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issue

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5 , No. 5

[ Articl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5, No. 5, pp. 127-170
Abbreviation: KSJCS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1
Received 13 Aug 2021 Accepted 28 Sep 2021 Revised 07 Oct 2021
https://doi.org/10.20879/kjjcs.2021.65.5.004

케이팝(K-pop)의 해외수용 문화가 지닌 문화정치적 함의에 대한 연구 : K-pop Random Play Dance를 중심으로
이오현**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leohhy@hanmail.net)

A study on the cultural political implications of K-pop consumption culture abroad : Focusing on ‘K-pop Random Play Dance’
Oh Hyeon Lee**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leohhy@hanmail.net)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이 연구는 케이팝의 해외수용 문화가 지닌 문화정치적 함의를 심층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에서 청년 놀이문화로 확산되고 있는 K-pop Random Play Dance (KRPD)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RPD의 생산과 운영은 비중심적, 비위계적, 탈권위적, 개방적인 리좀적 체계 하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체계는 새로운 KRPD가 끊임없이 생산되고 세계적으로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둘째, KRPD은 참여자들이 즐거움과 기쁨을 얻기 위해 행해지는 정동적 실천의 산물이었다. 이는 참여자들의 존재 능력과 행동 능력을 증가시켜 자존감을 높이고 참여자들 사이에 협력과 연대를 통한 무위적/절합적 공동체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신자유주의 지배질서에 맞서고 도전할 수 있는 힘 돋우기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KRPD는 기존 미디어산업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의 생산물 그리고 공적 및 상업적 공간에 대한 참여자들의 밀렵적 실천의 산물이었다. 이는 정치나 경제의 지배 질서를 따라야 하는 공간들을 탈영토화하여 카니발의 공간으로 재영토화하고 다양한 소수자들이 이 공간들에서 사회적 주체로서 존재감을 높이고 새로운 주체를 형성해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는 케이팝의 해외수용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차원이나 산업적 차원만이 아니라 문화정치적 차원의 탐구가 필요하고 가치가 있음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ultural political implications of K-pop abroad culture. It analyzes K-pop Random Play Dance (KRPD) that is diffused worldwide as youth cul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KRPD is a non-central, non-hierarchical, de-authoritative, and an open rhizomatic system. This system provides an environment for unlimited proliferation of KRPD. Secondly, KRPD is the product of participants’ affective practices that aim at gaining pleasure and joy. It provides participants with a chance to confront and challenge a dominant neoliberal order because it enhances participants’ self-esteem by enabling action, and it becomes the place to articulate an inclusive community by way of cooperation and solidarity. Thirdly, KRPD is the product of participants’ poaching practices for the products of media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and for public and commercial spaces. It provides its participants with a chance to deterritorialize public and commercial spaces and then reterritorialize it into carnival spaces. The act creates a new sense of existence through which participants form a new subject. This study calls for the necessity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of K-pop worldwide not only in terms of media technology or industrial strategy but also in terms of its cultural politics.


KeywordsK-pop Random Play Dance, rhizome, affect, poach, fandom
키워드: 케이팝 랜덤 플레이 댄스, 리좀, 정동, 밀렵, 팬덤

Acknowledgments

This study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Chonnam National University(Grant number: 2020-1762) (이 논문은 전남대학교 학술연구비(과제번호: 2020-1762)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Butler, J. (1999). Gender trouble :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Trans. Cho Hyunjoon. Munhakdongne Publishing Co. 2008.
2. Butler, J. (2006). Precarious life: The power of mourning and violence. Verso.
3. Chae, J. Y., & Yoon, Y. K. (2013). A study of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K-pop in France.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28), 137-166.
4. Chaput, C. (2018). Neoliberalism and the rhetorical invention of counterpublic attunement. Communication and the Public, 3(3), 176-189.
5. Cheon, D. H., & Jung, B. W. (2018). The influence of 3rd generation Korean wave on favorability, attitudes, and behavior intention to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0(8), 419-437.
6. Choi, S., Choi, S., & Lee, J. (2020). An analysis of M/V fandom on YouTube : BTS M/V view, comment interaction, and meme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4(1), 7-45.
7. De Certeau, M. (1984).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De Certeau, M. (1984).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Trans. Park Myungjin etc. Hannarae Publishing Co. 1996.
9. Deleuze, G., & Guattari , F. (1975). Mille Plateaux: Capitalism et Schizophrenie. Trans. Kim Jaein. New Wave Publishing Co. 2001.
10. Deleuze, G., (1986). Foucault. Minuit. Trans. Sean Hand.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8.
11. Deleuze, G., & Guattari , F. (1991). What is philosophy? Trans. Hugh Tomlinson & Graham Burchell.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12. Fiske, J. (1992). “The cultural economy of fandom”, in Lewis, L., ed., The adoring audiences :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Routledge. Trans. Park Myungjin etc. Hannarae Publishing Co. 1996.
13. Hillis, K., Paasonen, S., & Petit, M. (Eds.) (2015). Networked affect. MIT Press.
14. Hong, S. K. (2012). A study on the female fandom of the Korean idol culture and gender discourses in Franc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6(1), 185-208.
15. Hong, S. K. (2020). BTS on the road. Across Publishing Co.
16. Honneth, A., & Ranciere, J. (2016). Recognition or disagreement: A critical encounter on the politics of freedom, equality, and ident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17. Horkheimer, M., & Adorno, T. W. (1972). Dialectic of enlightenment. Trans. Kim Yoodong. Moonji Publishing Co. 2001.
18. Jang, Y. (2016). I like K-pop: A research on consumer preferences about K-pop musicians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Ho Chi Minh city. Korean Journal of Popular Music, (17), 59-84.
19. Jang, W., & Kim, Y. (2013). Envisaging the sociocultural dynamics of K-pop: Time/space hybridity, red queen’s race, and cosmopolitan striving. Korea Journal, 53(4), 83-106.
20. Jang, W. H., & Song, J. E. (2015). The influences of K-pop fandom on the localization of K-pop in the Philippines: The case study of Philippine K-pop convention, Inc.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9(3), 31-43.
21. Jenkins, H. (1992a). Textual poachers: Television fans and participatory culture. Routledge.
22. Jenkins, H. (1992b). “Fandom as pathology”, in Lewis, L., ed., The adoring audiences: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Routledge.
23. Jung, K. H. (2015). The research on reception of K-pop in Brazil. Iberoamérica, 17(1), 93-131.
24. Jung, S. H. (2011). A study on Hallyu landscape and cultural practice of audiences in Japan. Media, Gender & Culture, (20), 207-239.
25. Kang, F., & Sohn, S. (2018).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ositions and activities of idol group fandom among Chinese fans: Grounded theory analysis of TFBOYS and BTS fan cafe member interviews. Korean Women's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Studies, 33(2), 5-43.
26. Kang, J. S.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pop dance emotion model using Laban"s BESS movement theory.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3), 249-266
27. Kim D. J. (2018). Transnationality of the ‘Korean wave’ and ‘reverse media imperialism’ thesis: The UK K-pop and post imperialness on the Beatles.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61(1), 7-47.
28. Kim, I. (2014). A study on the spill-over effect of Hallyu and K-pop.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hythmic Exercises, 7(1), 1-12.
29. Kim, J. (2011). “Hey, look at me now, mister” : An examination of visualization and sexualization of K-pop girl groups in the 2000s. Koren Journal of Popular Music, (8), 46-78.
30. Kim, J. (2018). “Home” and “Homma” in K-pop fandom: From fan sites and paparazzi to black market and cultural producers. Journal of Korea Culture Industry, 18(3), 1-10.
31. Kim, J. Y., & Ahn, K. M. (2012). Impact of K-pop on positive feeling towards Korea, consumption behaviour and intention to visit from other Asian countr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 516-524.
32. Kim, L. K. (2015). A research on the methods of forming the fandoms of the theatre-centered on the comparisons between K-pop and the theatre. Catoon & Animation Studies, (41), 379-405.
33. Kim, S. (2014). The semiotic strategies and significations in constructing a transnational star : In the case of Hallyu star, Jang Keun Suk, in Japa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8(4), 74-116.
34. Kim, S., & Jang, W. (2017). Content consumption analysis of overseas Korean wave fans: KBS World Facebook page comments text analysis.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10), 71-95.
35. Kim, S., & Kim, S. (2015b). The ethos of collective moralism: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of K-pop. Media & Society, 23(3), 5-52.
36. Kim, S., & Kang, J. S. (2013). Digging ‘Gangnam Style’: Transmedia storytelling in K-pop.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50(1), 84-120.
37. Kim, S. S., & Kim, M. J. (2009). Effect of Hallyu product in Thai society on enhancement of Korea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Tourism Studies, 23(4), 101-125.
38. Kim, Y. (2013). Cultural critique of big data: In the perspective of Michel Foucault’s ‘Biopolitics’. Communication Theory, 9(3), 166-202.
39. Kim, Y. (2014). Expressions of language: Practices and communication ethics of media culture. Moonji Publishing Co.
40. Kim, Y. (2020). Affect and its voice: Social lives of affect. Culture Look Publishing Co.
41. Kim, Y. (2019). BTS: THE REVIEW. RHK Publishing Co.
42. Kim, Y., & Bae, H. (2013).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Adult Female’s Multicultural Citizenship Acquisition through K-Pop. Social Studies Education, 52(2), 29-44.
43. Kim, Y. C. (2016). Overseas Koreans and Hallyu in Latin America. Journal of Koreanology, (58), 2016.2, 75-112.
44. Kim, Y. K., Choi, J. H., & Lee, H. B. (2017). The Effects of Consumption Attributes According to Contents Types of Korea Wave On the Attitudes of Korean Wave and of the Nation Brand: Focused on Segmentation of Korean Wave Market.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31(2), 163-191.
45. Kwak, M., & Jung, H. (2012, May). K-pop 4D Concert’s influence and developme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HCI Society of Korea. 1010-1013.
46. Lazzarato, M. (2014). Signs and machines: Capitalism and the production of Subjectivity. Semiotext(e).
47. Lee, B. J. (2012). A Study on K-Pop Dances. Koren Journal of Popular Music, (10), 77-97.
48. Lee, D., Kim, H., & Lee, S. (2019). TV Home Shopping : The Intersection of Everyday Life, Media, and Consump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97), 37-76.
49. Lee, G. T. (2016). K-Pop and the Global Active Audience : The Transnatoinality of Naver Webcast Service ‘V-Live’.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39), 33-65.
50. Lee, J. W., & Hoe, J. W. (2013). The Impact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n the Overseas Expansion Strategy: A Case of SM Entertainment in K-pop Music Market. Korea Business Review, 17(1), 243-266.
51. Limb, S. J. (2013). What Makes K-Pop So Successful? Korea Business Review, 17(2), 323-346.
52. Lin, X., & Rudolf, R. (2017). Does K-pop Reinforce Gender Inequalities? Empirical Evidence from a New Data Set. Asian Women, 33(4), 27-54.
53. Marshall, C., & Rossman, G. (1999).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Sage.
54. Mouffe, C. (2018). For a Left Populism. Verso.
55. Nancy, J. (1986). La Communauté désœuvrée. Trans. Park Junsang. Human Love. 2010.
56. Oh, I., & Lee, H. (2013). Mass Media Technologies and Popular Music Genres. Korea Journal, 53(4), 34-58.
57. Oh, M. Y.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the Korean Wave in the U.S.: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of Korean Language Exchange Meetup Members. 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12(3), 46-92.
58. Ranciere, J. (2010). Dissensus: On politics and aesthetics. Bloomsbury.
59. Rossman, G., & Rally, S. (1998). Learning in the Field: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Sage.
60. Shim, D. (2013). An Essay on K-pop: Korean Wave, Idols, and Modernity. Social Studies Education, 52(2), 13-28.
61. Shim, D., & Noh, K. W. (2012). YouTube and Girls' Generation Fando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 125-137.
62. Shin, S. B. (2018). Export-Oriented Identity of K-Pop as Discussed in K-Pop: Popular Music, Cultural Amnesia, and Economic Innovation in South Korea by John Lie. Journal of Popular Narative, 24(3), 503-528
63. Sohn, S. (2012). Local Context and Global Fandom of Hallyu Consumption: The Case of Korean Connection in France. 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10(1), 45-85.
64. Sohn, S. (2013). Transnational Online Fandom in the Digital Network Era: An Analysis of the Interviews with the Members of 2PM Fan Forum Wild2Day. Media, Gender & Culture, (25), 73-111.
65. Yang, E. K. (2006). The Formation of East Asian Cultural Identity and the Consumption of Televison: A Study of the Family Discourse in a Japanese Fan Community for Bae Yong-Ju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0(3), 198-238.
66. Yun, S. (2013). European acception of K-pop and youth acception strategies of cultural diffus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7(3), 135-161.
67. Yun, S. (2014). Korean Wave in Eastern Europe and Cultur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8(3), 94-131.
68. Xie, W., & Cha, H. (2015). How Korean Popular Music(K-Pop)’s Cultural Proximity Influences Oversea Audience’s Evaluation of K-Pop’s Image and South Korea’s National Imag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9(1), 267-300.

부록. 참고문헌
1. 강복·손승혜 (2018). 중국팬들의 한국과 중국 아이돌 그룹 팬덤 구성과 활동 방식 비교연구:근거이론을 이용한 TFBOYS와 BTS 팬카페 회원 인터뷰 분석. <미디어, 젠더 & 문화>, 33권 2호, 5-43.
2. 강주선 (2018). 라반의 움직임이론을 이용한 K팝 댄스 감정모형 개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권 3호, 249-266.
3. 곽민봉·정회경 (2012). K-Pop 4D 콘서트의 영향력과 발전 가능성.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010-1013.
4. 김두진 (2018). 한류의 초국적 보편성과 ‘미디어 제국주의 역전’ 테제: 영국의 K-pop과 포스트-비틀즈 제국성(imperialness). <아세아연구>, 61권 1호, 7-47.
5. 김상현·장원호 (2017). 해외 한류팬의 콘텐츠 소비 분석. <문화콘텐츠연구>, 통권 10호, 71-95.
6. 김성섭·김미주 (2009). 태국사회에서 한류 대중문화 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3권 4호, 101-125.
7. 김수정 (2014). 초국가적 스타 형성에서의 기호전략과 의미작용. <한국방송학보>, 28권 4호, 74-116.
8. 김수정·김수아 (2015a). 해독 패러다임을 넘어 수행 패러다임으로: 팬덤 연구의 현황과 쟁점. <한국방송학보>, 29권 4호, 33-81.
9. 김수정·김수아 (2015b). ‘집단적 도덕주의’ 에토스. <언론과 사회>, 23권 3호, 5-52.
10. 김수철·강정수 (2013). 케이팝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 <언론정보연구>, 50권 1호, 84-120.
11. 김영대 (2019). <BTS: THE REVIEW 방탄소년단을 리뷰하다>. 알에이치코리아.
12. 김영순·배현주 (2013) 케이팝(K-pop)을 통한 성인 여성의 다문화시민성 함양에 관한 경험 연구. <사회과교육>, 52권 2호, 29~44.
13. 김영철 (2016). 중남미 재외동포 사회와 한류. <한국민족문화>, 통권 58호, 75-112.
14. 김유경·최지혜·이효복 (2017). 한류 콘텐츠 유형별 소비 속성이 한류 콘텐츠 태도 및 국가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31권 2호, 163-191.
15. 김예란 (2013). 빅데이터의 문화론적 비판 : 미셀 푸코의 생정치 개념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9권 3호, 166-204.
16. 김예란 (2014). <말의 표정들: 미디어 문화의 실천과 소통의 윤리>. 문학과지성사.
17. 김예란 (2020). <마음의 말: 정동의 사회적 삶>. 컬쳐룩.
18. 김은경 (2015). K-pop의 음악적 가치와 지속성장 가능성 분석. <한국글로벌문화학회지>, 6권 1호, 25-49.
19. 김이경 (2015). 연극의 팬덤 형성 방법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41호, 379-405.
20. 김인숙 (2014). 한류의 발전과 댄스음악 K-Pop 수출동향 연구. <한국리듬운동학회지>, 7권 1호, 1-12.
21. 김정원 (2011). “Hey 이젠 날 봐봐 Mister”: 2000년대 한국 걸그룹의 시각화(visualization)와 성애화(sexualization)에 관한 고찰. <대중음악>, 통권 8호, 46-78.
22. 김정원 (2018). 케이팝 팬덤의 “홈,” “홈마”: 팬 사이트에서 암시장으로, 파파라치에서 문화 생산자로. <문화산업연구>, 18권 3호, 1-10.
23. 김주연·안경모 (2012).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1호, 516-524.
24. 남궁협 (2020. 12. 18). 가짜를 보는 시각3: BTS와 김어준. <광주전남민주언론시민연합 미디어칼럼 주간필담> http://kjdj.or.kr/%ec%96%b8%eb%a1%a0%ea%b0%90%ec%8b%9c%ed%99%9c%eb%8f%99/%ec%a3%bc%ea%b0%84%ed%95%84%eb%8b%b4-2?uid=320&mod=document&pageid=1
25. 노광우 (2015). 유튜브와 케이팝 팬의 트리뷰트 활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권 6호, 24-32.
26. 민지은·지영호 (2015). 프랑스에서의 한국대중문화콘텐츠 소비 형태에 따른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프랑스학논집>, 통권 89호, 307-332.
27. 사문·차희원 (2015). 해외 수용자의 문화적 근접성 인식이 케이팝 이미지와 한국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1호, 267-300.
28. 손승혜 (2011). 유럽의 한류와 K-pop 팬덤 형성 과정과 그 의미: Korean Connection의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자료집>, 77-98.
29. 손승혜 (2012). 한류 수용의 로컬 콘텍스트와 글로벌 팬덤의 특성. <미디어 경제와 문화>, 10권 1호, 45-85.
30. 손승혜 (2013).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초국가적 온라인 팬덤. <미디어, 젠더 & 문화>, 통권 25호, 73-111.
31. 손유진·배은석 (2016). 멕시코의 K-Pop 한류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199-202.
32. 스큅 (2020). 아이돌 세대론: ① 2020 아이돌팝 세대론. https://idology.kr/13070
33. 신동석·남성집·남명현 (2014). K-POP의 세계시장 진출 성공요인 분석.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67-176.
34. 신사빈 (2018). 케이팝의 수출 지향적 음악 정체성: <대중서사연구>, 24권 3호, 503-528.
35. 심두보 (2013). 케이팝(K-pop)에 관한 소고. <사회과교육>, 52권 2호, 13-28.
36. 심두보·노광우 (2012). 유투브와 소녀시대 팬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1호, 125-137.
37. 양은경 (2006). 동아시아 문화정체성의 형성과 텔레비전의 소비. <한국방송학보>, 20권 3호, 198-238.
38. 윤선희 (2013). 케이 팝의 유럽적 수용과 문화 확산의 청소년 수용전략. <한국언론학보>, 57권 3호, 135-161.
39. 윤선희 (2014). 신 한류의 동유럽 수용과 문화 정체성 확산의 작은 정치. <한국방송학보>, 28권 3호, 94-131.
40. 오미영 (2014). 미국 내 한류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 서부지역 한국어 동호회 회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12권 3호, 46-92.
41. 오세정 (2012). K-POP의 선호 요인: 미주 지역의 K-POP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관성 연구>, 통권 24호, 205-223.
42. 이규탁 (2016). 실시간 인터넷 방송과 케이팝, 그리고 수용자: 네이버 ‘브이앱’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통권 39호, 33-65.
43. 이동후·김해원·이설희 (2019). 미디어-일상-소비의 교차로, TV 홈쇼핑: 20대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97호, 37-76.
44. 이봉재 (2012). K-Pop의 춤에 관한 소고: ‘강남스타일’을 생각하며. <대중음악>, 통권 10호, 77-97.
45. 이장우·허재원 (2013). 리더십과 조직역량이 해외진출 전략에 미치는 영향. <Korea Business Review>, 17권 1호, 243-266.
46. 이지영 (2018). <BTS 예술혁명: 방탄소년단과 들뢰즈가 만나다>. 파레시아.
47. 이지행 (2019). <BTS와 아미 컬처>. 커뮤니케이션북스.
48. 이진경 (2002). <노마디즘1: 천개의 고원을 넘나드는 유쾌한 철학적 유목>. 휴머니스트.
49. 임성준 (2013). K- Pop의 글로벌 경쟁력과 성공요인. <Korea Business Review>, 17권 2호, 323-346.
50. 전규찬 (1998). <포스트 시대의 문화정치>. 커뮤니케이션북스.
51. 장원호·송정은 (2015). 필리핀 K-Pop 팬덤이 K-Pop의 현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권 3호, 31-43.
52. 장윤희 (2016). 나는 한국 가요가 좋아요: 베트남 호찌민 시 대학생들의 케이팝(K-pop) 가수에 대한 선호 경향과 인식에 관한 연구. <대중음악>, 통권 17호, 59-84.
53. 정길화 (2015). 브라질의 케이팝 수용에 관한 연구. <이베로아메리카>, 17권 1호, 93-131.
54. 정수영 (2011). 일본 내 한류 지형의 탐색 및 한류 수용자의 문화적 실천에 관한 연구: 한류 전문가와 시민 그룹 KAJA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통권 20호, 207-239.
55. 정재철 (2014). <문화연구의 핵심개념>. 커뮤니케이션북스.
56. 채지영·윤유경 (2013). 프랑스의 K-pop 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통권 28호, 137-166.
57. 천덕희·정병웅 (2018). 제 3세대 한류가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0권 8호, 419-437.
58. 최순욱·최성인·이재현, (2020). 유튜브에서 뮤직비디오 팬덤 분석: BTS M/V 시청, 댓글 상호작용, 밈 영상제작. <한국언론학보>, 64권 1호, 7-45.
59. 홍석경 (2012). 프랑스의 한국 아이돌 문화 여성팬덤과 성 담론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6권 1호, 185-208.
60. 홍석경 (2018). 우리는 왜 BTS에 열광하는가? https://www.youtube.com/watch?v=jnkkNHc4-is
61. 홍석경 (2020). <BTS 길위에서>. 어크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