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 No. 3

[ Journalism Communication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3, pp. 7-32
Abbreviation: KSJCS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9
Received 08 Apr 2019 Revised 13 May 2019 Accepted 29 May 2019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3.001

‘경로의존’의 덫에 갇힌 지역언론학 : ‘지방소멸’을 부추기는 3대 ‘구성의 오류’
강준만* ; 전상민**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주저자, 교신저자 (kjm@jbnu.ac.kr)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박사과정, 공동저자 (sm@socialframe.kr)

Local Media Research Trapped in the Path Dependency : Three Major ‘Fallacy of Composition’ That Accelerate ‘the Death of Regional Cities’
Joon Mann Kang* ; Sang Min Jeon**
*Professor,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jm@jbnu.ac.kr)
**Ph. D Student,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m@socialframe.kr)

초록

지역언론학은 다른 분과에 비해 미디어 이외의 나머지 사회를 짙은 어둠 속에 놔둬선 안 될 필요가 훨씬 더 큼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들이 한국사회의 구조적 맥락과 유리된 채 지역 미디어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지역언론 연구가 미디어를 넘어서 전반적인 지역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다루면 연구 주제가 풍요로워지는 건 물론이고 미디어만으론 규명하거나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에 대한 심층 분석도 가능해진다. 그럼에도 왜 우리는 미디어에만 집착해야 하는가?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지역언론은 물론 지역언론학도 경로의존의 덫에 갇혀 있음을 밝히면서 ‘지방소멸’을 부추기는 3대 ‘구성의 오류’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지역언론학이 이에 적극 대응할 것을 제안한다. 중앙 접근성 위주의 정치, ‘개천에서 용 나는 모델’ 위주의 교육, 탈(脫)지역공동체적 소비 등 세 가지 관행은 지역의 이익과 개인이나 가족으로서의 지역민의 이익이 충돌하는 ‘구성의 오류’를 유발함으로써 지방소멸을 부추기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언론은 이런 딜레마 상황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고 있지 않거나 ‘구성의 오류’에 일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지역언론학이 ‘미디어 연구’에서 ‘커뮤니케이션 연구’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한다.

Abstract

A lot of studies tend to focus on only local media separately from structural context of Korean society although local media study is much more necessary not to leave the society other than media in the darkness compared to other disciplines. If local media research deals with overall local communication phenomena beyond media, it will not only enrich the research topics but also be possible to deeply analyze the issues that can not be identified or solved by media research alone. Nonetheless, why should we stick to the media alone? This study, which started from this awareness of a problem, reveals that not only the local media but also the local media research are trapped in the path dependency, calls attention to the three major ‘fallacy of composition’ that accelerate ‘the death of regional cities,’ and suggests that local media research actively respond to them. Three practices, such as local politics for access to center, education based on the model of fulfilling ’rags-to-riches’, and consumption transcending the local community interests, stimulate the death of regional cities by generating ’fallacy of composition’, a condition of conflict between the interests of local community as a whole and the interests of local people as individuals or families. This study points out that local media do not raise questions about this dilemma, or contribute to ‘fallacy of composition’ and emphasizes that the local media research needs to shift from ‘media research’ to ‘communication research.’


Keywordslocal media, the death of regional cities, internal colony, path dependency, fallacy of composition
키워드: 지역언론, 지방소멸, 내부식민지, 경로의존, 구성의 오류

References
1. 강경국 (2018, 1, 23). 스타필드 창원 지지자 모임 “민주당 현장 조사 내용 부실”. <뉴시스>. URL: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123_0000210786&cID=10812&pID=10800
2. 강정운 (2014, 6, 10). ‘地方선거 아닌 지방선거’, 이대로 계속해야 하나. <조선일보>. URL: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6/09/2014060903944.html
3. 강준만 (2008). <지방은 식민지다: 지방자치·지방문화·지방언론의 정치학>. 서울: 개마고원.
4. 강준만 (2015a). <지방식민지 독립선언: 서울민국 타파가 나라를 살린다>. 서울: 개마고원.
5. 강준만 (2015b). 지방의 ‘내부식민지화’를 고착시키는 일상적 기제: ‘대학-매체-예산’의 트라이앵글. <사회과학연구>, 54집 2호, 113-147.
6. 강준만 (2016). 왜 부모를 잘 둔 것도 능력이 되었나?: ‘능력주의 커뮤니케이션’의 심리적 기제. <사회과학연구>, 55집 2호, 319-355.
7. 강준만 (2019). <바벨탑공화국: 욕망이 들끓는 한국 사회의 민낯>. 서울: 인물과사상사.
8. 경향신문 (2014, 6, 9). [사설] 지방선거의 진짜 패자는 지방자치다. <경향신문>.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6082026345&code=990101
9. 경향신문 (2018, 4, 26). [사설] 지방선거에 지방이 없다. <경향신문>.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4252106005&code=990101
10. 구형건·박정숙·정재웅 (2015). 규범 그리고 반복되는 금융위기: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금융위기의 기원. <경영사학>, 30집 1호, 111-136.
11. 국민일보(2008, 7, 20). [사설] ‘돈봉투’를 한나라당 간판 삼을 셈인가. <국민일보>. URL: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05&aid=0000323076
12. 권승준 (2018, 1, 20). 시골만큼 심각한 ‘도심 소멸’… 20년 뒤에 부산 영도는 없다? <조선일보>. URL: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19/2018011901506.html
13. 권장원 (2012). 한국 방송정책위원회의 네트워크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12권 2호, 5-40.
14. 권장원 (2017). 신제도주의 관점에 입각한 지역 방송 정책 지향점 모색에 대한 연구: 국내 방송 시장 환경에 입각한 지역 방송사의 경영 및 조직 특성, 제도화 담론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7권 4호, 5-40.
15. 권혁남 (2008, 1, 21). 광고 홍보비 빨대대고 기생하는 신문 몰아내야. <전북일보>. URL: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55492&sc_section_code=S1N2&sc_sub_section_code=S2N7
16. 김경일 (1998). 역사사회학의 방법과 쟁점: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지승종 외. <사회사연구의 이론과 실제> (213-264쪽).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7. 김만흠 (2006). 한국 지방정치의 특성: 중앙집중의 소용돌이와 지방정치의 빈곤. <사회과학연구>, 45집 2호, 1-25.
18. 김성수 (2013). 한국 지역주의 현상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이해: 지역정당체제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20권 3호, 69-99.
19. 김영주 (2018, 5, 9). 군산 롯데몰 개장에 “환영” “260억 보상 먼저” 조각난 민심. <중앙일보>. URL: https://news.joins.com/article/22605606
20. 김예란 (2010). 감성공론장: 여성 커뮤니티, 느끼고 말하고 행하다. <언론과 사회>, 18권 3호, 146-191.
21. 김원진 (2016, 2, 19). 서울 밖에도 청년이 있다: “지역에서 태어나 살고 있는 죄, 꿈의 가짓수부터 달라요”. <경향신문>.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602182208305
22. 김재영·양선희 (2015). 지역방송 연구에 관한 종합적ㆍ분석적 메타분석. <언론과학연구>, 15권 1호, 162-194.
23. 김정은·이기춘 (2008). 소비자시민성의 개념화 및 척도개발. <소비자학연구>, 19권 1호, 47-71.
24. 김정은·이기춘 (2009). 소비자시민성의 구성요소와 소비생활영역별 차이 분석. <소비자학연구>, 20권 2호, 27-51.
25. 김종석·강은숙 (2013). 경로의존성, 정보의 문제, 그리고 공공정책: E. Ostrom의 신제도주의에 대한 비판적 논의.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0권 2호, 169-195.
26. 김주완 (2005). <토호세력의 뿌리>. 마산: 불휘.
27. 김주완 (2006). 정권은 바뀌어도 토호는 영원하다: 마산지역 토호세력의 뿌리. <시민과세계>, 9권, 60-80.
28. 김주완 (2010). 지방의 권력구조와 토호세력. <황해문화>, 69권 겨울, 84-103.
29. 김지영 (2017). <지방대학 여학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인식: 내러티브 탐구와 조사연구의 순차적 통합>.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30. 김창수 (2016). 경로의존성과 딜레마 그리고 입법실패: 물기본법 제정지연 사례의 분석. <지방정부연구>, 20권 1호, 135-159.
31. 김현술 (2017, 11, 9). 양평롯데마트 여론조사, 적극 찬반표명 군민 중 ‘86.3%’ 입점 찬성. <일요신문>. URL: http://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78648
32. 남궁협 (2018). 지역에서 대안적 독립언론 상상하기: 급진적 민주주의와 새로운 저널리즘 양식. <언론과학연구>, 18권 4호, 36-71.
33. 류웅재 (2014). 대학의 연구문화 낯설게 하기, 그리고 성찰적 대안의 모색. <커뮤니케이션이론>, 10권 1호, 4-24.
34. 마강래 (2017). <지방도시 살생부: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 서울: 개마고원.
35. 마강래 (2018). <지방분권이 지방을 망친다: 지방분권의 함정, 균형발전의 역설>. 서울: 개마고원.
36. 문종대·안차수 (2013). 디지털 구조조정 시대의 지역신문 생존전략. <언론학연구>, 17권 2호, 33-61.
37. 문종대·이강형 (2005). 내부 식민지로서의 지역방송 재생산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권 2호, 175-208.
38. 박동숙 (2008). 커뮤니케이션학에서의 학술논문쓰기: ‘객관적 글쓰기’ 틀의 제약. <언론과 사회>, 16권 4호, 115-141.
39. 박종민 (2000). 집단이론, 후견주의 및 도시의 리더십. <한국행정학보>, 34권 3호, 189-204.
40. 박주현 (2018). 토호 이익 좇는 언론, 그들의 잘못된 만남. <사람과언론>, 3호, 83-89.
41. 박주현·김주완·오한흥·정찬홍·문주현 (2018). 특별기획 인터뷰: 지역사회의 지배구조와 토호세력의 뿌리. <사람과언론>, 3호, 20-54.
42. 배유일 (2018). <한국의 이중적 지방 민주주의: 아이디어와 제도, 그리고 다양한 지방분권>. 서울: 문우사.
43. 변진경 (2018). <청년 흙밥 보고서>. 서울: 들녘.
44. 변창흠 (2018, 6, 7). 지방선거와 지방분권 개헌. <경향신문>.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6062052015
45. 성연철 (2019, 1, 10). 문 대통령 “개천에서 용 나오는 사회 만들겠다”. <한겨레>. URL: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877778.html
46. 신동호 (2017). 경로의존론과 지역회복력 개념: 지역격차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권 1호, 70-83.
47. 신승철 (2016). <마트가 우리에게서 빼앗은 것들>. 서울: 위즈덤하우스.
48. 안수찬·민혜영·장바울·박재영 (2015). 한국 저널리즘 연구의 메타 분석: 1990~2014년 국내 12개 언론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9권 6호, 246-280.
49. 오윤주 외(2018, 8, 10). 지방 대도시도 인구 무너진다. <한겨레>. URL: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57032.html
50. 원도연 (2017, 11, 13). 전주를 전주답게, 서울을 서울답게. <전북일보>. URL: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142132
51. 원용진·황상현 (2011). 지역방송 연구의 경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00년부터 2010년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1권 2호, 285-332.
52. 유선종·노민지 (2018). <지방소멸, 어디까지 왔나?: 인구·가구·주택>.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53. 윤성민 (2016, 3, 17). 젊은 여성 급감… 지자체 80개 ‘소멸’ 위기. <국민일보>. URL: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466331&code=11131100&cp=nv
54. 이국운 (2004). 행정수도 이전 찬반론의 함정들: 분권화 속에 숨어 있는 중앙과 지방의 동맹. <당대비평>, 27권, 157-168.
55. 이기우 (2017, 1, 19). 지방선거 정당 공천 폐지, 공약대로 지켜라. <조선일보>. URL: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8/2017011803054.html
56. 이상빈·박은병 (2010). 지역개발정책의 경로의존성(path-dependency)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 사례의 비교. <한국동북아논총>, 57권, 345-370.
57. 이한웅·엄기열 (2010).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성향에 관한 기존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 <언론과학연구>, 10권 2호, 470-501.
58. 임영호 (2002). 공간 이론을 통해 본 한국 방송학의 정체성 문제: 지역방송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6권 2호, 275-303.
59. 임영호 (2008). 지역언론학의 학문적 정체성: 쟁점과 진단. <언론과학연구>, 8권 4호, 5-36.
60. 임영호 (2013). 한국 언론학의 제도적 성공담과 내재적 위기론. <커뮤니케이션 이론>, 9권 1호, 6-38.
61. 장부배 (2016). <극지에 서지 않은 청년들: 지방 K대 학생들의 삶의 이야기>.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62. 장호순 (2015). “종속”과 “배제”: 한국 지역방송의 내부식민지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15권 2호, 375-411.
63. 전상인 (2014, 2, 26). 지방선거에 地方이 없다. <조선일보>. URL: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2/25/2014022504447.html
64. 전성원 (2018, 6, 12). ‘이부망천’. <경향신문>.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6112137005
65. 정도원 (2019, 3, 24). 창원성산 토론회 키워드 … ‘경제파탄’·‘탄핵인정 여부’·‘노회찬 정신’. <데일리안>. URL: https://www.dailian.co.kr/news/view/781964
66. 정수복 (2007).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서울: 생각의나무.
67. 정용준 (2017a, 11, 6). 내가 만약 시장이라면. <전북일보>. URL: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141574
68. 정용준 (2017b, 12, 4). 내가 만약 시장이라면 2. <전북일보>. URL: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143859&sc_section_code=S1N9
69. 정인숙 (2013). 새 정부의 진흥정책이 유료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중점관리효과와 경로의존성 개념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5권 1호, 75-108.
70. 정준호 (2006). 경로의존성과 지역발전경로: 안산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9권 3호, 410-430.
71. 정지은 (2014, 2, 10). 서울만 있고 지역은 없다. <경향신문>.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402092028155
72. 조영태 (2018, 10, 11). 식상한 인구 이야기. <중앙일보>. URL: https://news.joins.com/article/23036583
73. 조의준 (2015, 3, 14). “저소득층 더 돕는게 진정한 복지”. <조선일보>. URL: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3/14/2015031400219.html?news_HeadRel
74. 조항제 (2006). 지역방송의 지역성 변화: 개념적 접근. <한국언론정보학보>, 34호, 275-305.
75. 조흡·오승현 (2012). 문화적 공론장으로서 〈도가니〉: 인식론적 커뮤니케이션에서 감성 커뮤니케이션으로. <문학과영상>, 13권 4호, 837-864.
76. 중앙일보 (2014a, 2, 3). [사설] 지방의원 수 늘린 정치권의 후안무치. <중앙일보>. URL: https://news.joins.com/article/13787003
77. 중앙일보(2014b, 6, 6). [사설] 자치 단체장은 중앙 정치 식민지 벗어나라. <중앙일보>. URL: https://news.joins.com/article/14889508
78. 채오병 (2017). 역사 반복의 경로의존: 전간기 일본과 탈식민 한국의 국가주의. <사회와 역사>, 115권, 197-243.
79. 천혜정 (2013). 대형마트 및 기업형 슈퍼마켓(SSM) 영업규제와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조사. <사회과학연구논총>, 29권 1호, 383-416.
80. 최서윤 (2016, 6, 22). 안철수 ‘개천서 용 나는 공정경쟁구조 만들어야’. <스포츠서울>. URL: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406270
81. 최장집 (2002).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 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서울: 후마니타스.
82. 최종렬 (2017). ‘복학왕’의 사회학: 지방대생의 이야기에 대한 서사분석. <한국사회학>, 51권 1호, 243-293.
83. 최현주·이강형 (2008). 지역 언론학 연구의 동향과 특성: 1960-2008년까지의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8권 4호, 37-67.
84. 한선·이오현 (2011). 지역신문 장의 작동원리에 대한 비판적 연구: 광주지역 일간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6호, 410-435.
85. 한선·이오현 (2012). 지역방송의 지역성 개념과 지역성 구현의 문제: 광주지역 방송생산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6권 5호, 271-306.
86. 황용석 (2011, 12, 28). SNS 규제와 경로의존성. <경향신문>.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112272059045
87. 황춘화 (2018, 6, 5). ‘지방대 몰락’ 막는다더니…정원 감축 75% 지방대서 이뤄졌다. <한겨레>. URL: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847696.html
88. Boyle, D. & Simms, A.(2009). The New Economics. 조군현 (역) (2012). <이기적 경제학/이타적 경제학>. 서울: 사군자.
89. Brown, D. S.(2009). Discounting Democracy: Wal-Mart, Social Capital, Civic Engagement, and Voter Turnout in the United States. SSRN´s eLibrary, 1-43. https://ssrn.com/abstract=1398946 or http://dx.doi.org/10.2139/ssrn.1398946
90. Goetz, S. J. & Rupasingha, A.(2006). Wal-Mart and Social Capital.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8(5), 1304–1310.
91. Cassidy, J.(2009). How Markets Fail. 이경남 (역) (2011). <시장의 배반>. 서울: 민음사.
92. Curran, J.(2011). Media and Democracy. 이봉현 (역) (2014). <미디어와 민주주의>. 서울: 한울아카데미.
93. Gigerenzer. G(2014). Risk Savvy. 강수희 (역) (2014). <지금 생각이 답이다>. 서울: 추수밭.
94. Goodwin, C. D.(2014). Walter Lippmann: Public Economis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95. Henderson, G.(1968). Korea: The Politics of the Vortex. 박행웅·이종삼 (역) (2000). <소용돌이의 한국정치>. 서울: 한울아카데미.
96. Keynes, J. M.(1936).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London: Macmillan.
97. Lefebvre, H.(1968). La vie quotidienne dans le monde moderne. 박정자 (역) (1990). <현대세계의 일상성>. 서울: 세계일보.
98. Scammell, M.(1999). Political Marketing: Lessons for Political Science. Political Studies, 47(4). 718-739.
99. Sewell, W.(1996). Three Temporalities: Toward an Eventful Sociology. In T. McDonald (Ed.),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s(pp.245-280).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0. Shah, D. V., McLeod, D. M., Kim, E., Lee, S. Y., Gotlieb, M. R., & Breivik, H.(2007). Political Consumerism: How Communication and Consumption Orientations Drive “Lifestyle Politics”.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11(1). 217-235.
101. Spayde, J. & Walljasper, J.(2001). Visionaries: People and Ideas to Change Your Life. 원재길 (역) (2004). <틱낫한에서 촘스키까지: 더 실용적이고 창조적인 삶의 전망>. 서울: 마음산책.
102. Tilly, C.(1984). Big Structures, Large Processes, Huge Comparison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03. Ward, J. & De Vreese, C.(2011). Political consumerism, young citizens and the Internet. Media, Culture & Society, 33(3). 399-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