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 No. 2

[ PR Advertisement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2, pp. 145-176
Abbreviation: KSJCS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9
Received 08 Feb 2019 Revised 28 Mar 2019 Accepted 03 Apr 2019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2.005

기업 위기상황에서 선제공개전략(Stealing thunder)이 공중의 진정성인식과 위기커뮤니케이션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안전성 기준 위기유형, 사전평판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정현** ; 김수연***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 주저자 (hyonileee@gmail.com)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부교수, 교신저자 (sooyk@sogang.ac.kr)

The Effects of Stealing Thunder, Pre-crisis Reputation and Types of Crisis Based on Safety on Public’s Authenticity Perception and Crisis Communication Reactive Behavior
Lee, Jeong-Hyeon** ; Kim, Soo-Yeon***
**Master’s graduate, Sogang University (hyonileee@gmail.com)
***Associate Professor, Sogang University (sooyk@sogang.ac.kr)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위기대응전략, 안전성 기준 위기유형, 사전평판이 공중의 진정성인식 및 위기커뮤니케이션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총 351명 대상 2(위기대응전략: 선제공개/사후대응 전략)×2(안전성 기준 위기유형: 인체직접유해/인체무해)×2(사전평판: 좋음/나쁨) 집단 간 요인 설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중은 기업 위기상황에서 선제공개전략을 사후대응전략보다 더 진정성있게 인식하고 공격행동의도는 낮게 보였으며, 기업의 사전평판이 좋을 때 위기커뮤니케이션을 더 진정성있게 인식했다. 독립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위기유형과 대응전략에서 나타나서 인체유해위기의 경우 공중은 기업의 선제공개전략보다 사후대응전략에 공격행동의도를 높게 보였다. 또한, 사전평판과 대응전략에서도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나서 공중은 평판이 좋은 기업은 선제공개전략보다 사후대응전략을, 평판이 나쁜 기업은 사후대응전략보다 선제공개전략을 더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mployed a 2(crisis response strategy: stealing thunder vs. thunder)×2(types of crisis based on safety: health related crisis vs. non-health related crisis)×2(pre-crisis reputation: good vs. bad)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with 351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ed that stealing thunder strategy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public’s perception of authenticity and less negative impact on aggressive behavior than thunder strategy. When the corporation had a good reputation, public’s perception of authenticity is higher than when it had a bad reputation. Interaction effects were also found. When health related crisis happened, the public showed higher aggressive behavior intention towards corporation’s thunder strategy than stealing thunder strategy. When the corporation had a good reputation, public avoided the thunder strategy more than stealing thunder, while it avoided stealing thunder more than thunder strategy when the corporation had a bad reputation. This study provided meaningful implications of proactive communication strategy, stealing thunder, in crisis communication.


KeywordsStealing thunder strategy, Types of crisis based on safety, Pre-crisis reputation, Authenticity, Crisis communication Reactive behavior
키워드: 선제공개전략, 안전성 기준 위기유형, 사전평판, 진정성, 위기커뮤니케이션 반응행동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19년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입니다.


References
1. 김소연·성민정 (2010). 기업의 위기 이력과 평판이 공중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식품 사고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1권 2호, 81-105.
2. 김소연·차희원 (2014). 매체와 위기책임성, 그리고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위기인식 및 위기커뮤니케이션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8권 3호, 111-144.
3. 김소영·조창환 (2016). 광고 정보원의 진정성의 효과 연구. <광고연구>, 110호, 84-119.
4. 김영욱 (2003). <PR 커뮤니케이션: 체계, 수사, 비판 이론의 통합>.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5. 김영욱 (2006). 우리나라 조직의 사과 수사학: 신문에 난 사과광고문의 내용과 수용여부 분석. <광고학연구>, 17권 1호, 179-207.
6. 김영욱·성현정·장유진 (2014). 한국인의 위기 커뮤니케이션과 체면의 영향력 위기 유형, 위기커뮤니케이션, 체면민감성의 상호작용 중심. <홍보학연구>, 18권 3호, 155-184.
7. 김영욱·양정은 (2012). 한국인의 사과 지형: 지난 10년간 사과문의 조직 및 유형별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59호, 180-210.
8. 김예실·이희경 (2010). 진정성에 대한 고찰. <인간이해>, 31권 2호, 1-21.
9. 김재휘·안은미·김지호 (2006). 유대강도에 따른 정보방향성과 정보유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7권 1호, 93-112.
10. 김지윤·성민정 (2010). 위기 이력이 언론의 위기 보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 식품 안전사고의 보도 프레임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1권 6호, 131-158.
11. 김형석·김동성 (2015). PR 영역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진정성 척도 및 비교 연구: CSR과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의 진정성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10권 2호, 67-92.
12. 김효숙 (2010). 위기 상황에서 부정적 보도의 강도에 따라 평판의 면역효과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한국언론학보>, 54권 1호, 275-292.
13. 문비치·이유나 (2009). 조직 위기상황에서의 사과광고 메시지 전략과 용서: 개인정보유출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3권 6호, 354-378.
14. 문빛·문현기 (2014).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공중의 위기커뮤니케이션 행동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5권 6호, 169-193.
15. 문빛·박건희 (2016). 기업 위기 상황에서 신뢰와 불신의 선행 요인과 결과 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위기유형, 공중의 분노 및 부정적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20권 1호, 22-49.
16. 문빛·이유나 (2012). 관계경영의 새로운 효과지표. <한국언론학보>, 56권 2호, 167-197.
17. 박경인·조창환 (2014). SNS상의 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용자의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5권 5호, 153-180.
18. 박성현·김유경 (2014). 브랜드 진정성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6권 2호, 46-86.
19. 박은혜·김영욱 (2007). 언론 프레이밍과 이미지 회복 전략이 공중의 위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38호, 73-118.
20. 박종철·안우준·이한준 (2011). 부정적 언론보도에 대한 기업의 대응시점 효과. <한국마케팅저널>, 12권 4호, 113-136.
21. 박현식·하진홍 (2014). 위기대응 전략으로서의 사과와 활용 시점에 대한 양적 내용분석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6권 3호, 181-218.
22. 박현정 (2018, 9, 7). ‘풀무원 급식 케이크’ 식중독 의심환자 2천명 넘어. <한겨레>. URL: https://goo.gl/vtWhM5
23. 백인아 (2013). <기업의 진정성: 척도개발과 타당성 검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성민정·김수정 (2010). 소비자의 위험 인식에 따른 제품 구매 및 커뮤니케이션 행동. <한국광고홍보학보>, 12권 4호, 555-589.
25. 성민정·김윤지·천정호·신서하·안세희 (2012). 조직의 위기 이력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위기 인식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4권 2호, 331-358.
26. 신호창·문빛·조삼섭·이유나·김영욱·차희원 (2017). <공중관계 핸드북>.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7. 양정은 (2015). 국내 일간지의 식품위험 보도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5권 3호, 131-180.
28. 우미이 (2017). <위기이력이 기업평판에 미치는 영향: 기업 위기 정보의 선제공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유선욱 (2013). 진정성(authenticity) 효과. <한국언론학보>, 57권 6호, 7-34.
30. 유승희·차희원 (2015). 위기책임성, 명성위기유형, 위기대응 전략이 메시지효과와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 <광고학연구>, 26권 7호, 27-57.
31. 유은아·김현철 (2014). 페이스북 정보원과 메시지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 자아-브랜드 일치도와 동료 간 상호 영향도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5권 8호, 425-455.
32. 이경렬 (2014). SNS에 대한 이용자의 진정성 지각이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22권 1호, 5-33.
33. 이경렬·한송희 (2014). SNS에 대한 이용자의 진정성 지각이 온라인 구전의 수용확산에 미치는 영향: SNS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5권 8호, 213-240.
34. 이미나·홍주현 (2014). 기업의 위기 대응 전략에 따른 공중의 반응 분석: 트위터 상의 이슈 확산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8권 4호, 30-60.
35. 이삭 (2018, 10, 4). 대형마트 제품 유기농 우리밀 수제쿠키로 속인 미미쿠키… 관계당국 전방위 조사. <경향신문>. URL: https://goo.gl/6cCHxb
36. 이상경·이명천 (2007). 기업의 제품 관련 위기 유형과 대응 전략별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9권 3호, 186-218.
37. 이수기 (2018, 5, 12). 25세 이하는 페북, 35세 이상은 네이버밴드…SNS 이용도 세대차이. <중앙일보>. URL: https://goo.gl/pbt5Mc
38. 이승철·이유나 (2017, 11월). <SCCT의 한국적 특수성에 관한 원인 고찰: 사회 자본이 방어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추계학술대회 위기관리 분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39. 이영재 (2018, 7, 12). 가습기 살균제 피해 85명 추가 인정…총 607명으로 늘어. <연합뉴스>. URL: https://goo.gl/5k3Zfk
40. 이종혁·김수연 (2015). 기업 블로그 환경에서 공중 댓글의 방향성과 기업의 응답성에 따른 기업 평가 및 태도, 행동 의도의 차이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7권 4호, 5-40.
41. 이현우·손영곤 (2016). 국내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홍보학연구>, 20권 3호, 139-172.
42. 임지은·황장선 (2018). SNS를 활용한 기업의 CSR 커뮤니케이션. <한국광고홍보학보>, 20권 1호, 87-125.
43. 정희정·이철한 (2013). 식품업계의 위기관리 PR 전략에 따른 수용효과. <언론과학연구>, 13권 2호, 329-369.
44. 조수영·이민우 (2009). 위기 유형에 따른 사과문 선호도 연구. <홍보학연구>, 13권 2호, 99-132.
45. 조정열 (2004). 미디어크러시와 위기 커뮤니케이션: 위기 뉴스의 매체 구조. <홍보학연구>, 8권 2호, 269-301.
46. 최윤슬·이경렬 (2013). SNS 진정성의 속성과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의 진정성 지각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4권 5호, 157-179.
47. 최윤정·김수연 (2017). 기업 연상에 따른 위기 유형, 대응 전략, 위기 이력이 공중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및 기업 정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61권 3호, 191-221.
48. 하채림 (2010, 1, 2). “용기 훼손된 까스활명수 먹지마세요”. <연합뉴스>. URL: https://goo.gl/FpptBc
49. Arpan, L. M., & Pompper, D. (2003). Stormy weather: Testing stealing thunder as a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to improve communication flow between organizations and journalists. Public Relations Review, 29(3), 291-308.
50. Arpan, L. M., & Roskos-Ewoldsen, D. R. (2005). Stealing thunder: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oactive disclosure of crisis information. Public Relations Review, 31(3), 425-433.
51. Beldad, A. D., van Laar, E., & Hegner, S. M. (2018). Should the shady steal thunder? The effects of crisis communication timing, pre‐crisis reputation valence, and crisis type on post‐crisis organizational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contingencies and crisis management, 26(1), 150-163.
52. Boyle, D. (2004). Authenticity: Brands, Fakes, Spin and The Lust for Real Life. London: Harper Perennial.
53. Claeys, A. S. (2017). Better safe than sorry: Why organizations in crisis should never hesitate to steal thunder. Business Horizons, 60(3), 305-311.
54. Claeys, A., & Cauberghe, V. (2012). Crisis response and crisis timing strategies, two sides of the same coin. Public Relations Review, 38(1), 83-88.
55. Claeys, A., & Cauberghe, V. (2015). The role of a favorable pre-crisis reputation in protecting organizations during crises. Public Relations Review, 41(1), 64-71.
56. Claeys, A., Cauberghe, V., & Leysen, V. (2013). Implications of stealing thunder for the impact of expressing emotions in organizational crisis communication.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41(3), 293-308.
57. Claeys, A., Cauberghe, V., & Pandelaere, M. (2016). Is old news no news? The impact of self-disclosure by organizations in crisi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9(10), 3963-3970.
58. Cohen, J. R. (1998). Advising clients to apologize. Southern California Law Review, 72, 1009-1069
59. Coombs, W. T. (2004). Impact of past crises on current crisis communication: Insights from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41(3), 265-289.
60. Coombs, W. T. (2007a).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2nd ed.). Thousand Oaks: Sage.
61. Coombs, W. T. (2007b). Protecting organization reputations during a cris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Corporate reputation review, 10(3), 163-176.
62. Coombs, W. T. (2014).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4th ed.). Thousand Oaks: Sage.

63. Coombs, W. T., & Holladay, S. J. (2006). Unpacking the halo effect: Reputation and crisis manag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Management, 10(2), 123-137.
64. Dutta, S., & Pullig, C. (2011). Effectiveness of corporate responses to brand crises: The role of crisis type and response strategi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4(12), 1281-1287.
65. Fennis, B. M., & Stroebe, W. (2014). Softening the blow: Company self-disclosure of negative information lessens damaging effects on consumer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Journal of Business Ethics, 120(1), 109-120.
66. Fuchs-Burnett, T. (2002). Mass public corporate apology. Dispute Resolution Journal, 57(2), 26-32.
67. George, D., & Mallery, M. (2010). SPSS for Windows Step by Step: A Simple Guide and Reference, 17.0 update(10th ed.) Boston: Pearson.
68. Ha, J. H., & Boynton, L. (2014). Has crisis communication been studied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 20-year content analysis of communication journal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ategic Communication, 8(1), 29-44.
69.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NJ: Pearson.
70. Jin, Y. (2009). The effects of public's cognitive appraisal of emotions in crises on crisis coping and strategy assessment. Public Relations Review, 35(3), 310-313.
71. Kim, H. S., & Lee, S. Y. (2015). Testing the buffering and boomerang effects of CSR practices on consumers’ perception of a corporation during a crisis. Corporate Reputation Review, 18(4), 277-293.
72. Kim, S., & Sung, K. H. (2014). Revisiting the effectiveness of base crisis response strategies in comparison of reputation management crisis response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26(1), 62-78.
73. Kim, S., Avery, E. J., & Lariscy, R. W. (2011). Reputation repair at the expense of providing instructing and adjusting information following cri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trategic Communication, 5(3), 183-199.
74. Lee, S. Y. (2016). Weathering the crisis: Effects of stealing thunder in crisis communication. Public Relations Review, 42(2), 336-344.
75. Lyon, L., & Cameron, G. T. (2004). A relational approach examining the interplay of prior reputation and immediate response to a crisi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16(3), 213-241.
76. Park, N., Jeong, J., & Kim, B. (2013). A CEO’s stealing thunder on Twitter: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CEO’s proactive self-disclosure of crisis information via Twitter. Journal of Public Relations, 17(2), 133-157.
77. Price, L. L., Arnould, E. J., & Tierney, P. (1995). Going to extremes: Managing service encounters andassessing provider performance. Journal of Marketing, 59(April), 83-97.
78. Rhee, M., & Haunschild, P. R. (2006). The liability of good reputation: A study of product recalls in the US automobile industry. Organization Science, 17(1), 101-117.
79. Slater, M. D., Chipman, H., Auld, G., Keefe, T., & Kendall, P. (1992). Information processing and situation theory: A cognitive response analysi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4, 189-203.
80. Sohn, Y. J., & Lariscy, R. W. (2012). A “buffer” or “boomerang?” The role of corporate reputation in bad times. Communication Research, 20(1), 1-23.
81. Wigley, S. (2011). Telling your own bad news: Eliot Spitzer and a test of the stealing thunder strategy. Public Relations Review, 37(1), 50-56.
82. Williams, K. D., & Dolnik, L. (2001). Revealing the worst first: Stealing thunder as a social influence strategy. In J. Forgas & K. D. Williams (Eds.), Social influence processes: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pp. 213-231). New York: The Psychology Press.
83. Williams, K. D., Bourgeois, M. J., & Croyle, R. T. (1993). The effects of stealing thunder in criminal and civil trials. Law and Human Behavior, 17(6), 597-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