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Journalism Communication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6, pp.7-64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9
Received 11 Oct 2019 Revised 29 Nov 2019 Accepted 01 Dec 2019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6.001

언론 보도에 나타난 가짜뉴스 담론의 속성과 사회적 실천 방향

강주현*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강사 kmunhak@hanmail.net
The Attributes of Fake News Discourse and the Direction of Social Practice in Media Reports
Ju Hyun Kang*
*Instructor, Dept. of Communi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kmunhak@hanmail.net

초록

이 연구는 언론 보도에서 다루는 가짜뉴스 사례를 통해 우리 사회의 가짜뉴스 속성을 파악하고, 가짜뉴스에 관한 담론이 각 행위자들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가짜뉴스에 관한 담론에 따라 사회적 실천 논의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가짜뉴스 이슈는 주로 정치영역의 소재였고, 각 언론사들은 공통적으로 가짜뉴스를 심각하게 인식했다. 가짜뉴스 낙인은 공적 사안에 관한 의혹 제기를 가짜뉴스로 규정하며 논의를 회피하도록 했다. 그리고 맥락적 담론보다 부분적 사실 오류에 매몰되도록 했고, 갈등 상황에서 상대측 해석을 사실 논쟁으로 접근하며 가짜뉴스로 낙인찍었다. 또한 추정과 논리적 비약이 클 수밖에 없는 온라인 이용자의 담론 특성을 간과하고 있었다. 그 결과 정치 담론의 구조는 담론의 취지와 맥락적 타당성을 제대로 논하지 못한 채 사실 여부에 대한 시비로 흘렀다. 언론사의 보도 담론은 정치 권력, 언론사, 사회적 맥락이 상호 관계를 통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정치 권력과 언론이 협력적으로 담론을 형성하면 가짜뉴스 담론은 규제에 초점이 모아졌지만, 언론이 사회 맥락적 차원에서 외부 전문가와 정치 이데올로기가 접합할 때 규제보다는 표현의 자유가 더 중시되었다.

Abstract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fake news properties of our society through fake news discourse covered by media, and to find out how discourse on fake news is formed by each actor through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thod. It also looked at how the discussion of social practice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the discourse about fake news. The case of fake news presented in the media coverage of this study mainly involved subjects of the political sphere. In Korean society, the concept of fake news mainly referred to political falsehoods circulating socially, unlike the misinformation of the mainstream media as insisted upon by U.S. President Trump. All news outlets, in common, have taken the fake news issue seriously. Media reports were concerned about the possible damage and loss of image that fake news could place upon the victim, causing social confusion and distortion of public opinion. Political power evaluated its position on fake news or related issues according to the political camp'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rather than addressing ideal norms such as truth-seeking or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fake news issue. In particular, the ruling party and government agencies, which have political power, constantly criticized fake news and urged related agencies to take strong action. The opposition party also chose to take legal action when there was unfavorable fake news. However, the cases of fake news stigma and attacks introduced in the media reports were controversial in many respects. The stigma of fake news regarded suspicions on public affairs as fake news and was used as a means of avoiding responsibility by the parties. Further, it allowed them to be buried in partial factual errors rather than contextual discourse, and replaced the other side's interpretation with factual arguments rather than taking a communicative approach in the conflict situation, stigmatizing the issue as fake news. It also overlooked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online users, whose presumptions and logical leaps were large. As a result, the structure of political discourse flowed into a dispute over whether it was true or not without properly discussing the purpose and contextual validity of the discourse. Meanwhile, the media discourse was influenced by political power, the news media, and social contexts through mutual relations. When political power and the media collaboratively formed discourse, the fake news discourse was related to the interests of the political camp. While these media emphasized solutions such as legal regulation and media literacy, they revealed a double standard of advocating for freedom of expression when fake news discourse was politically disadvantageous.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dia integrated external experts and political ideologies at the social context level, the news media had various discussions on fake news discourse, and freedom of expression was more important than legal regulation.

Keywords:

fake news, fake news discourse, freedom of expressi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키워드:

가짜뉴스, 가짜뉴스 담론, 표현의 자유, 비판적 담론 분석

Acknowledg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Grant from the KSJCS Research Program <Future Media Research Initiative 2019>.

References

  • Allan, S. (2006). Online news Journalism and the Internet. UK: Open University Press.
  • Arendt, H. (1958). The human condition. Chicago, Illinois: The University of Chicago.
  • Bakalis, C. (2018). Rethinking cyberhate laws.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law, 27(1), 86-110. [https://doi.org/10.1080/13600834.2017.1393934]
  • Bang, S. H., & Lee, G. (2013). Exploring the unconstructed reality: A comparative analysis of frames on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between daily newspapers and press release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7(1), 163-186.
  • Baym, G. (2005). The Daily Show: Discursive integration and the reinvention of political journalism. Political Communication, 22, 259-276. [https://doi.org/10.1080/10584600591006492]
  • Bendall, M. J., & Robertson, C. (2018). The crisis of democratic 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a & Cultural Politics, 14(3), 383-391. [https://doi.org/10.1386/macp.14.3.383_7]
  • Berkowitz, D., & Schwartz, D. A. (2016). Miley, CNN and The Onion: When fake news becomes realer than real. Journalism Practice, 10(1), 1-17. [https://doi.org/10.1080/17512786.2015.1006933]
  • Brewer, P. R., & Marquardt, E. (2007). Mock news and democracy: Analyzing The Daily Show. Atlantic. Journal of Communication, 15(4), 249-267. [https://doi.org/10.1080/15456870701465315]
  • Brubaker, J. (2008). Best supporting actor: The third-person effects of celebrity political endorsements. Ohio Communication Journal, 46, 1-13.
  • Buturoiu, R., Durach, F., Udrea, G., & Corbu, N. (2017). Third-person perception and its predictors in the age of Facebook. Journal of Media Research, 10(2), 18-36. [https://doi.org/10.24193/jmr.28.2]
  • Carabine, J. (2001). Unmarried motherhood 1830-1990: A genealogical analysis. In Wetherell, M. & Taylor, S. & Yates, S. (eds) Discourse as data: A guide for analysis (pp. 267-310). London: Open University Press.
  • Davison, W. P. (1983). The third-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Public Opinion Quartely, 47, 1-15. [https://doi.org/10.1086/268763]
  • Deligiaouri, A. (2018). Discursive construction of truth, ideology and the emergence of post-truth, narratives in contemporary political commun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a & Cultural Politics, 14(3), 301-315. [https://doi.org/10.1386/macp.14.3.301_1]
  • Elliott, D. (2007). Getting Mill right. Journal of Mass Media Ethics, 22(2&3), 100-112. [https://doi.org/10.1080/08900520701315806]
  • Fairclough, N. (1992). Discourse and social change. UK: Cambridge.
  • Garrett, R. K., & Stroud, N. J. (2014). Partisan paths to exposure diversity: differences in pro- and counterattitudinal news consump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64, 680-701. [https://doi.org/10.1111/jcom.12105]
  • Golan, G. J., & Lim, J. S. (2016). Third person effect of ISIS’s recruitment propaganda: Online political self-efficacy and social media activis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0, 4681-4701.
  • Hardy, C., & Phillips, N. (1999). No joking matter: Discursive struggle in the Canadian refugee system. Organization Studies, 20(1), 1-24. [https://doi.org/10.1177/0170840699201001]
  • Hoffner, C., & Buchanan, M. (2002). Parents’ responses to television violence: the third-person perception, parental mediation, and support for censorship. Media Psychology, 4, 231-252. [https://doi.org/10.1207/S1532785XMEP0403_02]
  • Hwang, Y., & Kwon, O. (2017). A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and regulation measures on fake news: Focused on self-regulation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Journal of Media Law, Ethics and Policy Research, 16(1), 53-101.
  • Jeong, I. (2010). A trend analysis of the metro sections of news media in Korea during 1998 and 2009.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50, 143-163.
  • Kang, M.-K. (1994). A study on the reality composition of economic crisis in economic news. Media & Society, 3, 92-131.
  • Kenyon, A. T., Svensson, E., & Edström, M. (2017). Building and sustaining freedom of expression: Considering Sweden. Nordicom Review, 38(1), 31-45. [https://doi.org/10.1515/nor-2016-0043]
  • Kim, K.-H. (2012). Changes in news consumption and the evolution of news through news portals and websites of news outlets.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49(2), 5-36. [https://doi.org/10.22174/jcr.2012.49.2.5]
  • Kim, S.-H., & Kim, B.-S. (2006). An investigation on the process of the journalistic construction of social polariz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broadcasting new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6(3), 99-140.
  • Ladyman, J. (2001). Understanding Philosophy of Science. London: Routledge.
  • Lee, C. (2012). A study on characteristics, sensationalism and reality representation of CCTV video on TV news. Broadcasting & Communication, 13(4), 5-43.
  • Lee, W. (2018). What is fake news? -A multidimensional discussion of fake news concepts and scopes-. Journal of Media and Defamation Law, 4(2), 173-214.
  • Lo, V., & Wei, R. (2002). Third-person effect, gender and pornography on the interne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6(1), 13-33.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601_2]
  • Marechal, N. (2015). Ranking digital rights: human rights, the internet and the fifth estat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9, 3440-3449.
  • Mill, J. S. (1982). On Liberty (Shields, C. V. ed.). Indianapolis: Bobbs-Merrill Educational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859).
  • Oh, S. W., Jeong, S.-H., & Park, A. R. (2017). Fake news status and issue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 Park, D. (2015). A study of double validity claims in quotations: News source network analysis of news on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in the Dong-A Ilbo and the Hankyoreh.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9(5), 121-151.
  • Park, H.-W. (2004). The concept of media account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reconsidered. Media & Society, 12(3), 8-54.
  • Perloff, R. M. (1999). The third-person effect: A critical review and synthesis. Media Psychology, 1, 353-378. [https://doi.org/10.1207/s1532785xmep0104_4]
  • Phillips, N., & Hardy, C. (2002). Discourse analysis: Investigating processes of social construction. Thousands Oaks: Sage. [https://doi.org/10.4135/9781412983921]
  • Rhee, J. W., Yang, S.-M., Kim, K. C. & Song, H. J. (2007). Direct quotations in newspaper headlines in the coverage of the local election on May 31, 2006.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1(3), 64-90.
  • Shoemaker, P. J., & Reese, S. D. (1996).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2nd ed.). New York: Longman.
  • Shudson, M. (2011). The sociology of news (2nd ed.). New York: W.W.Norton & Company.
  • Song, Y.-H. (2005). A study on the rhetorical devices to enhance the factuality in the news of the society pages in Korean national newspap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9(3), 80-104.
  • Ştefanita, O., Corbu, N., & Buturoiu, R. (2018). Fake news and the third-person effect: They are more influenced than me and you. Journal of Media Research, 11(3), 5-23. [https://doi.org/10.24193/jmr.32.1]
  • Stroud, N. J. (2010). Polarization and partisan selective exposure. Journal of Communication, 60, 556-576. [https://doi.org/10.1111/j.1460-2466.2010.01497.x]
  • Sunstein, C. R. (2009). Going to extremes: How like minds unite and divide. UK: Oxford.
  • Supreme Court (2011, 9, 2). Sentence 2009da52649 the supreme court decision. Retrieved from https://glaw.scourt.go.kr/wsjo/panre/sjo100.do?contId=2060160&q=%EA%B4%91%EC%9A%B0%EB%B3%91&nq=&w=panre&section=panre_tot&subw=&subsection=&subId=1&csq=&groups=6,7,5,9&category=&outmax=1&msort=&onlycount=&sp=&d1=&d2=&d3=&d4=&d5=&pg=1&p1=&p2=&p3=&p4=&p5=&p6=&p7=&p8=&p9=&p10=&p11=&p12=&sysCd=WSJO&tabGbnCd=&saNo=&joNo=&lawNm=&hanjaYn=N&userSrchHistNo=&poption=&srch=&range=&daewbyn=N&smpryn=N&idgJyul=01&newsimyn=Y&tabId=&save=Y&bubNm=
  • Tuchman, G. (1978).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New York : Free Press.
  • Wihbey, J. P. (2019). The social fact: News and knowledge in a networked world. MA: The MIT press.
  • Yoo, E. (2018). Legal regulation of fake news: Focusing on the protection of societal legal interest. Journal of Media Law, Ethics and Policy Research, 17(2), 39-68. [https://doi.org/10.26542/JML.2018.8.17.2.39]
  • Youn, S., Faber, R. J., & Shah, D. V. (2000). Restricting gambling advertising and the third-person effect. Psychology & Marketing, 17(7), 633-649. [https://doi.org/10.1002/(SICI)1520-6793(200007)17:7<633::AID-MAR4>3.0.CO;2-B]
  • Yun, S. O. (2018). A discussion on the concept and scope of fake news. Journal of Media Law, Ethics and Policy Research, 17(1), 51-84. [https://doi.org/10.26542/JML.2018.4.17.1.51]

Appendix

부록 1

  • 강명구 (1994). 경제뉴스에 나타난 경제위기의 현실구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 사회>, 3권, 92-131.
  • 김경희 (2012). 뉴스 소비의 변화와 뉴스의 진화. <언론정보연구>, 49권 2호, 5-36.
  • 김상호·김병선 (2006). 방송 뉴스 분석을 통해 살펴본 양극화의 사회적 구성. <언론과학연구>, 6권 3호, 99-140.
  • 대법원 (2011, 9, 2). 선고 2009다52649 전원합의체 판결 [정정·반론]. Retrieved from https://glaw.scourt.go.kr/wsjo/panre/sjo100.do?contId=2060160&q=%EA%B4%91%EC%9A%B0%EB%B3%91&nq=&w=panre&section=panre_tot&subw=&subsection=&subId=1&csq=&groups=6,7,5,9&category=&outmax=1&msort=&onlycount=&sp=&d1=&d2=&d3=&d4=&d5=&pg=1&p1=&p2=&p3=&p4=&p5=&p6=&p7=&p8=&p9=&p10=&p11=&p12=&sysCd=WSJO&tabGbnCd=&saNo=&joNo=&lawNm=&hanjaYn=N&userSrchHistNo=&poption=&srch=&range=&daewbyn=N&smpryn=N&idgJyul=01&newsimyn=Y&tabId=&save=Y&bubNm=
  • 박대민 (2015). 사실기사의 직접인용에 대한 이중의 타당성 문제의 검토: <동아일보>와<한겨레신문>의 4대강 추진 논란 기사에 대한 뉴스 정보원 연결망 및 인용문 분석. <한국언론학보>, 59권 5호, 121-151.
  • 박홍원 (2004).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개념을 통한 사회책임이론의 재조명. <언론과 사회>, 12권 3호. 8-54.
  • 송용회 (2005). 한국 종합일간지 기사의 사실성 입증 기제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9권 3호, 80-104.
  • 오세욱·정세훈·박아란 (2017). <가짜뉴스 현황과 문제점>.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유의선 (2018). 가짜뉴스의 법적 규제. <언론과 법>, 17권 2호, 39-68.
  • 이준웅·양승목·김규찬·송현주 (2007). 기사 제목에 포함된 직접인용부호 사용의 문제점과 원인. <한국언론학보>, 51권 3호, 64-90.
  • 이창훈 (2012). CCTV영상의 보도 특성과 선정성, 현실 재현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3권 4호, 5-43.
  • 윤성옥 (2018). 가짜뉴스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논의. <언론과 법>, 17권 1호, 51-84.
  • 정일권 (2010). 사회면 기사 분석(1998년~2009년)을 통해 본 뉴스 미디어의 현실구성. <한국언론정보학보>, 50권, 143-163.
  • 황용석·권오성 (2017).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언론과 법>, 16권 1호, 53-101.
  • Allan, S. (2006). Online news Journalism and the Internet. UK: Open University Press. 한국언론재단 (편역) (2008). <온라인 뉴스: 저널리즘의 신세계>. 서울: 한국언론재단.
  • Arendt, H. (1958). The human condition. Chicago, Illinois: The University of Chicago. 이진우 (역) (2007). <인간의 조건>. 서울: 한길사.
  • Mill, J. S. (1982). On Liberty (Shields, C. V. ed.). Indianapolis: Bobbs-Merrill Educational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859). 서병훈 (역) (2005). <자유론>. 서울: 책세상.
  • Sunstein, C. R. (2009). Going to extremes: How like minds unite and divide. UK: Oxford. 이정인 (역) (2011). <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 서울: 프리뷰.
  • Ladyman, J. (2001). Understanding philosophy of science. London: Routledge. 박영태 (역) (2003). <과학철학의 이해>. 서울: 이학사.
  • Shoemaker, P. J., & Reese, S. D. (1996). Mediating the Message: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2nd ed.). New York: Longman. 김원용 (역) (1997) <매스미디어 사회학>. 서울: 나남출판.
  • Shudson, M. (2011). The sociology of news (2;nd ed.). New York: W.W.Norton & Company. 이강형 (역) (2014). <뉴스의 사회학>.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Tuchman, G. (1978).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New York: Free Press. 박흥수 (역) (1995) <메이킹 뉴스>. 서울: 나남출판.
  • 부록 2 : 가짜뉴스 담론분석 언론보도

  • 강병한 (2018, 2, 2). 홍준표, ‘류여해 주장 보도’ MBN에 “기자 철수” 한국당 출입금지. <경향신문>.
  • 강병한 (2018, 5, 6). ‘김성태 기습폭행’⋯판 키우려는 한국당. <경향신문>.
  • 경향신문 (2018, 10, 2). 민주사회의 적 가짜뉴스,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 <경향신문>.
  • 경향신문 (2018, 10, 16). 허위정보 잡는다며 권위주의 정권 흉내내는 법무부. <경향신문>.
  • 경향신문 디지털뉴스팀 (2018, 10, 10). “국민 5명 중 2명 모바일 동영상 ‘가짜뉴스’에 속는다”. <경향신문>.
  • 고미석 (2018, 10, 24). ‘엉망이다’. <동아일보>.
  • 구정은 (2018, 9, 4). 난민이 싫으면 석유를 끊어라. <경향신문>.
  • 권란 (2018, 2, 2). 홍준표 대표, ‘성희롱 의혹’ 보도한 언론에 “출입금지”. <SBS 뉴스>.
  • 권지윤 (2018, 10, 2). 인권교육이 동성애 찬성?⋯반대 운동에 결국 법안 철회. <SBS 뉴스>.
  • 김기태 (2018, 6, 26). 이재명 측, 김영환·김부선 고발⋯‘스캔들 의혹’ 검찰로. <SBS 뉴스>.
  • 김서중 (2018, 2, 4). 전통적 매체는 여전히 중요. <경향신문>.
  • 김성규 (2018, 6, 26). SNS에 지쳐가는 사람들. <동아일보>.
  • 김소정 (2018, 11, 16). 김성태·김용태“숙명여고 교무부장=김상곤 딸 담임” → ‘가짜뉴스’ 망신. <동아일보>.
  • 김재중 (2018, 10, 2). 이 총리 “가짜뉴스 더는 묵과못해”⋯가짜뉴스와 전쟁 선포. <경향신문>.
  • 김준석 (2018, 9, 30). 자유한국당도 “가짜뉴스 No”⋯자체 방송 확대하며 ‘대응’. <MBC 뉴스>.
  • 김지혜 (2018, 9, 28). 이 총리 “베트남 주석에게 쓴 방명록으로 가짜뉴스···야비한 짓 멈추시길”. <경향신문>.
  • 김태훈 (2018, 10, 13). 가짜뉴스를 피할 방법은. <경향신문>.
  • 김한솔 (2018, 3, 5). 민주당 가짜뉴스 449건 고소·고발⋯일부 교회 ‘민주당은 공산당’ 강연. <경향신문>.
  • 김한솔 (2018, 10, 16). 김태년 “가짜뉴스는 사회적 독극물,사회악”. <경향신문>.
  • 남지원 (2018, 3, 16). 두 달간 종이신문만 봤더니⋯소식 늦어 불편하지만 가짜 아닌 진짜뉴스를 읽게 된다. <경향신문>.
  • 노도현 (2018, 10, 11). “가짜뉴스 대책은 보수언론 재갈물리기” “정부가 대응하는 건 당연”. <경향신문>.
  • 노도현 (2018, 10, 18). 한유총 “박용진의 비리 유치원 명단은 가짜뉴스”⋯‘적반하장’. <경향신문>.
  • 노도현·박순봉 (2018, 1, 29). 방통위, 오보·가짜뉴스 대응 ‘민간 팩트체크’ 지원한다. <경향신문>.
  • 동아일보 (2018, 1, 9). 세계는 가짜뉴스와 전쟁⋯ 獨 24시간 방치에 640억원 물려.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8, 3, 23). 포털의 ‘댓글 개미지옥’에 병드는 대한민국. <동아일보>.
  • 동아일보 (2018, 12, 20). “군사합의 비판은 가짜뉴스”라는 軍의 비뚤어진 언론관. <동아일보>.
  • 동정민 (2018, 1, 25). 가짜뉴스, 伊선 경찰이 팩트체크⋯ 英은 전담조직 구성. <동아일보>.
  • 동정민 (2018, 8, 30). 獨도심 아수라장 만든 극우 가짜뉴스. <동아일보>.
  • 류인하 (2018, 3, 17). “아버지가 또 태극기집회에 가셨다” 가족갈등과 노인소외. <경향신문>.
  • 박세용 (2018, 10, 21). 가짜뉴스 사라질 수 있을까?⋯규제안 따져보니. <SBS 뉴스>.
  • 박순봉 (2018, 2, 2). 홍준표, MBN에 법적 조치 예고 “우리 당을 성희롱당으로 몰고가려는 음모”. <경향신문>.
  • 박영회 (2018, 7, 2). “문 대통령 뇌출혈”?⋯가짜뉴스 6배 빠르다. <MBC 뉴스>.
  • 박 용 (2018, 1, 9). 정부는 사이트 차단, SNS기업은 경고 표시, 학교는 판별교육. <동아일보>.
  • 박 용 (2018, 4, 23). 저커버그와 이해진은 ‘남탓’ 할 수 없다. <동아일보>.
  • 박지윤 (2018, 10, 31). ‘가짜 뉴스’ 만들기⋯이색 실험. <MBC 뉴스>.
  • 배재학 (2018, 1, 3). ‘혐오발언·가짜뉴스 방치하면 거액 벌금’ 세계 첫 시행. <SBS 뉴스>.
  • 배주환 (2018, 5, 17). 5·18 북한군 개입설⋯가짜뉴스에 공공기관 광고까지. <MBC 뉴스>.
  • 배준우 (2018, 1, 16). “가짜뉴스 등 선거범죄 무관용 원칙 구속수사”. <동아일보>.
  • 손택균 (2018, 1, 26). 프란치스코 교황 “가짜뉴스는 사탄의 속임수”. <동아일보>.
  • 서동일 (2018, 11, 19). 아프리카 국가들이 가짜뉴스를 피하는 방법. <동아일보>.
  • 서의동 (2018, 7, 4). 예멘 난민 사태가 일깨운 것들. <경향신문>.
  • 서혜연 (2018, 12, 19). 홍준표 ‘홍카콜라’ 첫 방송⋯“막말·가짜 뉴스” 비판. <MBC 뉴스>.
  • 선명수 (2018, 1, 28). 경찰, 6·13 지방선거 관련 가짜뉴스·해킹 집중 단속. <경향신문>.
  • 선명수 (2018, 8, 7) 이성호 인권위원장 “난민법 폐지 불가 환영⋯편견·혐오 확산 대응해야”. <경향신문>.
  • 신무경 (2018, 5, 17). ‘가짜뉴스’에 된통 당한 카카오. <동아일보>.
  • 오현석 (2018, 10, 1). 가짜 뉴스·이념 편향⋯극우성향 유튜브 채널 ‘골머리’. <MBC 뉴스>.
  • 우경임 (2018, 7, 31). SNS 기업 주가 폭락. <동아일보>.
  • 우병동 (2018, 6, 6). 시민 의식 일깨워주는 미디어 해독교육. <동아일보>.
  • 유설희 (2018, 4, 13). “가짜뉴스 중간유포자도 처벌” 지방선거 D-60 앞두고 경찰 ‘선거사범 수사상황실’ 열어. <경향신문>.
  • 윤다빈 (2018, 11, 20). 靑국민청원 절반이 ‘고발-처벌요구’⋯ 그중 14%는 팩트 오류. <동아일보>.
  • 윤완준 (2018, 2, 7). 가짜뉴스, 中유명포털-트위터서 활개⋯ ‘댓글 알바’ 200명-사이트 1만개 철퇴. <동아일보>.
  • 윤우열 (2018, 12, 13). 이언주, 김미화 ‘가짜뉴스’ 지적에 “위원장 개인 능력으로 갔나⋯팩트 궁금”. <동아일보>.
  • 윤태진 (2018, 9, 2). ‘가짜 뉴스’와 ‘나쁜 뉴스’. <경향신문>.
  • 이기홍 (2018, 11, 1). 가짜뉴스에 뒤늦게 분노한 집권세력. <동아일보>.
  • 이덕영 (2018, 5, 18) “‘5·18 북한군 개입설’, 이미 사실 무근으로 결론”. <MBC 뉴스>.
  • 이명희·이진주 (2018, 10, 22). 한국당 “일자리 약탈” 2차 총공세⋯여당은 “가짜뉴스” 맞불. <경향신문>.
  • 이범준 (2018, 12, 4). 스티븐 브라이어 미 연방대법관 “가짜뉴스·혐오표현이라도 누구나 하고픈 말하는 게 민주주의”. <경향신문>.
  • 이보라 (2018, 11, 23). 윤순진 서울대 교수 환경대학원 “성인 10명 중 6명, 가짜뉴스 접했다” ⋯ 가짜뉴스 출처는?. <경향신문>.
  • 이원주 (2018, 8, 31). “유튜브 찾으면 10대, 포털 검색하면 30대”. <동아일보>.
  • 이유진(2018, 7, 11). 언론·정치인의 ‘섣부른 입’ ‘난민 가짜뉴스’ 무한 확산. <경향신문>.
  • 이재민 (2018, 4, 15). 세월호 유가족 겨냥 가짜뉴스·SNS⋯‘이중삼중’ 가해. <MBC 뉴스>.
  • 이재우 (2018, 3, 6). ‘가짜뉴스’ 싹부터 잘라야. <동아일보>.
  • 이준웅 (2018, 3, 11). 진짜 언론이 필요한 이유. <경향신문>.
  • 이준웅 (2018, 8, 26). 가짜학회 가짜뉴스. <경향신문>.
  • 이준웅 (2018, 9, 30). [미디어 세상]인터넷 여론조작과 발언의 자유. <경향신문>.
  • 이지선 (2018, 1, 17). “동네 민주주의로 전환 기회⋯가짜뉴스 등 엄정 대처할 것”. <경향신문>.
  • 이지훈 (2018, 11, 17). 사실 확인도 전에 “여혐 폭행” 낙인⋯ 가짜뉴스 불지른 靑청원. <동아일보>.
  • 이필희 (2018, 11, 18). “진짜같은 가짜뉴스”⋯‘미디어 교육’으로 잡아낸다. <MBC 뉴스>.
  • 이필희 (2018, 11, 23). 10명 중 6명 “가짜뉴스 봤다”⋯주요 출처 ‘유튜브’. <MBC 뉴스>.
  • 임찬종 (2018, 10, 16). “가짜 뉴스 엄단” 법무부 발표에⋯“과거 정부와 뭐가 다른가”. <SBS 뉴스>.
  • 임찬종 (2018, 10, 17). “가짜뉴스 적극 수사” 발표 논란⋯과거 사례 보면 ‘우려’. <SBS 뉴스>.
  • 장연제 (2018, 12, 13). 김미화 “이언주, 내가 남북철도 추진위장이라니⋯가짜뉴스, 사과해”. <동아일보>.
  • 장원재 (2018, 2, 9). 日산케이, 가짜뉴스 들통나 망신. <동아일보>.
  • 장원재 (2018, 10, 9). 이낙연 총리 “가짜뉴스 대책 미흡하다” 발표 연기 지시. <동아일보>.
  • 장원재 (2018, 10, 24). 與자문교수도 “가짜뉴스 별도입법 반대”. <동아일보>.
  • 조동주 (2018, 10, 12). 가짜뉴스 수사-내사 56%가 ‘문재인 대통령 비방글’. <동아일보>.
  • 장훈경 (2018, 10, 21). 정부의 ‘가짜뉴스 전쟁’ 실효성 있나?⋯논란 계속. <SBS 뉴스>.
  • 전종환 (2018, 4, 17). ‘여론 조작’ 판치는 인터넷. <MBC 뉴스>.
  • 정은령 (2018, 10, 30). 허위정보와 길고 지루한 싸움을 해야 하는 이유. <경향신문>.
  • 정환보 (2018, 9, 28). 청, ‘팩트체크’로 신속 반격⋯강 대 강 치닫는 ‘심재철 폭로’. <경향신문>
  • 조은아 (2018, 1, 5). 佛도 가짜뉴스에 철퇴⋯ 선거기간엔 해당 웹사이트 차단. <동아일보>.
  • 주영재 (2018, 3, 2). 페이스북, 6개국서 뉴스피드 분리 실험⋯ “가짜뉴스 늘고 중요 뉴스 접근 막아” 비판. <경향신문>.
  • 주영재 (2018, 6, 25). SNS 피로도 왔나 ⋯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 가입률·이용시간 감소. <경향신문>.
  • 최인진 (2018, 6, 26). 김부선 “이재명, 진실을 호도하는 저열한 술수 중단하라”. <경향신문>.
  • 최인진 (2018, 11, 8). 경찰, 이재명이 고발한 김부선 사건, ‘불기소 의견’ 검찰 송치. <경향신문>.
  • 최재원 (2018, 8, 10). 트위터 이어 페이스북에도 ‘싫어요’ 늘어. <동아일보>.
  • 최정아 (2018, 5, 30). 김영환이 제기한 이재명 ‘형님·일베·여배우스캔들’ 의혹⋯이재명 해명 보니?. <동아일보>.
  • 최정아 (2018, 6, 26). 이재명 측, 김영환·김부선 고발⋯“‘옥수동 밀회’ 주장 명백한 거짓”. <동아일보>.
  • 최정아 (2018, 6, 27). 김영환 “이재명 직접 나서야” vs 李 측 “대책단 대응은 ‘타협 여지無’ 뜻”. <동아일보>.
  • 최정아 (2018, 11, 8). 이재명 “김영환·김부선 불기소 의견 송치, 경찰의 ‘답정너’⋯우리 부부 망신주기”. <동아일보>.
  • 한상우 (2018, 10, 18). 유치원 감사 결과 ‘실명 공개’⋯“집단 휴업·폐업 엄벌”. <SBS 뉴스>.
  • 한수연 (2018, 11, 20). “부담금은 원장 마음대로”⋯고사리손에 ‘가짜뉴스’ 배달. <MBC 뉴스>.
  • 한우신 (2018, 10, 25). ‘조사 부실했지만 채용비리는 가짜뉴스’라는 서울시. <동아일보>.
  • 허남설 (2018, 2, 4). “MBN 소송, 진주의료원 때처럼 끝까지 간다” 홍준표의 언론 길들이기. <경향신문>.
  • 허남설 (2018, 2, 7). 홍준표, ‘성희롱 의혹 보도’ MBN에 5억원 손배소. <경향신문>.
  • 허남설 (2018, 4, 29). 한국당, ‘홍준표 역풍’ 보도에 “추잡한 뉴스장사, 법적 대응”. <경향신문>.
  • 허남설 (2018, 10, 10). 여당에서도 정부 ‘가짜뉴스’ 대응 비판. <경향신문>.
  • 허동준 (2018, 6, 1). 법무-행안장관 “가짜뉴스엔 무관용 처벌”. <동아일보>.
  • 허동준 (2018, 10, 17). 중대 가짜뉴스, 고소고발 없어도 수사. <동아일보>.
  • 홍정수 (2018, 5, 7). “네이버, 단식기사 편향배치⋯ 가짜뉴스 방치”. <동아일보>.
  • 홍정수 (2018, 11, 17). 가짜뉴스로 김상곤 공격한 김용태⋯ 2시간만에 “사과”. <동아일보>.
  • 황성호 (2018, 6, 7). 성명서 명단, 페북 생중계도 ‘교묘한 조작’. <동아일보>.
  • 황성호 (2018, 6, 7). 지방선거 ‘가짜뉴스’⋯ 4년전의 4배 난무. <동아일보>.
  • MBC 뉴스 (2018, 6, 15). SNS 지라시·가짜뉴스 맹신 外. <M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