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Broadcast, Contents Cultur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3, pp.196-228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10 Oct 2018 Revised 27 May 2019 Accepted 31 May 2019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3.006

메시지 유형이 자살예방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영향을 중심으로

황애리* ; 나은영**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skurly@naver.com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교신저자 ena@sogang.ac.kr
The Effects of Preventive Persuasion on Suicide Intention : Focusing on Normative vs. Informative Social Influence
Hwang, Aeri* ; Na, Eun-Yeong**
*Ph. D. Student, Department of Mass Communications, Sogang University skurly@naver.com
**Professor, School of Media, Arts, and Science, Sogang University ena@sogang.ac.kr

초록

본 연구는 심각한 사회현안인 자살예방에 대한 실질적 설득전략을 모색하고자 117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2(규범적 내용/정보적 내용) x 2(웹툰 형식/텍스트 형식) 집단 간 이원요인설계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메시지 유형에 따라 자살예방 설득효과로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태도와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규범적 내용의 메시지가 정보적 내용의 메시지보다 행동적 태도에서 설득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자살인식과 자아존중감을 통제하고 자살예방 설득효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행동적 태도와 행동의도에서 메시지 유형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한편, 성별에 따른 자살예방 메시지 유형의 설득효과 차이는 없었고, 한국인 여부에 따라서만 다르게 나타났다. 향후 자살예방을 위한 설득효과를 높이기 위해선 메시지 유형과 함께 메시지 태도와 행동의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소구전략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impact of preventive persuasion on suicide intention depends on the contents of messages and message formats, based on normative vs. informative social influence. We explored how the normative vs. informative persuasive messages affect cognitive, emotional, behavior attitudes and behavior intention. In the experiment, 117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2(normative vs. informative) x 2(webtoon vs. text) factorial design conditions, and answered for the measurement of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rmative message was more persuasive than the informative message. We also examined how gender and nationality(Koreans vs. foreigners) can affect the effects of suicide prevention persuasion, and how the differences in messag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essages. The size of the messages' persuasive influence on attitudes and behavior intentions differed depending on the participants' nationality. Which suggest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pay attention to the factors in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in the future suicide prevention strategy.

Keywords:

Normative Influence, Informative Influence, Suicide Prevention, Message Attitude, Behavior Intention

키워드:

규범적 영향, 정보적 영향, 자살예방, 메시지 태도, 행동의도

References

  • 강보영 (2018). <암 관련 뉴스프레임이 인지적, 정서적 태도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해석수준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강석범 (2004). <공익광고 이슈관여도에 따른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의 광고효과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권예지·나은영 (2011). 정보원의 공신력과 이성적·감성적 메시지 유형이 사회적 지지, 태도, 건강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권 5호, 128-157.
  • 김상훈 (1996). 광고에서 사용되는 공포소구에 관한 연구. <광고학 연구>, 7권 1호, 83-126.
  • 김은희 (2016). 정부의 메시지 제시 유형에 따른 이해 용이성과 정보습득에 관한 연구 : 정보 수용자들의 환경의식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4권 6호, 187-197.
  • 김운한·김현정 (2017). 웹툰 광고 내용분석– 내러티브와 표현 속성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8권 2호, 293-301.
  • 김정현·이명천·최현경 (2008). 메시지 유형과 수용자 요인이 자궁경부암 예방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겨울호, 77-103.
  • 김재휘·부수현·김희연 (2012). 공공캠페인 효과 촉진을 위한 SNS 커뮤니케이션 전략 해석수준 이론의 사회적 거리와 규범적 영향을 통한 설득. <한국광고홍보학보>, 14권 3호, 66-91.
  • 김지수 (2012).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12호, 261-268.
  • 김철민 (2006). 인쇄 광고에서 그림과 언어 카피의 상호작용. <한국심리학회지>, 7권 3호, 351-376.
  • 박가려·이호배 (2010). 배너 광고와 웹사이트 콘텐츠의 맥락간 일치성 및 광고유형이 광고노출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21권 4호, 115-146.
  • 박병금 (2007).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6권 3호, 505-522.
  • 박유식·경종수 (2002). 광고유형과 오디언스 특성이 공익광고이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 연구>, 13권 5호. 177-200.
  • 보건복지부 (2018, 1, 23). 정부, 자살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계획 마련·추진. URL: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3649&SEARCHKEY=TITLE&SEARCHVALUE=%EC%9E%90%EC%82%B4+%EB%C%B8%EC%A0%9C+%ED%95%B4%EA%B2%B0%EC%9D%84
  • 서울시정신보건사업지원단 (2007). 스트레스 위험요인과 상담에 관한 서울시민 인식조사. URL: http://seoulmentalhealth.kr/dataroom/report.jsp?cmd=view&test_num=2&page=8
  • 선혜진 (2018). 자살예방 캠페인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권 3호, 183-195.
  • 양경미·방소연·김순이 (2010).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269-269.
  • 엄태완 (2007). 노인 자살관련 요인:무망감과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 통제감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9권 2호, 355-379.
  • 우형진 (2008). 청소년의 YP활동과 인구통계학 및 사회심리학적 변인들이 유해매체물에 대한 태도, 인식,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8권 3호, 381-417.
  • 유성신·최용주 (2014).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소재로 한 광고의 설득효과 연구 : 기업광고의 표현 유형에 따른 태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6권 1호, 126-155.
  • 유승엽·김은희 (2019). 웹툰 맥락과 광고형태 및 게재위치에 따른 웹툰 속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광고>, 20권 1호, 1-30.
  • 유현경·윤유식 (2011). 컨벤션 광고의 인지적ㆍ정서적 태도에 따른 신뢰성 및 만족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3권 3호, 409-423.
  • 유현재·임재성·김인기 (2012). 가상의 자살예방 앱에 희망하는 기능들에 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24호, 57-89.
  • 유현재·조은선 (2013). 자살예방 공익광고에 대한 태도와 개인의 특성 간의 관계 연구. <광고학 연구>, 24권 3호, 173-196.
  • 이세진·추동엽·이재영 (2015). 모바일 배너광고의 맥락효과와 메시지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광고학연구>, 26권 1호, 167-185.
  • 이여진·고정자 (2010). 남녀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 154-155.
  • 이재영·이종민 (2016). 모바일 배너 광고의 메시지 표현 유형과 수사적 표현 방식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8권 3호, 81-107.
  • 이정기·최믿음 (2011). 자살 보도량과 심리적 변인이 대학생의 자살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2권 4호, 147-187.
  • 이정숙·권영란·김수진·최봉실 (2007).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6권 4호, 337-347.
  • 이혜규·백혜진 (2010). 흡연 환경이 규범 소구 금연 광고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2권 2호, 99-128.
  • 장현미 (2006). <공중건강캠페인에서 감정유도메시지가 태도와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각된 행위 통제감과 낙관적 편견의 매개적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정하윤·정귀임 (2013).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7권 3호, 149-160.
  • 조삼섭·한규훈 (2009). 여성암 조기검진 촉진 캠페인의 설득효과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보>, 11권 1호, 248-275.
  • 조성은·유선욱 (2011). 위험지각태도와 규범이 자궁경부암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우리나라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RPA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홍보학 연구>, 15권 1호, 58-98.
  • 차동필 (2007). 공포소구 메시지에서 위협과 효능감의 역할: 승수적 관계, 혹은 합산적 관계. <한국광고홍보학보>, 9권 2호, 339-364.
  • 최명일 (2007). 메시지 유형에 따른 에이즈 예방 캠페인 효과: 공포소구와 메시지 측면의 성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185-206.
  • 통계청 (2017). 2016년 사망원인통계. URL: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63269
  • 통계청 (2018). 2017년 사망원인통계. URL: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bSeq=&aSeq=370710&pageNo=1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 한규훈 (2011). 여성암 조기검진 촉진 메시지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건강신념요인의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3권 2호, 377-413.
  • 한상필 (1999). 광고소구유형, 소비자특성, 제품특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10권 1호, 223-242.
  • 한혜원·김유나 (2013). 한국 웹툰의 아이러니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3호, 469-502.
  • beSUCCESS (2017, 3, 30).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만화 앱 이용자 일주일에 593만 명. URL: http://besuccess.com/2016/03/wiseapp, .
  •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Ajzen, I., & Madden, T. J. (1986). Prediction of goal directed behavior: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2, 453-474. [https://doi.org/10.1016/0022-1031(86)90045-4]
  • Allport, G. W. (1935). Attitudes in CA Murchinson (Ed.)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Clark University Press, Worchester, MA, 798-844.
  • Bearden, W. O., Netemeyer, R. G., & Teel, J. E. (1989). Measurement of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4), 473–481. [https://doi.org/10.1086/209186]
  • Bettenhausen, K., & Murnighan, J. K. (1985). The Emergence of Norms in Competitive Decision-Making Group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0(3), 350-72. [https://doi.org/10.2307/2392667]
  • Cambell, J. D. & Lavellee, L. F.(1993). Who am I? The role of self-concept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people with low self-esteem, In R. Baumeister(Ed.), Self-esteem: the puzzle of low self-regard, 3-20. New York: Plenum. [https://doi.org/10.1007/978-1-4684-8956-9_1]
  • Cialdini, R. B, Reno, R. R., & Kallgren, C. A. (1990). A focus theory of normative conduct: Recycling the concept of norms to reduce littering in public pla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1015-1026. [https://doi.org/10.1037//0022-3514.58.6.1015]
  • Cialdini, R. B., & Trost, M. R. (1998). Social influence: Social norms, conformity and compliance. In D. T. Gilbert, S. T. Fiske, & G.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151-192. New York, NY, US: McGraw-Hill.
  • Cohen, C. I., Colemon, Y., Yaffee, R., & Casimir, G. J. (2008), Racial differences in suicidality in an older urban population, The Gerontologist, 48(1):71-78. [https://doi.org/10.1093/geront/48.1.71]
  • D’Rozario, D., & Choudhury, P. K. (2000). Effect of assimilation on consumer susceptibility tointerpersonal influenc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7(4), 290-307 [https://doi.org/10.1108/07363760010335321]
  • Deutsch, M., & Gerard, H. B. (1955). A study of normative and informative social influences upon individual judgment. Journal of Abnormmal and Social Psychology, 51, 629-636. [https://doi.org/10.1037/h0046408]
  • Edell, J., & Burke, M. (1987). The Power of Feelings in Understanding Advertising Effe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 421-433. [https://doi.org/10.1086/209124]
  • Edell, J. A., & Staelin, R. (1983).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Pictures in Print Advertisem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0(June), 45-61. [https://doi.org/10.1086/208944]
  • Erdelyi, M. H. & Becker, J. (1974). Hyperesthesia for Pictures: Incremental Memory for Pictures but Not Words in Multiples Recall Trial. Cognitive Psychology, 6(15), 9-171. [https://doi.org/10.1016/0010-0285(74)90008-5]
  •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u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Keller,Reading, MA: Addison-Wesley.
  • Fulk, J. (1993). Social Construction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5), 921-950 [https://doi.org/10.5465/256641]
  • Gallagher, K. M. & Updegraff, J A. (2012), Health Message Framing Effects on Attitudes, Intentions, and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46(1), 101-116. [https://doi.org/10.1007/s12160-011-9308-7]
  • Hofstede, G. (2001),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2nd ed. Sage, Thousand Oaks, CA.
  • Jhu, L. L. (2011). A study of group arts therapy on released depression for the new chinese student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 Johnston, K. L., & White, K. M. (2003). Binge-drinking: A test of the role of group norm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Psychology and Health, 18(1), 63-77. [https://doi.org/10.1080/0887044021000037835]
  • Keller, P. A., Lipkus, I. M. L., & Rimer, B. K. (2003). Affect, Framing, and Persua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0(1), 54-64. [https://doi.org/10.1509/jmkr.40.1.54.19133]
  • Lee, C. E., Remfert, J. L., & Gelembiuk, G. W. (2003). Evolution of Physiological Tolerance and Performance During Freshwater Invasions,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 43(3), 439–449. [https://doi.org/10.1093/icb/43.3.439]
  • Lutz, Kathy A. (1978). Imagery Eliciting Strategies: Review and Implications of Research,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5, 611-620.
  • Mourali, M., Laroche, M., & Pons, F. (2005). Individualistic orientation and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19(3), 164-173. [https://doi.org/10.1108/08876040510596849]
  • Nelson, D., Reed, V., & Walling, J. (1976). Pictorial superiority effec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Human Learning & Memory, 2, 523–528. [https://doi.org/10.1037//0278-7393.2.5.523]
  • Neuringer, C. (1967). The cognitiveorganizationofmeaning in suicidal individuals, Journal Psychology, 76, 91-100. [https://doi.org/10.1080/00221309.1967.9710744]
  •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Y: McGraw-Hill.
  •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515/9781400876136]
  • Rosenberg, M. (1986). Self-Concept from Middle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In: Suls, J. and Greenwald, A.G., Ed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elf, Vol. 3, Lawrence Erlbaum, Hillsdale, 107-135.
  • Rosenberg, M., & Hovland, C.(1960).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of Attitudes. In: Rosenberg, M., & Hovland, C., Eds., Attitude Organization and Change: An Analysis of Consistency among Attitude Components,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 Rossiter, J. R., & Percy, L. (1980). Attitude change through visual imagery in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9(2), 10-16. [https://doi.org/10.1080/00913367.1980.10673313]
  • Schiavo, R. (2013). Health communication: From theory to practice. John Wiley & Sons.
  • Sharaf, A. Y., Thompson, E. A., & Walsh, E. (2009). Protective effects of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on suicide risk behaviors among at-risk adolescents.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Nursing, 22(3), 160-168. [https://doi.org/10.1111/j.1744-6171.2009.00194.x]
  • Sorensen, G., Emmons, K., Stoddard, A., & Linnan, L. (2002). Do Social Influences Contribute to Occupational Differences in Quitting Smoking and Attitudes toward Quitting?.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3), 135-141. [https://doi.org/10.4278/0890-1171-16.3.135]
  • Spitzer, M., Fischbacher, U., Herrnberger, B., Gron, G., & Fehr, E. (2007). The neural signature of social norm compliance. Neuron, 56(1), 185-196. [https://doi.org/10.1016/j.neuron.2007.09.011]
  • Stack, S. (2000). Media impacts on suicide: A quantitative review of 293 findings. Social Science Quarterly, 81, 957-971.
  • Stack, S. (2005). Suicide in the media: A quantitative review of studies based on non-fictional stories.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35(2). 121-133. [https://doi.org/10.1521/suli.35.2.121.62877]
  • Thurstone, L. L. (1931). The measurement of social attitudes.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26(3), 249-269. [https://doi.org/10.1037/h0070363]
  • Weishaar, M. E. & Beck, A. T. (1992). Clinical and cognitive predictors of suicide,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uicide, New York: Guilford Press, 467-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