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8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8, No. 1, pp. 307-347
Abbreviation: KSJCS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Feb 2024
Received 13 Oct 2023 Accepted 30 Jan 2024 Revised 02 Feb 2024
https://doi.org/10.20879/kjjcs.2024.68.1.009

지역방송의 유튜브 채널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
강주현*** ; 이진로**** ; 이윤복*****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연구교수 (kmunhak@pusan.ac.kr)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leejr@ysu.ac.kr)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강사 (kachibap@naver.com)

How to Activate Korean Local Broadcasters’ YouTube Channels?
Ju Hyun Kang*** ; Jinro Lee**** ; Yunbok Lee*****
***Research Professor, Region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search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first author (kmunhak@pusan.ac.kr)
****Professor, Department of Undeclared Major, Youngsan University, second author (leejr@ysu.ac.kr)
*****Lecturer, Department of Communi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kachibap@naver.com)
Funding Information ▼

초록

2000년 이후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IPTV, OTT 등의 등장과 확산은 방송 채널의 경쟁을 심화시켰고, 이 과정에서 지역방송은 경영 측면에서 개선은 고사하고, 악화일로의 길을 걸었다. 최근 유튜브 플랫폼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방송이 직면한 큰 과제는 유튜브 진출을 통해 축소된 이용자와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지역방송사의 유튜브 플랫폼의 운영 현황을 알아보고, 이들 방송사의 유튜브 플랫폼 운영에서 어려움은 무엇이고, 어떻게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지역 9개 방송사의 책임자급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와 대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어떤 지역방송사들은 적극적인 자원 활용으로 많은 구독자를 확보하고 높은 조회수를 얻고 있었다. 이들 방송사는 일찌감치 유튜브 채널 운영에 뛰어들거나, 뒤늦게 시작하더라도 적지 않은 인력을 투입하고 있었다. 지역방송사들의 어떤 채널들은 자사 방송사를 드러내지 않으면서 성공적인 구독자 확보와 수익을 거두고 있었다. 이들 방송사들의 유튜브 콘텐츠는 탈 지역적 성격이 강했다. 지역 방송사들의 유튜브 채널은 지역 콘텐츠의 비중은 줄이고 음악, 중앙 정치, 교육, 사건 사고 등의 콘텐츠는 늘려 전국과 해외 이용자를 확보하고자 했다. 이는 지역방송사 콘텐츠의 이용자 확대라는 점에서 긍정적일 수 있지만 지역 공동체의 삶을 다룬 콘텐츠의 약화를 가져올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어떤 지역방송사들은 인력과 예산에 대한 적극적 투자가 이뤄지지 못해 형식적인 운영에 가깝기도 했다. 이들 방송사는 유튜브 시장에서 투자 대비 기대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확신이 부족했고, 임기제 경영진들은 주로 단기 성과에 치중해 장기 투자는 다소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었다. 게다가 지역 민영 방송사들의 경우 구글과 CMS 계약을 맺은 서울의 MBC, 각 지역 MBC, 그리고 서울의 SBS와 달리 음원 저작권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콘텐츠 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방송에서 제작된 영상들을 유튜브 채널에서 다시 활용하기 어려운 점도 있었다. 지역 방송사의 유튜브 채널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인력과 예산 확보가 가장 우선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방송사들이 인력 양성과 콘텐츠 제작에서 지역 사회와 협력할 수 있는 모델 마련이 필요하다. 그러한 모델 마련을 근거로 제도적 지원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 민영 방송사들의 경우 저작권 문제를 해결해 줄 필요가 있다.

Abstract

Since 2000, the emergence and proliferation of cable, satellite, IPTV, and OTT services have intensified competition among broadcasters. In this process, local broadcasting has worsened rather than improved in terms of management. With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YouTube platform in recent times, a significant challenge for local broadcasters is to expand their diminishing audiences and influence by venturing into YouTube. From this background,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operation status of local broadcasters' YouTube platforms, what the difficulties are in operating these broadcasters' YouTube platforms, and how they can be activated.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written and face-to-face interviews with managers at nine broadcasting companies in the Gangwon,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regions. Som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were securing many subscribers and receiving high views through active use of resources. These broadcasting companies either jumped into YouTube channel operation early or invested a considerable amount of manpower even if they started late. Some channels of local broadcasters were successfully securing subscribers and earning profits without revealing their own broadcasters. The YouTube content of these broadcasters is close to being non-regional in nature. In the operation of local broadcasters' YouTube channels, the value of local content declined and they sought to secure users nationwide and overseas by increasing content such as music, central politics, education, and accidents. This can be positive in that it expands the number of users of local broadcasters' content, but it can also lead to a weakening of content that deals with the lives of local communities. However, some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failed to actively invest in manpower and budget, leading to almost perfunctory operations. These broadcasters lacked confidence that the YouTube market would produce the expected return on investment, and as excutives with limited term of officet focused only on short-term results, they tended to neglect long-term investmen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local private broadcasters, unlike MBC, local MBC, and SBS, which signed CMS contracts with Google, the copyright issue of sound sources was not resolved, so not only did they face difficulties in content production, but it was also difficult to reuse videos produced on broadcast on their YouTube channels. In order to activate a local broadcaster's YouTube channel, securing manpower and budget is the most important priority. To solve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del that allows local broadcasters to cooperate with local communities in training personnel and producing content. There is a need to seek institutional support based on such a model. At the same time, local private broadcasters need to resolve copyright issues.


KeywordsLocal Broadcasting, Digital Platforms, YouTube Channels, Locality
키워드: 지역방송, 디지털 플랫폼, 유튜브 채널, 지역성

Acknowledgments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NRF-2021S1A5C2A03086965].

This research substantially revised and amended the manuscript title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Strategies of Local Broadcasting YouTube Channels,” which was presented at the Spring Regular Academic Conference of the Korean Broadcasting Society in 2023(이 연구는 한국방송학회 2023 봄철정기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지역방송 유튜브 채널 운영 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원고를 대폭 보완하고 수정하였음).


References
1. Al-Rawi, A. K. (2014). The Arab Spring and online protests in Iraq.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8, 916-942.
2. Blitvich, P. G., Bou-Franch, P. & Lorenzo-Dus, N. (2013). Despierten, Latinos (‘Wake up, Latinos’): Latino identity, US Politics and YouTube. Journal of Language and Politics, 12(4)
3. Choi, C. S., & Hwang, S. (2020). What factors are more influential in viewing YouTube videos? : Based on the AHP model. Broadcasting & Communication, 21(3), 76-110.
최창식·황성욱 (2020). 유튜브 콘텐츠 이용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AHP 기법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1권 3호, 76-110.
4. Choi, S., Choi, S., & Lee, J. (2020). An analysis of M/V fandom on YouTube BTS M/V view, comment interaction, and meme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4(1), 7-45.
최순욱·최성인·이재현 (2020). 유튜브에서의 뮤직비디어 팬덤분석: BTS M/V의 시청, 댓글 상호작용, 밈 영상 제작. <한국언론학보>, 64권 1호, 7-45.
5. Collins, S. (2014). YouTube and limitations of fair use in remix videos. Journal of Media Practice, 15(2), 92-106.
6. Creswell, J. W., & Poth, C. N. (201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4th ed.).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역) (2021). <질적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7. Franklin, B. (2008). The future of newspapers. Journalism Studies, 9(5), 630-641.
8. Han, S. (2021). A qualitative study for the expansion of localism in local broadcasting in the digital platform era: Focused on the operation of YouTube channels of local TV stations in Gwangju. Studies of Broadcasitng Culture, 33(1), 87-123.
한선 (2021). 디지털 플랫폼 시대 지역방송의 로컬리즘 확장을 위한 질적 연구: 광주지역 지상파의 유튜브 채널 운영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33권 1호, 87-123.
9. Jeon, S., & Lee, J. H. (2020). News shift from Facebook to YouTube : An application of actor-network theory to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IT news articles.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111, 110-151.
전상현·이종혁 (2020). 뉴스는 ‘어떻게’ 페이스북에서 유튜브로 가게 되었나? : 행위자-연결망 이론 관점을 적용한 플랫폼 뉴스 보도의 의미 연결망 분석. 방송통신연구, 111호, 110-151.
10. Joo, E. (202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local media’s YouTube news channels : Focusing on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nd local daily newspaper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20(3), 109-154.
주은신 (2020). 지역 언론 유튜브 채널의 특징과 개선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지역 지상파 방송사와 지역 일간지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0권 3호, 109-154.
11. Jung, E. (2022). Strengthening the role of journalism in local broadcasting focusing on the voice of local broadcasting field as well as alternative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22(4), 100-145.
정의철 (2022). 지역방송 저널리즘 강화와 해결지향 저널리즘의 역할: 지역방송 현장의 목소리와 대안 탐색. <언론과학연구>, 22권 4호, 100-145.
12. Kang, J. (2016).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Jigum.
강진숙 (2016).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지금.
13. Kang, J. H. (2020). News user's news selection process and type in a multiple-media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4(5), 193-247.
강주현 (2020). 다매체 환경에서 뉴스 이용자의 뉴스 선택 과정과 유형. <한국언론학보>, 64권 5호, 193-247.
14. Kang, J. H. (2022). Hyper-localism in local media and changes in the category of locality : In-depth interview with a Busan-based YouTube channel operato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6(5), 95-136.
강주현 (2022). 지역 기반 미디어의 하이퍼 로컬리즘과 지역성 범주 변화. 부산 지역 기반 유튜브 채널 운영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한국언론학보>, 66권 5호, 95-136.
15. Kang, J. H., & Choi, C. (2021). Structural changes in local journalism and the future of local media :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newspaper journalist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5(1), 104-147.
강주현·최창식 (2021). 지역 언론의 구조적 악순환과 전략적 대안. <한국언론학보>, 65권 1호, 104-147.
16. Kang, J. H., & Kim, S. (2023). Local university students’ local news selection process and types : In-depth interview with local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local new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7(3), 5-48.
강주현·김소현 (2023). 지역 대학생들의 지역뉴스 이용 과정과 유형-지역뉴스를 집중 이용한 대학생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한국방송학보>, 37권 3호, 5-48.
17. Kim, B. S. (2020). A study on the YouTube platform utilization of local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the local MBC c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김병수 (2020). <지역 지상파방송의 유튜브 플랫폼 활용에 대한 연구: 지역 MBC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Kim, H. J. (2022). A study on how to respond to new media on local channels of general cable broadcasting : Focusing on the Youtube Platfor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김학준 (2022).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의 뉴미디어 대응 방안 연구: 지역 채널의 유튜브(YouTube) 활용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Kim, J., & Youn, S. (2019). How does hate speech become a business in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 Focusing on a talk/camcorder genre broadcast on YouTube and Afreeca TV.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3(3), 45-79.
김지수·윤석민 (2019). 인터넷 개인방송에서 혐오발언은 어떻게 비즈니스가 되는가? : 유튜브 및 아프리카TV 토크/캠방 방송에서의 여성혐오발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3권 3호, 45-79.
20. Kim, W.-G. (2014). The influence of portal site news services on online journalism in Korea: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r the power change in the news distribu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66(2), 5-27.
김위근 (2014). 포털 뉴스서비스와 온라인 저널리즘의 지형: 뉴스 유통의 구조 변동 혹은 권력 변화. <한국언론정보학보>, 66권 2호, 5-28.
21. Kim, Y. S. (2022). Understanding qualitative research and cultural technology journals. Hanam City: Paradigm Book.
김영순 (2022). <질적연구와 문화기술지의 이해>. 하남시: 패러다임북
22. Lee, H. E. (2019). Exploring YouTube as a form of technology and culture: Concepts of ‘flow’ and algorithm in digital culture network. Media & Society, 27(2), 5-46.
이희은 (2019).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 ‘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7권 2호, 5-46.
23. Lee, S., & Park, K. S. (2022). The YouTube platform strategy of local terrestrial broadcasts in the Jeju region and its factors of delay. Social Theory, 61, 36-73.
이서현·박경숙 (2022). 제주지역 지상파 방송의 유튜브 플랫폼 전략과 그 지체 요인. <사회이론>, 61권, 35-73.
24. Lee, S.-E. (2017). Temporal changes in TV viewing conven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synchroniza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1(1), 175-213.
이소은 (2017). TV 시청 관습의 시간적 변화: 동시화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1권 1호, 175-213.
25. Lee, S. S., & Chon, B. S. (2020).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derly-young generation perception on YouTube use motives : An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4(2), 76-104.
이상숙·전범수 (2020). 유튜브 이용 동기에 대한 세대 간 상호인식 차이: 중장년층과 청년층간 비교. <한국방송학보>, 34권 2호, 76-104.
26. Mallapragada, M. (2017). Immigrant activism: Narratives of the “H-4 Life” by Indian women on Youtube. Communication, Culture & Critique, 10, 76-92.
27. McQuail, D. (2010). Mass communication theory (6th ed.). London: SAGE Publication Ltd.
28. Oh, D. (2017). Effects of demographic features, use motives and personality of audience on usage of YouTube.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7(4), 122-162.
오대영 (2017). 수용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이용동기, 성격이 유튜브의 장르 이용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17권 4호, 122-162.
29. Oh, S. (2019). YouTube’s media orientation seen through algorithms. Kwanhoon Journal, 61(1), 11-17.
오세욱 (2019). 알고리즘으로 본 유튜브의 미디어 지향. <관훈저널>, 61권 1호, 11-17.
30. Oh, S., & Song, H. (2019). YouTube recommendation algorithm and journalism.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오세욱·송해엽 (2019).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과 저널리즘.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31. Park, J.-Y., & Park, S.-C. (2018). An analysis of media competition on Internet video service: Focusing on the gratification niche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35(2), 141-180.
박주연·박수철 (2018).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서비스별 이용자 충족차원 적소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권 2호, 141-180.
32. Ryu, Y. (2019). Debating the phenomenon of YouTube journalism: The rise of activism in journalism field and trans-boundarization of journalism.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3(6), 5-38.
유용민 (2019). 유튜브 저널리즘 현상 논쟁하기: 행동주의의 부상과 저널리즘의 새로운 탈경계화. <한국방송학보>, 33권 6호, 5-38.
33. Paige, S. R., Krieger, J. L., & Stellefson, M. L. (2017). The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on perceived trust in online health communication channels and source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2, 53-65.
34. Shin, D. (2014). A study of Internet portal's journalistic role: Focusing on the conflicts between journalism and portals. Communication Theories, 10(1), 169-212.
신동희 (2014). 인터넷 포털의 저널리즘적 역할에 관한 고찰 : 언론과 포털의 갈등구조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1호, 169-212.
35. Song, H., & Yang, J. (2017). Online news portal service and changes in news distribution: Big data analysis of Naver news in 2000-2017.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1(4), 74-109.
송해엽·양재훈 (2017). 포털 뉴스 서비스와 뉴스 유통 변화. <한국언론학보>, 61권 4호, 74-109.
36. Straubhaar, J., LaRose, R., & Davenport, L. (2016). Media now: Understanding media, culture, and technology. 김도연 외 6명 (역) (2016). <미디어 나우>. 서울: 한경사.
37. Won, S. S., & Kim, G. H. (2020). Self-expression of politicians on YouTube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 channel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4(3), 137-173.
원성심·김경호 (2020). 유튜브를 통한 정치인의 자기표현 : ‘인플루언서’ 채널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4권 3호, 137-173.
38. Yi, J., & Han, M. (2020). Exploratory study on searching for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nd intention of distribution of YouTube medical information. Advertising Research, 126, 80-109.
이준영·한미정 (2020). 의학정보 유튜브 콘텐츠의 이용과 확산의도의 영향요인 탐색 : 개인적 심리, 콘텐츠 평가, 사회규범, 그리고 인지된 유용성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26호, 80-109.
39. Yu, S., & Jung, Y. (202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nge of online video platform and the strategy of the broadcasting networks news content.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111, 68-109.
유승현·정영주 (2020). 뉴스 유통의 변동과 지상파 뉴스 콘텐츠의 대응전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지상파방송 유튜브 뉴스 채널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111호, 68-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