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Journalism Communication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4, pp.45-82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9
Received 02 Apr 2019 Revised 31 Jul 2019 Accepted 04 Aug 2019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4.002

북한이탈주민들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 : 신뢰도, 네트워크 그리고 적응도 분석을 중심으로

주재원** ; 김부열*** ; 정종우****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 부교수, 주저자 jwjoo@handong.edu
***KDI 국제정책대학원 조교수, 교신저자 bkim@kdischool.ac.kr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박사과정 econjwc@snu.ac.kr
North Korean Refugees’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 A Focus on Trust, Network, and Adaptation
Jae Won Joo** ; Booyuel Kim*** ; Jongwoo Chung****
**Associate Professor, Handong Global University jwjoo@handong.edu
***Assistant Professor,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bkim@kdischool.ac.kr
****PhD Candidate, Seoul National University econjwc@snu.ac.kr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들의 미디어 수용 행태와 한국사회에 대한 신뢰도(대인 신뢰, 제도 신뢰), 인적 네트워크, 그리고 적응도(체제 적응도, 사회 적응도) 간의 관계를 사회자본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북한이탈주민 1,0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자료를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이용은 제도에 대한 신뢰, 인적 네트워크 형성, 사회 적응과 관계가 깊으며 매체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하다. 둘째, 미디어 이용(TV, 신문)은 제도에 대한 신뢰를 통해 체제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신문 구독과 사회 적응 간 직접적 관계가 있으며, 신문과 인터넷 매체는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 축적 간 긴밀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사회에서 미디어의 영향력이 단순히 정보 전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인적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사회자본의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의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Since North Korean refugees are adapting to a new society through their active media use, this study examines North Korean refugees’ behaviors on media use and its association with trust (in terms of inter-personal and institutional trust), network, and their degree of adapt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For this research purpose, we analyze the survey data for 1,010 representative North Korean refugees conducted b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in 2016.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edia use is related to institutional trust, human network formation, and adaptation but its relations are differential by media type. Second, media use in terms of TV or newspaper is indirectly related to adaptation through institutional trust. Third, there is a direct association between newspaper and adaptation while newspaper and internet are indirectly related to adaptation through human net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 impact of media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simple information sharing as well as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and human network in a new society.

Keywords:

North Korean refugees, Media use, Social capital, Trust, Network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미디어 이용행태, 사회자본, 신뢰도, 인적 네트워크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한국개발연구원 (2018)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실태와 정책적 시사점』(조병구 편) 제5장 「북한이탈주민들의 미디어 수용과 재현 (김부열, 주재원 공저)」의 일부 내용을 추가 보완, 발전시킨 논문임을 밝힌다.

이 논문은 한동대학교 교내연구지원사업 제20180125호의 지원을 받아 게재되었음.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3A2075117).

References

  • 강내원 (2005). Unraveling the effects of media use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한국방송학보>, 19권 3호, 179-201.
  • 강내원 (2013). 세대집단의 매체이용과 사회자본이 제도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13권 4호, 5-42.
  • 강태영·황유선·강경미 (2011).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남한 텔레비전 시청 행위와 사회 적응. <한국언론학보>, 55권 6호, 82-102.
  • 곽정래·박승관 (2006). 새터민의 매스미디어 이용과 사회적응. <한국언론학보>, 50권 6호, 415-439.
  • 금희조 (2008). 미디어와 사회 자본. <커뮤니케이션 이론>, 4권 1호, 128-149.
  • 김동윤 (2009). 사회자본의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접근. <언론과학연구>, 9권 4호, 38-64.
  • 김동윤·이강형 (2012). 미디어와 사회자본의 관계. <언론과학연구>, 12권 2호, 78-112.
  • 김명혜 (2016). 50대 중년남성의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30권 1호, 36-70.
  • 김병로 (2014). 통일환경과 통일담론의 지형 변화. <통일문제연구>, 26권 1호, 1-33.
  • 김은미·조성동 (2012). 텔레비전과 사회자본. <한국언론학보>, 56권 1호, 105-131.
  • 민희 (2018).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정서적 상태, 소셜 미디어 이용 그리고 남한생활 만족도. <정보화정책>, 25권 2호, 67-83.
  • 박소라 (2008). 이민 2세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정체성과 문화적응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2권 6호, 237-257.
  • 박정란·강동완 (2012).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 ‘왜곡된 남한 상(像)’. <통일정책연구>, 21권 1호, 239-270.
  • 박진영·강태영 (2011). 매체 이용자 집단별 사회자본 상관분석: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따른 사회참여와 인적교류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8권 1호, 5-51.
  • 배영 (2007).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사회자본: 사회자본 논의의 이론적 쟁점과 실천적 과제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3권 2호, 54-81.
  • 신혜진·김영주 (2013).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지식과 개별 변인 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어의미학>, 42호, 57-79.
  • 양혜승 (2015). 지역 미디어 활용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지역 사회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과 미국 수용자의 차이. <한국언론학보>, 59권 6호, 365-394.
  • 염유식·김여진 (201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 형성과 유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사회학>, 45권 2호, 91-129.
  • 유지웅 (2007).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 <통일문제 연구>, 19권 1호, 145-175.
  • 이민규·우형진 (2004). 탈북자들의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에 따른 남한사회 현실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8권 6호, 248-273.
  • 이영원 (2013). 지역 정체성과 사회자본 구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중매체와 SNS 이용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권 6호, 636-662.
  • 이재신·이영수 (2012, 6월). <사회자본과 SNS>,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서울:한국프레스센터.
  • 이재열 (1998, 6). 민주주의, 사회적 신뢰, 사회적 자본. <계간사상>, 37호, 65-93.
  • 이주철 (2003). 북한주민의 남한 방송 수용 실태와 의식 변화. <통일문제연구>, 15권 2호, 315-338.
  • 이주호·배정환 (2011). 지방자치단체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제도 개선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권 7호, 335-344.
  • 이준웅·김은미·문태준 (2005). 사회자본 형성의 커뮤니케이션 기초. <한국언론학보>, 49권 3호, 234-261.
  • 이창현 (2000). 탈북자들의 남한방송 수용과 문화적응. <한국방송학보>, 14권 2호, 151-186.
  • 전영선 (2014).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 <통일인문학>, 58호, 99-126.
  • 정권·최창용 (2018). 탈북주민의 가치관, 적응도 및 삶의 만족도. <KDI 북한경제리뷰>, 2018년 4월호, 41-63.
  • 정병호 (2004). 탈북 이주민들의 환상과 부적응: 남한사회의 인식혼란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10권 1호, 33-62.
  • 정병호 (2014). 냉전 정치와 북한 이주민의 침투성 초국가 전략. <현대북한연구>, 17권 1호, 49-100.
  • 정의철·정미영 (2018). 베트남 이주여성의 공동체 미디어 참여가 문화적 시민권 구축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62권 5호, 136-172.
  • 정의철·정용복 (2016). 다문화 재현과 이주민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관계 및 정체성. <한국언론학보>, 60권 4호, 39-67.
  • 주재원 (2016). <민족주의와 미디어의 공공성>.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주재원 (2018). 매개된 북한이탈주민과 타자화의 문화정치: KBS 와 TV 조선의 뉴스 보도를 중심으로. <지역과 세계>, 42권 1호, 5-40.
  • 최정호·박선미 (2013). 북한이탈주민 거주지 분포의 특성과 영향 요인-경기도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권 3호, 71-85.
  • 최진희·주정민 (2014). 결혼 이주여성의 미디어 이용과 문화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아스포라연구>, 8권 2호, 7-39.
  • 통일부 (2009).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법률 제09358호.
  • 통일부 (2018). 홈페이지 북한이탈주민 현황. URL:https://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NKDefectorsPolicy/status/lately, /
  • 한국방송공사 통일방송연구소 (1998) 귀순, 탈북자들의 남북한 방송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보고서.
  •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권 1호, 161-177.
  • Ball-Rokeach, S. J. (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4), 485-510. [https://doi.org/10.1177/009365085012004003]
  • Ball-Rokeach, S. J., & DeFleur, M. L.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https://doi.org/10.1177/009365027600300101]
  • Berry, J. W., Kim, U., & Boski, P. (1987). Psychological acculturation of immigrants. In Y. Y. Kim & W. B. Gudykunst (Eds.), Crossᐨcultural adaptation: Current approaches (pp. 62ᐨ89). Newbury Park, CA: Sage.
  •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241-258). Westport, CT: Greenwood Press.
  •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0. [https://doi.org/10.1086/228943]
  • DeFleur, M. L., & Ball-Rokeach, S. J. (1989). Theories of mass communication (5th Ed.). NY:Longman.
  • Fukuyama, F. (2001) Social capital. In L. E. Harrison, & S. P. Huntington (Eds.), Culture matters: How values shape human progress (pp. 98-111). New York, NY: Basic Books.
  • Gao, G. & Gudykunst, W. B. (1990). Uncertainty, anxiety, and adap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4(3), 301-317. [https://doi.org/10.1016/0147-1767(90)90017-Q]
  • Georgiou, M. (2006). Diaspora, identity and the media: Diasporic transnationalism and mediated spatialities. New York NY:Hampton Press.
  • Helliwell, J. F., & Putnam, R. D. (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359, 1435-1446. [https://doi.org/10.1098/rstb.2004.1522]
  • Jeffres, L., & Hur, K. (1983). Media use for personal identification: Linking uses and gratifications to culturally significant goals. Mass Communication Review, 10, 6-12.
  • Jeffres, L. W., Lee, J. W., Neuendorf, K., & Atkin, D. (2007). Newspaper reading supports community involvement. Newspaper Research Journal, 28(1), 6-23. [https://doi.org/10.1177/073953290702800102]
  • Kapor, M. (1993). Where is digital highway really heading? Wired, 1(3), 53-59.
  • Kim, Y. Y. (1977). Communication patterns of foreign immigrants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4(1), 66-77.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7.tb00598.x]
  • Kim, Y. Y., & Gudykunst, W. B. (1988). Cross-Cultural Adaptation: Current Approaches. Newbury Park, CA:Sage. [https://doi.org/10.1016/0147-1767(88)90035-1]
  • Lee, W. N., & Tse, D. K. (1994). Changing media consumption in a new home: Acculturation patterns among Hong Kong immigrants to Canada. Journal of Advertising, 23(1), 57-70. [https://doi.org/10.1080/00913367.1994.10673431]
  • McLeod, J. M., Daily, K., Guo, Z., Eveland Jr, W. P., Bayer, J., Yang, S., & Wang, H. (1996). Community integration, local media use, and democratic processes. Communication Research, 23(2), 179-209. [https://doi.org/10.1177/009365096023002002]
  • Moon, S. J., & Park, C. Y. (2007). Media effects on acculturation and biculturalism: A case study of Korean immigrants in Los Angeles' Koreatown. Mass Communication & Society, 10(3), 319-343. [https://doi.org/10.1080/15205430701407330]
  • Moon, S., Kim, J., & McLeod, G. (2003). The impact of mass media on the acculturation of Korean immigrants in America.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23-27.
  • Norris, P. (1996). Does television erode social capital? A reply to Putnam. PS: Political Science & Politics, 29(3), 474-480. [https://doi.org/10.2307/420827]
  • Portes, A. (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1-24. [https://doi.org/10.1146/annurev.soc.24.1.1]
  • Putnam, R. D. (1993). Making Democracy Work.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Putnam, R. D.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 65-78. [https://doi.org/10.1353/jod.1995.0002]
  • Putnam, R. D.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NY: Simon & Schuster. [https://doi.org/10.1145/358916.361990]
  • Ríos, D. I., & Gaines Jr, S. O. (1998). Latino media use for cultural maintenanc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5(4), 746-761. [https://doi.org/10.1177/107769909807500409]
  • Schwartz, E., & Oram, A. (1996). Netactivism: How citizens use the internet. Boston, MA: O'Reilly & Associates, Inc.
  • Shah, D. V. (1998). Civic engagement, interpersonal trust and television use: An individual level assessment of social capital. Political Psychology, 19, 469-496. [https://doi.org/10.1111/0162-895X.00114]
  • Shah, D. V., McLeod, J. M., & Yoon, S. H. (2001). Communication, context and community: An exploration of print, broadcast and internet influences. Communication Research, 28, 464-506. [https://doi.org/10.1177/009365001028004005]
  • Shanahan, J., & Morgan, M. (1999). Television and its Viewers: Cultivation theory and researc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0511488924]
  • Sproull, L., & Kiesler, S. (1991). Connections: New Ways of Working in the Networked Organization. Cambridge, MA: MIT Press.
  • Subervi-Velez, F. A. (1986). The mass media and ethnic assimilation and pluralism: A review and research proposal with special focus on Hispanics. Communication Research, 13(1), 71-96. [https://doi.org/10.1177/009365028601300105]
  • Tarrow, S. (1998). Fishnets, internets, and catnets: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 collective action. In M. P. Hanagan, L. P. Moch, & W. te Brake (Eds.), Challenging authority: The historical study of contentious politics (pp.228-244). Minneapolis, Minnesot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Walker, D. (1999). The media's role in immigrant adaptation: How first-year Haitians in Miami use the media. Journalism & Communication Monographs, 1(3), 158-196. [https://doi.org/10.1177/152263799900100301]
  • Wellman, B. (1999). Networks in the global village. Boulder, CO: Westview.
  • Wellman, B. (2001). Physical place and cyber place: The rise of personalized networ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5,(1). [https://doi.org/10.1111/1468-2427.00309]
  • Woo, H. J., & Dominick, J. R. (2003). Acculturation, cultivation, daytime TV talk show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0(1), 109-127. [https://doi.org/10.1177/107769900308000108]
  • Yamamoto, M. (2011). Community newspaper use promotes social cohesion. Newspaper Research Journal, 32(1), 19-33. [https://doi.org/10.1177/073953291103200103]
  • Yaple, P., & Korzenny, F. (1989). Electronic mass media effects across cultures. In W. B. Gudykinst & B. Mody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p.295-317). Newbury Park,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