that the program is completed onl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viewers. The database consists of settings (such as project intention, concepts, temporal and special backgrounds, events), rules, goals, results, and characters. The content of the program become pluralized and modularized because of the results and effects from these databases. Therefore, gamified program is defined as a ‘playerly’ text, following the previous ‘open and writerly text’ and ‘producerly text’.

Keywords:

television broadcasting, internet broadcasting, gamification, gamic realism, playerly text

키워드:

텔레비전 방송, 인터넷 방송, 게임화, 게임적 리얼리즘, 플레이어적 텍스트

Acknowledgments

이 글은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에 근거해 재구성한 것임을 밝힙니다.

References

  • 강신규 (2006). <디지털 게임과 게임 문화에 관한 연구: 디지털 게임이 생산해내는 경험과 의미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 강신규 (2013). 텔레비전포비아와 게임포비아. 강신규 등, <게임포비아> (34~6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강신규 (2015).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재와 미래. <방송작가>, 2015년 2월호, 34-37쪽.
  • 강신규 (2016, 11). <게임화하는 방송, 플레이어로서의 시청자: 인터넷 게임방송과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중심으로>. 2016 문화/과학 국제 컨퍼런스. 부산: BEXCO.
  • 권보연·류철균 (2015). 국내 게이미피케이션 연구의 메타 분석: 동향과 제안. <인문콘텐츠>, 39호, 97-124쪽.
  • 김무규 (2013). 미디어의 공존과 변형: 상호 미디어성의 의미와 유형. 김무규 등, <영상과 상호 미디어성> (11~38쪽). 파주: 한울아카데미.
  • 김수정 (2010). 글로벌 리얼리티 게임쇼에 나타난 ‘자기통치’의 문화정치: <프로젝트 런웨이>와 <도전! 슈퍼모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4권 6호, 7-44쪽.
  • 노동렬 (2009). 방송콘텐츠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생산시스템 연구: KBS ‘개그콘서트’와 SBS ‘웃음을 찾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1권 2호, 9-48쪽.
  • 도티 (2015). <BJ로 산다는 것: 도티편 – 취향을 저격하는 자, 유튜브에서 흥하리라>. 몬스터.
  • 박근서 (2009). <게임하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악어 (2015). <BJ로 산다는 것: 악어편 – 무한 콘텐츠로 웃음을 주는 멤버 방송의 달인>. 몬스터.
  • 양띵 (2015). <BJ로 산다는 것: 양띵편 – 초통령에서 유튜브 대표 크리에이터로>. 몬스터.
  • 원용진 (2000). <텔레비전 비평론>. 파주: 한울아카데미.
  • 원용진·강신규 (2013). ‘게임화’로 구축된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게임적 리얼리즘. <대중서사연구>, 제30집, 321-361쪽.
  • 윤태진 (2015). <디지털 게임문화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이경혁 (2016). <게임, 세상을 보는 또 하나의 창>. 고양: 로고폴리스.
  • 이인화·한혜원 (2016). <게임사전>. 서울: 해냄.
  • 임태훈 (2017). 게이미피케이션 사회. 이영준·임태훈·홍성욱, <시민을 위한 테크놀로지 가이드: 더 나은 미래로 향하는 기술비평> (73~80쪽). 서울: 반비.
  • 채희상 (2017). 방송드라마 모듈화 사례연구: <간서치 열전>, <퐁당퐁당 Love>, <세 가지색 판타지>, <마음의 소리>. <언론과학연구>, 17권 2호, 263-292쪽.
  • 최유찬 (2004). <컴퓨터 게임과 문학>.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 마에지마 사토시(前島賢) (2014). セカイ系とは何か. 김현아·주재명 (역) (2016). <세카이계란 무엇인가>. 워크라이프.
  • 아즈마 히로키(東浩紀) (2001). 動物化するポストモダン - オタクから見た日本社会. 이은미 (역) (2007).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 오타쿠에서 본 일본 사회>. 파주: 문학동네.
  • 아즈마 히로키(東浩紀) (2007). ゲーム的リアリズムの誕生 - 動物化するポストモダン 2. 장이지 (역) (2012).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 –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2>. 서울: 현실문화연구.
  • 오쓰카 에이지(大塚英志) (2003). アトムの命題 - 手塚治虫と戦後まんがの主題. 東京: 徳間書店.
  • 오쓰카 에이지(大塚英志) (2005). 「ジャパニメーション」はなぜ敗れるか. 東京: 角川書店.
  • 오쓰카 에이지(大塚英志)·사사키바라 고(ササキバラゴウ) (2001). 敎養としての“まんが·アニメ”. 최윤희 역 (2004). <망가·아니메>. 서울: 써드아이.
  • 이나바 신이치로(稲葉信一郎) (2006). モダンのクールダウン - 片隅の啓蒙. NTT出版.
  • 이노우에 아키토(井上明人) (2012). Gamification. 이용택 (역) (2012). <게임 경제학>. 서울: 스펙트럼북스.
  • 후카다 코지(深田浩嗣) (2011). ソーシャルゲームはなぜハマるのか ゲーミフィケーションが変える顧客満足. 김훈 (역) (2012). <소셜게임과 게이미피케이션으로 승부하라>. 서울: 비즈앤비즈.
  • Barthes, R. (1970). S/Z. 김웅권 (역) (2006). <S/Z>. 서울: 동문선.
  • Barthes, R. (1973). Le plaisir du texte. 김희영 (역) (1997). <텍스트의 즐거움>. 서울: 동문선.
  • Baudrillard, J. (1981). Simulacres et simulation. 하태환 (역) (2001). <시뮬라시옹>. 서울: 민음사.
  • Benjamin, W. (1939).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3rd ed.). 최성만 (역) (2007).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97~150쪽). 서울: 도서출판 길.
  • Caillois, R. (1967). Les Jeux et les hommes: Le masque et le vertige. 이상률 (역) (1994). <놀이와 인간: 가면과 현기증>. 서울: 문예출판사.
  • Chandler, D. (2002). Semiotics for beginners. 강인규 (역) (2006). <미디어 기호학>. 서울: 소명출판. [https://doi.org/10.4324/9780203166277]
  • Deterding, S. (2014). Eudaimonic design, or: Six invitations to rethink gamification. [On-line] In M. Fuchs, S. Fizek, P. Ruffino, & N. Schrape (Eds.), Rethinking gamification (pp.305~331). Meson Press. Retrieved from http://meson.press/books/rethinking-gamification, /
  • Deterding, S., Dixon, D., Khaled, R., & Nacke, L. E. (2011.9). From game design elements to gamefulness: Defining “gamifi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15th International Academic MindTrek Conference: Envisioning Future Media Environments, Tampere, Finland, pp.9-15. [https://doi.org/10.1145/2181037.2181040]
  • Eco, U. (1989). Opera aperta: Forma e indeterminazione nelle poetiche contemporanee (7th ed.). 조형준 (역) (1994). <열린 예술 작품>. 서울: 새물결.
  • Fiske, J. (2010). Television Culture (2nd ed.). 곽한주 (역) (2017). <텔레비전 문화>. 서울: 컬처룩.
  • Fuchs, M., Fizek, S., Ruffino, P., & Schrape, N. (2014). Introduction. [On-line] In M. Fuchs, S. Fizek, P. Ruffino, & N. Schrape (Eds.), Rethinking gamification (pp.7~17). Meson Press. Retrieved from http://meson.press/books/rethinking-gamification, /
  • Gray, J. & Lotz, A. (2011). Television studies. 윤태진·유경한 (역) (2017). <텔레비전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Harrison, L. (2014). Gamification for business. Motivational Press, Inc.
  • Huizinga, J. (1955).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김윤수 (역) (1981). <호모 루덴스>. 서울: 까치.
  • Hunicke, R., Leblanc, M., & Zubek, R. (2004. 7). MDA: A formal approach to game design and game research. Paper presented at AAAI workshop: Challenges in game AI, the 19th National Confer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an Jose, CA.
  • Juul, J. (2005). Half-real: Video games between real rules and fictional worlds. 장성진 (역) (2014). <하프 리얼: 가상 세계와 실제 규칙 사이에 존재하는 비디오게임>. 서울: 비즈앤비즈.
  • Kristeva, J. (1980). Desire in language: A semiotic approach to literature and art.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Kumar, J. M. & Herger, M. (2013). Gamification at work: Designing engaging business software. Interaction Design Foundation. [https://doi.org/10.1007/978-3-642-39241-2_58]
  • Langlois, R. N. & Robertson, P. L. (1991). Networks and innovation in a modular system: Lessons from the microcomputer and stereo component industries, Research Policy, 21, pp.297~313. [https://doi.org/10.1016/0048-7333(92)90030-8]
  • Loftus, G. R. & Loftus, E. F. (1983). Mind at play: The psychology of video games. New York: Basic Books.
  • Lyotard, J. 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 Rapport sur le savoir. 이현복 (역) (1992). <포스트모던적 조건: 정보 사회에서의 지식의 위상>. 파주: 서광사.
  • Malpas, S. (2002). Jean Francois Lyotard. 윤동구 (역) (2008).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포스트모더니즘을 구하라>. 서울: 앨피.
  • Manovich, L. (2001). The language of new media. 서정신 (역) (2014). <뉴미디어의 언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Moores, S. (2000). Media and everyday life in modern society. 임종수·김영한 (역) (2008). <미디어와 일상>.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Murray, J. (1997). Hamlet on the holodeck: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한용환·변지연 (역) (2001). <사이버 서사의 미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서울: 안그라픽스.
  • Newcomb, H. (1984). On the dialogic aspects of mass communication.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1(1), pp.34-50. [https://doi.org/10.1080/15295038409360012]
  • Nicholson, S. (2015). A recipe for meaningful gamification. In T. Reiners & L. C. Wood (Eds.), Gamification in education and business (pp.1~20). New York: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3-319-10208-5_1]
  • Radoff, J. (2011). Game on: Energize your business with social media games. 박기성 (역) (2011). <Gamification & 소셜게임: 모든 비즈니스를 게임화하라>. 의왕: 에이콘.
  • Ryan, M. L. (2001). Beyond myth and metaphor - The case of narrative in digital media. Game Studies, 1(1). Retrieved from http://gamestudies.org/0101/ryan, /
  • Salen, K. & Zimmerman, E. (2003). Rules of play: Game design fundamentals. 윤형섭·권용만 (역) (2010). <게임 디자인 원론 1>. 서울: 지코사이언스.
  • Salen, K. & Zimmerman, E. (2003). Rules of play: Game design fundamentals. 윤형섭 (역) (2013). <게임 디자인 원론 3>. 서울: 지코사이언스.
  • Sanchez, R. & Mahoney, T. (1996). Modularity, flexibility and knowledge management in product and organization desig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7, pp.63~76. [https://doi.org/10.1002/smj.4250171107]
  • Walz, S. P. & Deterding, S. (2014). An introduction to the gameful world. In S. P. Walz & S. Deterding (Eds.), The gameful world: Approaches, issues, applications (pp.1~13). Cambridge, MA: MIT Press. [https://doi.org/10.7551/mitpress/9788.001.0001]
  • Werbach, K. & Hunter, D. (2012). For the win: How game thinking can revolutionize your business. Philadelphia, PA: Wharton Digital Press.
  • Zichermann, G. & Cunningham, C. (2011). Gamification by design: Implementing game mechanics in web and mobile apps. 정진영·송준호·김지원 (역) (2012). <게이미피케이션: 웹과 모바일 앱에 게임 기법 불어넣기, 유저를 매료시키는 성공적인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의 원리>. 서울: 한빛미디어.
  • Zichermann, G. & Linder, J. (2010). Game-based marketing: Inspire customer loyalty through rewards, challenges, and contests. John Wiley & Sons, Inc.
  • 이원호 (1994, 8, 28). 컴퓨터게임 TV프로 선뵌다 – 전화·화면 통해 시청자들 참여. <중앙일보>. URL: http://news.joins.com/article/2927081
  • 장제석 (2014, 1, 10). [나름관계자다 ②] ‘양띵’ 양지영, 이 소녀가 세상을 움직이는 힘. <게임메카>. URL: http://www.gamemeca.com/news/view.php?gid=469132
  • 정철운 (2011, 9, 28). [인터뷰]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조효진 PD - “오늘도 ‘유르스윌리스’와 달린다”. <PD저널>. URL: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32750
  • 허재민 (2018, 2, 17). 내 친구는 왜 게임은 안 하면서 게임 방송은 볼까? <인벤>. URL: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94223&vtype=pc#csidx31b6fae779226678840d239785451ef
  • Bogost, I. (2011, 5, 3). Persuasive games: Exploitationware. Gamasutra. Retrieved from http://www.gamasutra.com/view/feature/6366/persuasive_games_exploitationware.php
  • Bogost, I. (2011, 8, 8). Gamification is bullshit!: My position statement at the Wharton Gamification Symposium. Ian Bogost Blog. Retrieved from http://www.bogost.com/blog/gamification_is_bullshit.shtml
  • Breville, B. & Rimbert, P. (2013, 12, 11). 유희적 게이머가 포인트 얻는 법.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URL: http://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2468
  • BunchBall Inc. (2010). Gamification 101: An introduction to the use of game dynamics to influence behavior. Retrieved from http://jndglobal.com/wp-content/uploads/2011/05/gamification1011.pdf
  • Frasca, G. (1999). Ludology meets narratology: Similitude and differences between (video)games and narrative. Ludology.org. Retrieved from http://www.ludology.org/articles/ludology.htm
  • Goasduff, L & Pettey, C. (2011.4.12). More than 50 percent of organizations that manage innovation processes will gamify those processes. Gartner. Retrieved from http://www.gartner.com/newsroom/id/1629214
  • Schell, J. & Reynolds, B. (2011, 2, 10). Discuss about gamification vs. gameplay in gaming industry at DICE 2011. G4TV. Retrieved from http://www.g4tv.com/videos/51205/dice-2011-hot-topics-gameification-vs-gameplay, /
  •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www.imbc.com/broad/tv/ent/littletv, /)
  • Mnet <프로듀스 101> 시즌 1 (www.mnet.com/tv/program/1615, )
  • Mnet <프로듀스 101> 시즌 2 (onair.mnet.com/produce101, )
  • SBS <런닝맨> (programs.sbs.co.kr/enter/runningman, /)
  • SBS <런닝맨(TV 애니메이션)> (blog.naver.com/runningman_animation, )
  • [101 아이돌] 미소녀 연습생 데뷔시키기 (kr.vonvon.me/quiz/823, )
  • 101 마보이 뽑기 (101maboy.com, )
  • 인벤 (www.inven.co.kr, )
  • 니코니코동화(ニコニコ動画) (www.nicovideo.jp, )
  • Conundra (www.nanodome.com/conundra.co.uk/, )
  • Gamification.co (www.gamification.co, )
  • Google (www.google.com, )
  • Newzoo (newzoo.com, )
  • YouTube (www.youtube.com, )
  • <K팝스타> 시리즈 (SBS, 2011 ~ 2017)
  • <X파일(The X-Files)> (FOX, 1993 ~ 2018)
  • <나홀로 연애중> (JTBC, 2015.1.31 ~ 2015.4.18)
  • <달려라 코바> (SBS, 1994.10.24 ~ 1995.3.28)
  • <런닝맨> (SBS, 2010.7.11 ~ )
  • <런닝맨(TV 애니메이션)> (SBS, 2017.7.29 ~ 2018.3.3)
  • <마이 리틀 텔레비전> (MBC, 2015.4.25 ~ 2017.6.10)
  • <무한도전> (MBC, 2006.5.6 ~ 2018.3.31)
  • <믹스나인> (JTBC, 2017.10.29 ~ 2018.1.26)
  • <생방송 게임천국> (KBS 2TV, 1994.10.15 ~ 1996.3.2)
  • <생방송 날아라 호킹> (SBS, 1996.4.1 ~ 1996.10.11)
  • <슈퍼스타K> 시리즈 (Mnet, 2009 ~ 2016)
  • <아바타 셰프> (Olive/tvN, 2015.11.11 ~ 2016.2.3)
  •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더 유닛> (KBS 2TV, 2017.10.28 ~ 2018.2.10)
  • <펜타곤 메이커> (Mnet, 2016.5.17 ~ 7.19)
  • <프로듀스 101> 시즌 1 (Mnet, 2016.1.22 ~ 4.1)
  • <프로듀스 101> 시즌 2 (Mnet, 2017.4.7 ~ 6.16)
  • <프로듀스 48> (Mnet, 2018.6.15 ~ 8.31)
  • <해피선데이 – 1박 2일> (KBS 2TV, 2013.12.1 ~ )
  • <대도서관TV> (www.youtube.com/user/BuzzBean11, )
  • <악어 유튜브> (www.youtube.com/user/bjacau1, )
  • <양띵 유튜브> (www.youtube.com/user/d7297ut, )
  • <양띵의 사생활> (www.youtube.com/user/d7297ut2, )
  • <EXO> (www.youtube.com/user/EXO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