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8 , No. 1

[ PR/Advertisement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4, pp. 193-229
Abbreviation: KSJCS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9
Received 05 Jun 2019 Revised 31 Jul 2019 Accepted 05 Aug 2019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4.006

귀인복잡성과 사후확신편향이 기업 위기에 대한 공중의 책임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장유미** ; 윤영민***
**고려대학교 미디어학과 박사과정, 주저자 (pamp999@korea.ac.kr)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교신저자 (ymyoon@korea.ac.kr)

Public’s Perception of Corporate Crisis Responsibility : The Influence of Attributional Complexity and Hindsight Bias
Yumi Jang** ; Youngmin Yoon***
**PhD student,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pamp999@korea.ac.kr)
***Professor,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ymyoon@korea.ac.kr)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연구는 기업 위기 책임성을 인식하는 데 있어 공중의 개인적 귀인 특성, 특히 귀인복잡성과 사후확신편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귀인복잡성이 위기에 대한 실제적, 도의적 책임성 인식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사후확신편향을 매개로 한 간접적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20-69세 성인남녀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으며,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복잡성은 실제적 책임성 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도의적 책임성 인식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끼쳤다. 둘째, 사후확신편향은 실제적 책임성 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도의적 책임성 인식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셋째, 실제적 책임성 인식은 도의적 책임성 인식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넷째, 귀인복잡성은 사후확신편향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위기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귀인복잡성과 사후확신편향의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논의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attributes of the public, expecially the individual’s attributional complexity and hindsight bias, in perceiving corporate crisis responsibility. To do th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447 ad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tributional complexity did not affect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but i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attributional complexity, the higher the perceived moral accountability of the company in a crisis situation. Second, hindsight bias affected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but it did not affect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hindsight bias, the higher the perceived actual responsibility of the company in a crisis situation. Third, the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Fourth, attributional complexity did not affect hindsight bia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influence of attributional complexity and hindsight bias on perceived crisis responsibility and the subsequent crisis communication.


KeywordsAttributional complexity, Hindsight bias, Actual responsibility perception, Moral responsibility perception
키워드: 귀인복잡성, 사후확신편향, 실제적 책임성 인식, 도의적 책임성 인식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제1저자의 석사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수정, 보완한 것임.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특별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고길곤·탁현우·강세진 (2015). 설문조사에서 문항의 역코딩 여부가 응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9권 3호, 515-539.
2. 김영욱 (2002). <위기관리의 이해: 공중관계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서울: 책과 길.
3. 김영욱 (2008).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현대 사회의 위험, 위기, 갈등에 대한해석과 대응>.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4. 김이슬·최윤형 (2015). 한국의 위기커뮤니케이션과 심정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19권 2호, 1-21.
5. 김지혜·황상재·손동영 (2015). 기업의 위기 이력이 공중의 책임 지각과 대응 메시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7권 3호, 33-64.
6. 박현식·하진홍 (2014). 위기대응 전략으로서의 사과와 활용 시점에 대한 양적 내용분석 연구: 최근 2 년간 국내 기업의 위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6권 3호, 181-218.
7. 성민정·김윤지·천정호·신서하·안세희 (2012). 조직의 위기 이력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위기 인식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4권 2호, 331-358.
8. 윤영민 (2007). 수용자의 관점에서 본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공중은 조직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한국언론학보>, 51권 6호, 424-442.
9. 윤영민·최윤정 (2008). 사과 포함 여부가 책임귀인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용에 미치는 영향: 방어적 사과 전략의 효용성 탐구. <한국언론학보>, 52권 5호, 207-226.
10. 윤영민·최윤정 (2011). 한국 공중의 도의적· 실제적 위기 책임성 지각과 사과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한국언론학보>, 55권 5호, 158-184.
11. 윤영민·구윤희 (2016). 정당성 이론과 책임성 지각으로 살펴 본 한국과 미국의 반기업 정서 기업의 잘못과 개인의 잘못에 대한 공중의 인식 실험 형식의 연구. <홍보학연구>, 20권 4호, 83-109.
12. 이상경·이명천 (2006). 기업위기에서 기업 이미지가 사과의 수용, 책임 귀인, 반복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삼성, 현대 자동차 CEO 위기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0권 2호, 197-231.
13. 이양구 (2010). 사후과잉확신편향에 관한 연구: 2008 미국 대선을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17권, 249-285.
14. 이현우·김윤진 (2011). 기업의 사전 명성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위기 발생 후 명성과 위기인식에 미치는 효과 연구. <홍보학연구>, 15권 2호. 5-39.
15. 차희원 (2002). 위기유형과 관계관리에 따른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홍보학연구>, 6권 2호, 189-232.
16. 최상진 (2006).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17. 최윤형·최세나 (2013). 위기 대응 전략의 일치성이 전략수용성과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96권, 194-220.
18. 최인철 (2004). 사후 과잉 확신 편향과 인과 추론.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권 1호, 137-152.
19. 최인철 (2007).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서울: 21세기북스.
20. 한정호·정지연 (2002). 조직체의 위기상황에 대한 공중들의 인식과 공중관계성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6권 2호, 633-674.
21. 한정호·조삼섭 (2009). 기업위기발생시 기업명성과 공중관계성이 공중들의 위기인식과 결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한국언론학보>, 53권 3호, 82-100.
22. Asch, S. E., & Zukier, H. (1984). Thinking about pers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1230-1240.
23. Benoit, W. L. (1995). Accounts, excuses, and apologies: A theory of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4. Choi, I., & Nisbett, R. E. (2000). Cultural psychology of surprise: Holistic theories and recognition of contradi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 890-905.
25. Choi, I., Dalal, R., Kim-Prieto, C., & Park, H. (2003). Culture and judgement of causal relev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46-59.
26. Cohen, L., Manion, L., & Morrison, K. (2007).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6th ed.). London: Routledge.
27. Coombs, W. T. (1998). An analytic framework for crisis situations: Better responses from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10, 177-191.
28. Coombs, W. T. (1999).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Thousand oaks, GA: Sage, 이현우 (역) (2001).<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9. Coombs, W. T. (2007a). Protecting organization reputations during a cris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Corporate Reputation Review, 10, 163-176.
30. Coombs, W. T. (2007b). Attribution theory as a guide for post-crisis communication research. Public Relations Review, 33, 135-139.
31. Coombs, W. T., & Holladay, S. J. (1996). Communication and attributions in a crisis: An experimental study in crisis communicatio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8, 279-295.
32. Coombs, W. T., & Holladay, S. J. (2001). An extended examination of the crisis situations: A fusion of the relational management and symbolic approache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13, 321-340.
33. Coombs, W. T., & Holladay, S. J. (2002). Helping crisis managers protect reputational assets: Initial tests of the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6, 165-186.
34. Coombs, W. T., & Holladay, S. J. (2004). Reasoned action in crisis communication: An attribution theory-based approach to crisis management. Responding to crisis: A rhetorical approach to crisis communication, 95-115.
35. Fischhoff, B. (1975). Hindsight is not equal to foresight: The effect of outcome knowledge on judgment under uncertaint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 288-299.
36. Fletcher, G. J., Danilovics, P., Fernandez, G., Peterson, D., & Reeder, G. D. (1986). Attributional complexity: An individual differences mea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875-884.
37. Hastie, R., & Kumar, P. A. (1979). Person memory: Personality traits as organizing principles in memory for behavi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25-38.
38. Hawkins, S. A., & Hastie, R. (1990). Hindsight: Biased judgments of past events after the outcomes are known. Psychological Bulletin, 107, 311-327.
39. Hon, L. C., & Grunig, J. E. (1999). Guidelines for measuring relationships in public relations. Institute for Public Relations.
40. Leary, M. R. (1981). The distorted nature of hindsight.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15, 25-29.
41. Leary, M. R. (1982). Hindsight distortion and the 1980 presidential elec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8, 257-263.
42. Lee, B. K. (2004). Audience-oriented approach to crisis communication: A study of Hong Kong consumers’ evaluation of an organizational crisis. Communication Research, 31, 600-618.
43. McAuley, E., Duncan, T. E., & Russell, D. W. (1992). Measuring causal attributions: The revised causal dimension scale (CDSII).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 566-573.
44. Newtson, D. (1973). Attribution and the unit of perception of ongoing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8, 28-38.
45. Nisbett, R. E. (2003). The Geography of thought. Free Press. 최인철 (역) (2004).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생각의 지도>. 서울: 김영사.
46. Pyszczynski, T. A., & Greenberg, J. (1981). Role of disconfirmed expectancies in the instigation of attributional process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0, 31-38.
47. Schkade, D. A., & Kilbourne, L. M. (1991). Expectation-outcome consistency and hindsight bia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49, 105-123.
48. Shaver, K. G. (1975). An introduction to attribution processes. Cambridge, MA: Wintrhrop Publishers. 최순영 (역) (1991). <귀인이론: 행위의 원인을 탐색하는 과정에 대한 사회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49. Swain, S. D., Weathers, D., & Niedrich, R. W. (2008). Assessing three sources of misresponse to reversed Likert item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5, 116-131.
50. Taylor, S. E., & Brown, J. D. (1988). Illusion and well-being: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ental 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103, 193-210.
51. Weick, K. (1995). Sensemaking in Organizations, Thousand Oaks: Sage.
52. Weiner, B. (1985a). An attributional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92, 548-573.
53. Weiner, B. (1985b). “Spontaneous” causal thinking. Psychological Bulletin, 97(1), 74-84.
54. Wilson, S. R., Cruz, M. G., Marshall, L. J., & Rao, N. (1993). An attributional analysis of compliance‐gaining interactions. Communications Monographs, 60, 352-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