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archive

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 No. 3

[ Broadcast, Contents Cultur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3, pp. 229-273
Abbreviation: KSJCS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02 Feb 2019 Revised 31 May 2019 Accepted 03 Jun 2019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3.007

문화상품 교역에 미친 국가리스크 영향 분석 : 문명권과 문화적 거리 관점의 중력모형 적용
박종민** ; 황조혜*** ; 유종순****
**경희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주저자 및 교신저자 (jongmin@khu.ac.kr)
***경희대 호텔관광대학 교수 (HwangJ@khu.ac.kr)
****경희대 경제학과 박사과정 (type2boy@khu.ac.kr)

The Effects of Country Risk on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 Product Trades : the Application of Gravity Function Model by Huntington’s Civilizations and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Jongmin Park** ; Johye Hwang*** ; Jong Soon Yu****
**Professor,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Kyung Hee University (jongmin@khu.ac.kr)
***Professor, College of Hotel & Tourism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HwangJ@khu.ac.kr)
****Lecturer, Department of Economics, Kyung Hee University (type2boy@khu.ac.kr)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연구는 111개 국가들을 헌팅턴의 9개 문명권과 홉스테드의 문화적 거리로 분류한 후, 중력모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와의 교역액과 문화상품 수출입교역액에 미친 상대 국가들의 국가(정치, 경제, 재무)리스크 영향력을 17년간의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두 교역국의 1인당 GDP, 국가 간 거리변수, 문화적 차이를 적용한 중력함수 모형은 검증되었다. 더불어, 문화적 거리와 관계없이 경제리스크가 감소할수록 우리나라와의 교역액은 증가한 반면, 문화 근거리국가들과는 다르게 장거리국가들의 정치리스크가 감소할수록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문화상품 교역액 관련, 문화적 거리와 관계없이 정치리스크가 감소할수록 우리나라와의 문화상품 교역액이 증가한 반면, 문화 장거리국가들과 다르게 단거리국가들의 경제리스크가 증가할수록 우리나라와의 문화상품 교역액이 증가하였고, 문화 장거리국가들의 재무리스크가 감소될 때 우리나라의 문화상품 수입액이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문명권 별 특성을 보면, 상대 국가 내 리스크와 우리나라와의 문화상품 교역액이 부(-)의 인과관계에 있는 문명권은 라틴아메리카, 힌두, 서구, 정교 등이었고 정(+)의 인과관계였던 문명권은 이슬람, 아프리카 등이었다. 세부적인 결과의 함의가 논의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111 countries were classified into nine civilizations of Huntington and the cultural distance of Hopstead. Then, by appling the gravity model,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domestic risk (politics, economics, finance) in foreign countries on the trade volume and the amount of cultural contents import and export trade with Korea is analyzed through 17 years data. As a result, the gravity function model applying per capita GDP, inter - country distance variable, and cultural difference in the two trading countries was verified. In addition, regardless of cultural distance, as the economic risk decreased, the amount of trade with Korea increased. As the political risks of ‘the long - distance countries of culture’ decreased, the exports of Korea increased. Second, the amount of cultural contents related product trades, trade with Korea increased with decreasing political risk regardless of cultural distance. Yet, as the economic risks of ‘the short - distance countries of culture’ increased, the amount of cultural contents related product trade with Korea increased. Cultural contents related products imports of Korea increased when financial risk of ‘long - distance nations of culture’ decreased. Lastly, the civilizations in the negative causality between the their domestic risks and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 product trade with Korea were Latin America, Hindu, Western, and Orthodoxy and Islam and Africa were the opposit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KeywordsCountry Risk, Gravitational Theory, Cultural Contents Related Product Trades, Huntington’s Civilizations,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키워드: 국가리스크, 문화상품 교역액, 문화적 거리, 문명권, 중력모형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 2018S1A5A2A03031523).


References
1. 강한균 (2009). 동남아지역의 한류 문화콘텐츠가 한국의 수출과 FDI 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무역학회지>, 34권 1호, 29-47.
2. 고정민 (2007). 문화콘텐츠 경영전략. <Ceri 엔터테인먼트연구>, 8호, 263-265.
3. 고정민·안성아 (2014). 한국 문화콘텐츠산업 수출의 유형별 포지셔닝 및 전략방향. <문화경제연구>, 17권 3호, 139-159.
4. 권현호 (2011). 중국과의 문화상품 교역의 통상법적 쟁점과 대응방안. <국제경제법연구>, 9권 1호, 35-68.
5. 금희조 (2011). 소셜 미디어 이용과 다문화에 대한 관용: 연계형 사회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4호, 162-186.
6. 김기덕·신광철 (2006). 문화콘텐츠인문학:문화콘텐츠 입문. 북코리아, 14-17.
7. 김태하·오민진·김태준·임병하 (2012). 한국 방송 콘텐츠 수출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실증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9권 4호, 171-184.
8. 김승년·이상직 (2018). 한국의 아프리카 ODA 국가별 배분에서 공여국 경제적 요인의 중요성. <국제지역연구>, 21권 5호, 47-76.
9. 남상욱 (2016). 중력모형을 이용한 중국의 무역패턴과 무역리스크 분석. <리스크 관리연구>, 27권 2호, 1-27.
10. 남수중 (2011). 문화상품의 수출효과 분석-한국의 대 (對) 중, 대 (對) 일 수출 비교를 중심으로. <동북아경제연구>, 23권 1호, 1-32.
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신흥국의 국가리스크 비교분석 및 시사점>.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2. 박건영 (2014).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지역별 수출규모 분석. <무역연구>, 10권 2호, 361-382.
13. 박순찬 (2011). 동아시아 국가의 문화 차이와 무역. <동북아경제연구>, 23권 2호, 35-54.
14. 박순찬 (2014). 국가간 문화적 접근성이 수출집약도 및 수출다양도에 미치는 영향. <EU학 연구>, 19권 2호. 71-92.
15. 박승배·홍재원 (2016). 국가 간 거리가 K-pop 한류 컨텐츠의 온라인 글로벌 확산에 미치는 영향 - ‘강남스타일’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9권 1호, 95-113.
16. 박종민·김윤식 (2011). 도시 대표 리더십과 문화적 차이: 한국, 일본, 미국, 영국 50대 도시의 공식 웹사이트 내 시장 인사말 분석. <광고학연구>, 22권 1호, 81-101.
17. 박종민·유종순·임재환·박남수·연지영 (2018). 우리나라와의 문화콘텐츠 수출입교역액에 미친 미얀마, 중국, 일본 및 아시아 26개 국가의 국가리스크 영향 분석: 중력함수 모형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44권 2호, 67-101.
18. 오미영·박종민·장지호 (2003).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4권 1호, 149-177.
19. 왕선혜·임소영 (2017). 국가리스크가 한국 무역규모에 미치는 영향. <Asian Trade Risk Management>, 1권 2호, 19-42
20. 이상옥 (2011). 중력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교역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12권 4호, 417-432.
21. 이장혁·김가윤·우원석 (2014). K-POP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 YouTube조회수와 Google검색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19권 4호, 83-97.
22. 이재은·강지원·신정신·최용석 (2017). 한류콘텐츠 노출도가 일본인의 한국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민족중심주의, 한류콘텐츠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1권 6호, 51-65.
23. 이찬도 (2007). 아시아 시장에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수출의 One Source Multi-Use (OSMU) 효과분석-일본, 중국, 대만, 홍콩 시장을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9권 1호, 1-23.
24. 이찬도 (2013). 방송한류콘텐츠 비즈니스의 대외경쟁력 제고 방안. <e-비즈니스연구>, 14권 5호, 211-228.
25. 이찬도 (2015). 한류 문화콘텐츠의 대외수출경쟁력 분석: 출판·만화·애니메이션의 무역특화지수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권 3호, 93-104.
26. 이호규 (2013). 한류예술산업의 세계화 동향과 전망:K-POP, 국내 배우의 할리우드 진출을 중심으로. <콘텐츠문화>, 3호, 154-191.
27. 정용균·홍성구 (2009).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상품 국제유통과 수출 마케팅. <국제지역연구>, 12권 4호, 421-450.
28. 정홍주 (2000). 국가리스크 (Country Risk): 개념과 연구방향. <무역상무연구>, 13호, 439-452.
29. 정홍주·성수남·최유미 (2012). 무역리스크관리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무역학회지>, 37권 3호, 69-109.
30. 조준현·강흥중 (2013). 한류문화 확산에 따른 문화상품 수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14권 1호, 271-296.
31. 주정민 (2016). 한류 콘텐츠의 확산 및 지체 요인과 지속 가능성. <디아스포라연구>, 10권 2호, 321-345.
32. 채상수 (2009). <환율변동성이 동아시아 무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 외환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3. 최문성 (2012). 한류가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효과. <통상정보연구>, 14권 1호, 67-86.
34. 최아름 (2016). 무역리스크관리 연구동향 분석. <Asian Trade Risk Management>, 1권 1호, 21-42
35. 최수진 (2014). 한류에 대한 미·중 언론보도 프레임 및 정서적 톤 분석: 싸이의 ‘강남스타일’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8권 2호, 505-532.
36. 최종일·박순찬 (2008). 문화상품 수출이 상품 수출에 미치는 영향-우리나라의 대일 수출을 대상으로. <한일경상논집>, 40호, 129-151.
37. 하정함·김상현·장원호 (2016). 중국 내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수출과 한류 확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7호, 709-719.
38.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국가별 한류 콘텐츠 수출동향과 한국 상품 소비인식 분석. 2012-05호(통권53호).
39.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2014년 1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서울: Jinhan M&B.
40. 한국콘텐츠진흥원·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17).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2016/2015년 기준.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41. 한병섭·김보인 (2014). 국가 간 거리와 한류 문화콘텐츠 수출 간 관계 분석. <국제통상연구>, 19권 2호, 1-26.
42. 한충민·원성빈·김상묵 (2014). 심리적 거리가 한류 선호도와 한국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국제통상연구>, 19권 1호, 121-143.
43. 홍석경·박대민·박소정 (2017). 한류연구의 지식연결망 분석. <한국언론학보>, 61권 6호, 318-353.
44. 홍재원·박승배 (2014).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 확산에 관한 연구: 국가 간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19권 1호, 89-108.
45. 홍종배·박성순 (2013). 국내 방송통신콘텐츠 관련 통계데이터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21-323.
46. 황인원·김형종 (2017). 말레이시아 2016: 위기의 지속과 기회의 상실. <동남아시아연구>, 27권 1호, 131-161.
47. 황호선 (2005). 가격 및 소득변화의 무역에 대한 효과-주요 선진 7 개국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경제연구>, 23권 2호, 309-327.
48. Appadurai, A. (1996). Modernity at large: Cultural dimensions of globaliz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9. Armstrong, R. (2005). Blockbusters and trade wars: Popular culture in a globalized world. Canadian Journal of Communication, 30(1), 45-65.
50. Arndt, S. W. (1999). Glob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Economic Development: An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Review, 8(3), 309-318.
51. Castells, M. (2000).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revised version). Blackwell.
52. Chaney, T. (2018). The gravity equation in international trade: An explan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26(1), 380-398.
53. Charoensukmongkol, P., & Sexton, S. (2011). The effect of corruption on exports and import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Latin American Business Review, 12(2), 83-98.
54. De Jong, E., & Bogmans, C. (2011). Does corruption discourage international trade?.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27(2), 385-398.
55. Dinu, A. M. (2015). Risk types in international trade. Knowledge Horizons. Economics, 7(1), 92.
56. Elsass, P.M. & Veiga, J.F. (1994). Acculturation in acquired organization: A force-field perspective. Human Relations, 47(4), 431-453.
57. Friedman, T.L. (2005). The world is flat: A brief history of the twenty-first century. Farrar, Straus and Giroux.
58. Gokmen, G. (2017).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impact of cultural differences on trade.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127, 449-458.
59. Grant, P. S., & Wood, C. (2004). Blockbusters and trade wars. Popular Culture in a Globalized World, Vancouver.
60. Guiso, L., Sapienza, P., & Zingales, L. (2004). Cultural biases in economic exchange.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of Northwestern University working paper. Retrieved from: http://www.kellogg.northwestern.edu/faculty/sapienza/htm/cultural_biases.pdf.
61. Hofstede, G. (1983). National cultures in four dimensions: A research-based theory of cultural differences among nations. International Studies of Management & Organization, 13(1-2), 46-74.
62. Hoskins, C., & Mirus, R. (1988). Reasons for the US dominance of the international trade in television programmes. Media, Culture & Society, 10(4), 499-515.
63. Huntington, S. P. (1993). The clash of civiliz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64. Huntington, S. P. (1996). (The)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이희재 (역) 1997. <문명의 충돌>. 파주: 김영사
65. Huntington, S. P. (1996).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Simon & Schuster.
66. Linnemann, H. (1966). An econometric analysis of international trade flows. Amsterdam: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連結.
67. Lizardo, O. (2008). Cultural consumption in the fine and popular arts realms. Sociology Compass, 2(2), 485-502.
68. Martinez, J. V., & Sandleris, G. (2011). Is it punishment? Sovereign defaults and the decline in trade. Journal of International Money and Finance, 30(6), 909-930.
69. Moon, S., Mishra, A., Mishra, H., & Kang, M. Y. (2016). Cultural and Economic Impacts on Global Cultural Products: Evidence from US Movies.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24(3), 78-97.
70. Moser, C., Nestmann, T., & Wedow, M. (2008). Political risk and export promotion: evidence from Germany. The World Economy, 31(6), 781-803.
71. Oh, C. H., & Reuveny, R. (2010). Climatic natural disasters, political risk, and international trad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0(2), 243-254.
72. Pinto, F. (2004). Review: Blockbusters and trade wars: Popular culture in a globalized world.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7(4), 922-928.
73. PRS Group. (2011). ICRG methodology. The PRS Group.
74. Rose, A. K. (2005). One reason countries pay their debts: renegoti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77(1), 189-206.
75. Rowley, J. (2008). Understanding digital content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4(5-6), 517-540.
76. Smith, A. D. (1990). Towards a global culture? Theory, Culture, & Sociology, 7(2), 171-91.
77. Straubhaar, J. D. (1991). Beyond media imperialism: Assymetrical interdependence and cultural proximity.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8(1), 39-59.
78. Yogatama, A. R., & Hastiadi, F. F. (2016). The role of democracy and governance in the enhancement of Indonesian exports to the organization of the Islamic cooperation (OIC) countries. Journal of Economic Cooperation & Development, 37(4), 51.
79. Zhou, M. (2010). Multi dimensionality and gravity in global trade, 1950-2000. Social Forces, 88(4), 1619-1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