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Articl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5, No. 4, pp.70-105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21
Received 02 Feb 2021 Accepted 16 Jul 2021 Revised 30 Jul 2021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21.65.4.002

코로나19 뉴스 프레임이 개인에 대한 처벌 정책 지지에 미치는 영향 : 책임 인식과 분노의 매개효과

최종혁** ; 소지연***
**JTBC 기자/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 storist@jtbc.co.kr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언론홍보대학원 부교수 jso@yonsei.ac.kr
The Effects of COVID-19 News Frames on Support for Punishment Policy in Individuals : The Mediating Effects of Responsibility Perception and Anger
Jonghyeok Choi** ; Jiyeon So***
**Reporter, JTBC/Master,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Yonsei University storist@jtbc.co.kr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cation,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jso@yonsei.ac.kr

초록

본 연구는 신종 감염병을 인식하고 대응하는 과정에서 뉴스 프레임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신종 감염병은 불확실성이 크고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해, 사람들의 인지적 반응인 책임 인식과 정서적 반응인 감정에 주목해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사례로 하여, 뉴스의 주요 프레임으로 일화적 프레임과 주제적 프레임을 선정하고, 온라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화적 프레임은 주제적 프레임보다 개인의 책임에 대한 인식에 더 큰 영향을 미쳤고, 개인의 책임에 대한 인식은 분노 유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일화적 프레임은 개인의 책임에 대한 인식과 분노를 매개로 처벌 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뉴스 프레임에 따른 사람들의 책임 인식의 차이를 재확인하였으며, 신종 감염병 보도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사람들의 인지적 반응과 정서적 반응의 역할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함의를 찾아볼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news frames in influencing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to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their effects on related policy support. Specifically, we selected episodic frame and thematic frame as the main frames of news coverage on COVID-19 and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an episodic frame had greater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individuals’ responsibility than a thematic frame, and that perception of individuals’ responsibility, in turn, led to greater levels of anger. Overall, the episodic frame led to greater support toward punitive policy through perceived responsibility and ang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reaffirmed the differences in the roles of episodic and thematic news frames on perceptions of responsibility and explained the differential framing effects on policy support by examining a mechanism involving individuals’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news.

Keywords:

News frame,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COVID-19,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Anger

키워드:

뉴스 프레임, 신종 감염병, 코로나19, 책임 인식, 분노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is based on Jonghyeok Choi’s M.A. thesis defended at Yonsei University(degree conferred in August 2020, Advisor: Jiyeon So). (본 논문은 최종혁의 석사학위 논문(2020년 8월, 지도교수: 소지연)의 일부를 수정, 보완한 것입니다.)

References

  • Ball-Rokeach, S. J., & DeFleur, M. L.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https://doi.org/10.1177/009365027600300101]
  •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 Briere, J. & Elliott, D. (2000). Prevalence, characteristics, and long-term sequelae of natural disaster exposure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3(4), 661-679. [https://doi.org/10.1023/A:1007814301369]
  •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 DeSteno, D., Petty, R. E., Rucker, D. D., Wegener, D. T., & Braverman, J. (2004). Discrete emotions and persuasion: the role of emotion-induced expectanc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1), 43. [https://doi.org/10.1037/0022-3514.86.1.43]
  • Dillard, J. P. & Peck, E. (2001). Persuasion and the structure of affect. Dual systems and discrete emotions as complementary model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7(1), 38-68. [https://doi.org/10.1111/j.1468-2958.2001.tb00775.x]
  • Dowler, K. (2003). Media consumption and public attitudes toward crime and justice: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crime, punitive attitudes, and perceived police effectivenes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and popular culture, 10(2), 109-126.
  • Druckman, J. N. (2001). The implications of framing effects for citizen competence. Political Behavior, 23(3), 225–256. [https://doi.org/10.1023/A:1015006907312]
  • Frijda, N. H. (1986). The emotions.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Berk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 Gross, K. (2008). Framing persuasive appeals: Episodic and thematic framing, emotional response, and policy opinion. Political Psychology, 29(2), 169–.192. [https://doi.org/10.1111/j.1467-9221.2008.00622.x]
  • Hallstone, M. (2000). Depicting the pirates of the emerald triangle: An ethnographic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on marijuana growers appearing in the San Francisco chronicle, 1982-1995. Journal of Criminal Justice and Popular Culture, 7(2), 45-68.
  • Heider, F. (1958).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New York, NY: Wiley. [https://doi.org/10.1037/10628-000]
  • Hirshberg, P., Dillman, D., & Ball-Rokeach, S. (1986). 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 Responses to the eruption of Mount St. Helens. Media, audience, and social structure.. Beverly Hills, CA: Sage.
  •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 636-654. [https://doi.org/10.1177/0013164403251332]
  • Igartua, J. J., Moral-Toranzo, F., & Fernàndez, I. (2011). Cognitive, attitudinal, and emotional effects of news frame and group cues, on processing news about immigration. Journal of Media Psychology, 23, 174-185. [https://doi.org/10.1027/1864-1105/a000050]
  • Iyengar, S. (1987). Television news and citizens' explanations of national affair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15-831. [https://doi.org/10.2307/1962678]
  • Iyengar, S. (1991).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ttps://doi.org/10.7208/chicago/9780226388533.001.0001]
  • Iyengar, S., &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https://doi.org/10.1177/009365093020003002]
  • Jamieson, K. H., & Campbell, K. K. (1982). Rhetorical hybrids: Fusions of generic elements. Quarterly Journal of Speech, 68(2), 146-157. [https://doi.org/10.1080/00335638209383600]
  • Jeong, S. H. (2009). Public's Responses to an oil spill accident: A test of the attribution theory and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Public Relations Review, 35(3), 307-309. [https://doi.org/10.1016/j.pubrev.2009.03.010]
  • Kim, S., & So, J. (2018). How Message Fatigue toward Health Messages Leads to Ineffective Persuasive Outcomes: Examining the Mediating Roles of Reactance and Inatten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3(1), 109-116. [https://doi.org/10.1080/10810730.2017.1414900]
  • Lazarus, R. S. (1991). Progress on a cognitive-motivational-relational theory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6(8), 819-834. [https://doi.org/10.1037/0003-066X.46.8.819]
  • Lecheler. S., Schuck, R. T., & de Vreese. C. H. (2013). Dealing with feelings: Positive and negative discrete emotions as mediators of news framing effects. The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38(2), 189-209. [https://doi.org/10.1515/commun-2013-0011]
  • Lerner, J. S., & Keltner, D. (2000). Beyond valence: Toward a model of emotion-specific influences on judgement and choice. Cognition & emotion, 14(4), 473-493. [https://doi.org/10.1080/026999300402763]
  • Lerner, J. S., Gonzalez, R. M., Small, D. A., & Fischhoff, B. (2003). Effects of fear and anger on perceived risks of terrorism: A national field experiment. Psychological Science, 14(2), 144–150. [https://doi.org/10.1111/1467-9280.01433]
  • Lerner, J. S., Li, Y., Valdesolo, P., & Kassam, K. S. (2015). Emotion and decision mak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6(1), 799-823.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010213-115043]
  • Lowrey, W. (2004). Media dependency during a large-scale social disruption: The case of September 11. Mass Communication & Society, 7(3), 339-357. [https://doi.org/10.1207/s15327825mcs0703_5]
  • Mackinnon, D. P., Lockwood, C. M., & Williams, J. (2004). Confidence limits for the indirect effect: Distribution of the product and resampling method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9, 99-128.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3901_4]
  • Nabi, R. L. (2002). Anger, fear, uncertainty, and attitudes: A test of the cognitive-functional model. Communication Monographs, 69(3), 204-216. [https://doi.org/10.1080/03637750216541]
  • Nabi, R. L. (2003). Exploring the framing effects of emotion: Do discrete emotions differently influe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information seeking, and policy preference? Communication Research, 30(2), 224–247. [https://doi.org/10.1177/0093650202250881]
  • Oatley, K. (1992). Best laid schemes: The psychology of emo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Pan, Z. & Kosicki, G. M. (1993). Framing analysis: An approach to news discourse. Political Communication, 10(1), 55-76. [https://doi.org/10.1080/10584609.1993.9962963]
  • Powell, T. E., Bommgaarden, H. G., Knut De Swert., & de Vreese, C. H. (2014). A clearer picture: The contribution of visuals and text to framing effects. Journal of Communication, 65(6), 997-1017. [https://doi.org/10.1111/jcom.12184]
  • So, J., Kim, S., & Cohen, H. (2017). Message fatigue: Conceptual definition, operationalization, and correlates. Communication Monographs, 84(1), 5-29. [https://doi.org/10.1080/03637751.2016.1250429]
  • Tuchman, G. (1978).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New York: Free Press.
  • Weiner, B. (1985). An attributional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y Review, 92, 548-573. [https://doi.org/10.1037/0033-295X.92.4.548]

Appendix

부록

  • 김경모·정은령 (2012). 내러티브 프레임과 해석 공동체: ‘전작권 환수 논란’의 프레임 경쟁과 해석 집단의 저널리즘 담론. <한국언론정보학보>, 57호, 109-136.
  • 김교헌·권선중 (2009). 태안 주민들의 재난 후 스트레스 반응: 사고 후 2개월과 8개월 시점의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13권 1호, 89-125.
  • 김민규·김주환·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상훈 (2020, 4, 5). 추가 확진자 절반이 해외유입⋯‘입국자 관리’고민 커지는 당국. <연합뉴스>. URL: https://www.yna.co.kr/view/AKR20200405029300017?-input=1195m
  • 김선호 (2020). 코로나19 관련 시민 인식 조사: 집회 및 시위제한과 개인정보수집은 “방역을 위한 필수조치”. <Media Issue>, 6권 5호, 1-12.
  • 김선호·양정애 (2015). 메르스 보도: ‘빠른 정보’보다 ‘정확한 정보’ 원해. <Media Issue>, 1권 9호, 1-6.
  • 김승대 (2019). 일부 대학생들의 신종 감염병에 대한 예방인식의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권 3호, 447-454.
  • 김연정 (2020, 5, 17). ‘코로나 고용한파’ 1~4월 실직자 208만명 역대 최대. <연합뉴스>. URL: https://www.yna.co.kr/view/AKR20200516045200002?input-=1195m
  • 김용 (2016). 국내 미디어의 메르스 보도 고찰. <의료커뮤니케이션>, 11권 1호, 39-50.
  • 김잔디 (2020, 3, 31). 정부 “자국민 입국금지 시행국도 없고, 법적으로도 절대 불바”. <연합뉴스>. URL: https://www.yna.co.kr/view/AKR20200331099751017?input=1195m
  • 김지훈 (2020, 5, 23). 코로나 막다 굶어 죽을 판⋯방역과 경제 사이 고민에 빠진 지구촌. <국민일보>. URL: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38840&code=11141100&cp=nv
  • 김호기 (2014). 재난발생의 직접적인 원인 야기자에 대한 중한 형의 부과를 통한 재난예방 가능성: 사회적/기술적 시스템에서의 위험지배의 구조와 형법의 역할. <형사정책연구>, 25권 3호, 89-125.
  • 김호기 (2015). 재난예방에 있어서 형법의 역할: 조직 등 시스템 운영주체 처벌을 통한 재난 예방의 가능성. <형사정책연구>, 26권 4호, 5-32.
  • 김활빈·오현정·홍다예·심재철·장정헌 (2018). 미디어 이용이 신종 감염병에 대한 위험 인식과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 처리 전략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119호, 123-152.
  • 류준혁·정승민 (2011). 지역 주민의 범죄 위험 인식 분석에 대한 연구-구체적 범죄 두려움 결정요인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7권 3호, 1-24.
  • 박아란·이소은 (2020). 인포데믹 탐색하기: 코로나19 관련 뉴스 및 정보 이용에 대한 6개국 조사. <Media Issue>, 특별호, 1-12.
  • 박이스리 (2018). <신종 감염성 질환 언론보도 프레임-신문의 신종플루와 메르스 보도 1 면 텍스트/시각적 정보 내용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주현 (2020). 언론의 이념성향에 따른 ‘코로나19’ 보도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보>, 64권 4호, 40-85.
  • 서울대 보건대학원 (2020). 코로나19 국민 위험 인식 조사(2차_유명순 외).
  • 송진미 (2020). 재난 상황에서의 이슈 선점과 정당 지지: 코로나 19 발생 전· 후 패널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조사연구>, 21권 4호, 63-91.
  • 송해룡·조항민 (2015). 국내언론의 질병관련 위험보도에 관한 특성연구: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방송뉴스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권 6호, 45-68.
  • 신재우 (2020, 4, 6). 최근 2주간 신규 확진자 절반은 해외입국자와 가족·지인. <연합뉴스>. URL: https://www.yna.co.kr/view/AKR20200406122100017?input­=1195m
  • 유성신·박현선·진범섭 (2016).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주관적 지식과 정부에 대한 신뢰 변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8권 2호, 237-273.
  • 이미나 (2015). 사회문제의 일화 vs. 주제적 프레이밍 방식에 따른 인지, 정의적 효과 비교. <시민교육연구>, 47권 3호, 147-183.
  • 이미현 (2000). <신문기사의 쟁점 제기 방식이 독자의 현실 구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영재 (2020, 5, 11). 코로나발 충격에 4월 실업급여 조원⋯월 기준 역대 최대. <연합뉴스>. URL: https://www.yna.co.kr/view/AKR2020051104­4200004?input­=1195m
  • 이정림·김도균 (2011).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의한 피해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취약성 변수: 사고 후 2008 년 9 월과 2010 년 10 월 시점의 패널자료 분석. <환경사회학연구 ECO>, 15권 2호, 269-298.
  •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대한 뉴스 프레임 구성방식이 의견형성에 미치는 영향: 내러티브 해석모형의 경험적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6권 1호, 441-482.
  • 이학식·임지훈 (2008).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서울: 법문사.
  • 임미영·안창현·감규식·유홍식 (2010). 박근혜에 대한 보도 프레임 분석: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원 3호, 457-498.
  • 임연희 (2017). ‘충청 대망론’에 대한 보도프레임 분석: 대전지역 일간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8권 2호, 19-39.
  • 임인재·나은영 (2019). 태풍 재난 보도 프레임과 구체적 감정의 차별적 영향: 유발된 슬픔과 분노의 매개효과 중심. <한국언론학보>, 63권 3호, 33-68.
  • 장정헌·김선호 (2014). 공감, 책임귀인, 그리고 분노가 이타적 처벌 의사에 미치는 영향: 2013년 남양유업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8권 5호, 97-122.
  • 주영기·유명순 (2010). 신문ㆍTV 뉴스의 신종 출몰형 질환 및 만성질환 보도 패턴 분석. <한국언론학보>, 54권 2호, 363-381.
  • 주영기·유명순 (2011). 한국 언론의 신종플루 보도 연구: 진단과 예후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5호, 30-54.
  • 주영기·유명순 (2016). 위험사회와 위험인식.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중앙방역대책본부 ‘코로나19 실시간 상황판’ 사이트(https://coronaboard.kr, )
  • 최믿음·정희수 (2018). 국내 재난 주관방송사의 재난보도 프레임 분석: 지카 바이러스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권 7호, 609-619.
  • 함승경·김혜정·김영욱. (2021). 코로나 19 언론보도 경향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이슈 주기 및 언론사 정치적 지향에 따른 주제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적용. 한국언론학보, 65권 1호, 148-189.
  • 허석재·민영 (2010). 사이버모욕죄 보도의 프레이밍 효과: 핵심 가치와 귀인 양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52호, 48-68.
  •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19권 1호, 161-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