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성역할 고정관념 연출프레임 분석
초록
본 연구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성역할 고정관념을 어떤 방식으로 재생산하는지 검토한다. 이를 위해 양가적 성차별주의 이론과 미디어 프레임 이론을 결합한 분석틀을 제시하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성역할 고정관념 연출프레임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성역할 연출프레임의 일정한 사용패턴이 확인되었다. 첫째, 성역할 묘사 장면은 평균적으로 전체 방영시간의 약 5-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성역할 고정관념이 가장 많이 드러나는 영역은 가사 및 육아 영역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연출프레임은 남성의 해방적 성역할 프레임과 여성의 온정적 성차별 프레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방송에서 남성의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경계는 흐려지고 있는 반면, 여성에게는 더 넓은 범위에서 여전히 전통적 성역할이 강조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셋째, 성역할이 묘사되는 장면에서 언어적․비언어적 연출요소들이 성차별 연출프레임을 구축하고 있으며, 각 연출프레임마다 연출요소는 차별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작진들은 연출 프레이밍에 있어서 주로 남성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성역할에 대한 시각을 풀어나가고 있었다. 이 때 연출된 남성 등장인물의 관점은 곧 제작진의 해석이 내포된 것으로, 결과적으로 시청자들은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에 대해 제작진의 해석 및 평가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다섯째, 같은 연출프레임 내에서도 등장인물의 성별에 따라 사용되는 연출요소에 미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성 평등적인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연출지침을 함의에 제언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reality TV shows reproduce gender role stereotypes. To this end, it proposed an analysis framework that combines ambivalent sexism theory with media frame theory and analyzed gender role stereotypes in reality TV shows. As a result, the pattern of use of the directing frames on gender roles has been identified. The study describes 5 key results. First, scenes describing gender role account for about 5 to 10 percent of the total broadcast time and the areas with the most gender role stereotypes emerged as areas of household and child care.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directing frames were found to be the emancipated gender role frame of male and the benevolent sexism frame of female. Third, in the scene where gender roles are portrayed, linguistic and nonverbal elements compose the sexist directing frames, and the directing elements are used differently for each directing frame. Fourth, production teams were inclined to represent their views on gender roles mainly through male characters. Fifth, the study found that even within the same directing frames, there were subtle differences in the directing elements dependent upon the gender of the characters. Finally, the study suggests future directing guidelines for gender equality TV show production.
Keywords:
Directing frames, reality TV shows, gender role stereotypes, gender equality, ambivalent sexism theory키워드:
연출프레임, 리얼리티 프로그램, 성역할 고정관념, 양성평등, 양가적 성차별주의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이승희의 박사학위 논문(2018) 중 일부를 수정 및 보완한 것입니다.
References
- 김경희·강혜란 (2016). 여성의 과소재현과 상징적 소멸. <미디어, 젠더 & 문화>, 31권 3호, 53-96.
- 김광옥·하주용 (2007). 지상파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한국언론학보>, 51권 2호, 453-478.
-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한국방송학보>, 16권 2호, 41-76.
- 김도연·오영·박혁로 (2012). 감성 강도를 고려한 감성 분석 평가집합 구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11호, 30-38.
- 김명혜 (2006).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 에 대한 여성 수용자의 해독과 일상적 실천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6권 2호, 76-112.
- 김미라 (2008).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재미 유발 기제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67호, 143-168.
- 김예란·박주연 (2006).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한국방송학보>, 20권 3호, 7-48.
- 김옥현·김정선 (2016). 드러난 메시지, 숨겨진 메시지. <한국광고홍보학보>, 18권 4호, 354-383.
- 김윤희 (2017).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가족 서사 고찰. <인문콘텐츠>, 47권, 179-202.
- 김정선·민영 (2012). 동성애에 대한 한국 영화의 시각적 프레임(visual frames). <미디어, 젠더 & 문화>, 24권, 89-117.
- 김춘식·채영길·정낙원 (2015). 한국 미디어의 아프리카 묘사 방식과 수용자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제지역연구>, 18권 5호, 219-252.
- 김훈순 (2004). 한국 언론의 젠더 프레임.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27권, 63-91.
- 김희정 (2007). TV광고에 나타난 성역할 이미지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1권 4호, 7-68.
- 남궁영 (2009). SBS 드라마 ‘스타일’에 관한 기호학적 영상분석.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1-112.
- 박상희·김혜숙 (2007). 적대적 및 온정적 성차별주의 남성에 대한 노출이 사회의 공정성과 자기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7. 6. 400-401.
- 변성광 (2013). 시각 문화콘텐츠로서의 TV 영상자막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 6권, 7-31.
- 백선기 (2003). TV 보도 영상의 서사 구조과 의미구조: ‘9.11 참사’ 보도의 영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20권, 57-109.
- 백선기⋅황우섭 (2009). 다문화성 TV 방송 프로그램이 패러독스: KBS-TV의 <미녀들의 수다>에 내재된 ‘다문화성’과 ‘섹슈얼리티’의 혼재성. <한국언론정보학보>, 45권 1호, 255-295.
- 신상기 (2015). 텔레비전 예능의 개방적 형식미 고찰.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권 1호, 381-395.
- 신상기·이종대 (2014). 텔레비전 예능의 뉴 패러다임. <영상기술연구>, 21권, 127-151.
- 심미선·김경희·강혜란 (2015). <방송심의제도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서울: 여성가족부.
- 안상수·김혜숙·안미영 (2005). 한국형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K-ASI)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권 2호, 39-66.
- 양돈규⋅김정인 (2016).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성희롱 문제인식과 성희롱 행동경험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통권 제91호, 73-96.
- 양우정·금희조. (2012). 앵커의 성별에 따른 수용자의 공신력 인식과 뉴스 평가. <한국방송학보>, 26권 5호, 193-232.
- 여성가족부 (2015). <2015년 성희롱 실태조사>.
- 여성가족부 (2017). <양성평등 방송 프로그램 제작 안내서>.
- 오세정·장서지 (2013). 리얼리티 표방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 연구. <주관성연구>, 27권, 171-194.
- 우형진 (2006). 형식 파괴 뉴스 프로그램에서 묘사되는 한국 정치현실에 대한 프레임 분석. <한국언론학보>, 50권 1호, 192-220.
- 윤가현 (2006). <성, 억압과 진보의 역사>. 파주: 살림출판사.
- 윤선희 (2005). 신데렐라 콤플렉스의 역전이와 코라. <한국언론학보>, 49권 2호, 84-109.
- 이건혁 (2002). 미디어 프레임이 부정 감정, 정치 냉소, 그리고 정치 효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46권 3호, 252-288.
- 이경자 (1994). 여성과 미디어 소비자 운동. 한국여기자클럽 편, <뉴스룸의 여기자들>, 서울:나남.
- 이란, 백선기 (2016). 육아 예능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부성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1호, 107-120.
- 이선경·허용회·박선웅 (2015). 성별과 나이에 따른 성폭력 인식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9권 1호, 65-81.
- 이승희·김균수 (2015). 예능프로그램이 트위터 여론형성에 미치는 영향: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안철수 후보 편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3권 4호, 329-340.
- 이은숙·강희순 (2014).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성적 자기 주장성, 성폭력 인식도, 성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성폭력 경험. <동서간호학연구지>, 20권 1호, 48-56.
- 이정원·안상수·김혜숙 (2009).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여성관련 정책 및 강간피해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9. 6. 208-209.
- 이종수 (2004). <TV 리얼리티: 다큐멘터리, 뉴스, 리얼리티쇼의 현실구성>. 서울: 한나래.
- 이종혁·김윤환·길우영 (2017). 영상에 나타난 보도 공정성 연구.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69-181.
- 이화정 (2013). 멜로장르 TV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주인공의 전형성(1992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권 12호, 604-613.
- 이희은 (2014). 관찰 혹은 자발적 감시. <한국방송학보>, 28권 2호, 211-248.
- 임선희 (2000).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효과 장치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 논문.
- 임소혜·정지인 (2012). 3D 영상의 입체성이 콘텐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콘텐츠의 유인가와 각성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6호, 211-222.
- 임의택·최은경 (2016). 리얼리티 프로그램 자막에 관한 연구.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5권 1호, 108-117.
- 장필화·조형 (1991). 한국의 성문화 - 남성 성문화를 중심으로. <여성학 논집>, 제8집, 이대한국여성연구소.
- 정동훈·이은지 (2010). 앵커의 성역할 인식에 따른 기사 부합성, 뉴스 평가 그리고 공신력 차이.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3권, 110-144.
- 조무용·김정인 (2016). 성평등의식과 성차별주의가 스토킹통념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1권 1호, 109-134.
- 조수선 (2014). 국내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권 7호, 58-69.
- 정수영 (2009). TV 영상자막의 특징 및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3권 6호, 153-176.
- 조연하·김경희·정영희 (2006). ‘여성 1 호’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보도의 프레임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7권 2호, 166-195.
- 최은경·김승현 (2010).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데올로기적 현실 구성과 비판적 성찰의 이중성. <한국방송학보>, 24권 3호, 175-219.
- 최인철·진정희 (2003).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성희롱 사건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3(1), 409-410.
-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2017). <2017년 대중매체 양성평등 모니터링 보고서>. 3월-9월.
- 한형주 (2009),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자막 생산과정에 관한 연구: mbc ‘무한도전’, ‘우리 결혼 했어요’ 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허명숙 (2007). 전문직 여성에 대한 언론보도 프레임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7권, 5-45.
- 현경미·김원용 (2005). 언론의 여성 정치인 관련 보도 프레임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3권, 38-72.
- 홍석경 (1999). 텔레비전 장치와 재연의 재현양식. <한국언론학보>, 43권 3호, 395-430.
- 홍숙영 (2010).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권 1호, 202-212.
- 홍지아 (2009).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전락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 <한국방송학보>, 23권 3호, 567-608.
- 홍지아 (2010).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된 여성의 몸 담론. <한국언론정보학보>, 49권 1호, 122-143.
- 홍지아 (2012). TV가 제시하는 사랑할/받을 자격과 한국 사회 20대 여성들이 이를 소비하는 방식. <한국방송학보>, 26권 5호, 307-342.
- Cohen, J. (2001). Defining identification: A theoretical look at the identification of audiences with media characters.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4(3), 245–264. [https://doi.org/10.1207/S15327825MCS0403_01]
- De Graaf, A., Hoeken, H., Sanders, J., & Beentjes, J. W. (2012). Identification as a mechanism of narrative persuasion. Communication Research, 39(6), 802-823. [https://doi.org/10.1177/0093650211408594]
- Giddens, A. (1996). Affluence, Poverty and the Idea of a Post‐Scarcity Society. Development and change, 27(2), 365-377. [https://doi.org/10.1111/j.1467-7660.1996.tb00595.x]
- Glick, P., & Fiske, S. T. (1996).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3), 491. [https://doi.org/10.1037/0022-3514.70.3.491]
- Gunter, B., & Wober, J. M. (1992). The reactive viewer: A review of research on audience reaction measurement. John Libbey.
- Gutek, B. A., & Morasch, B. (1982). Sex‐ratios, sex‐role spillover, and sexual harassment of women at work. Journal of Social Issues, 38(4), 55-74. [https://doi.org/10.1111/j.1540-4560.1982.tb01910.x]
- Jones, J. M. (2003). Show your real face: A fan study of the UK Big Brother transmissions (2000, 2001, 2002). Investigating the boundaries between notions of consumers and producers of factual television. New Media & Society, 5(3), 400-421. [https://doi.org/10.1177/14614448030053006]
- Livingstone, S. M. (1998). Making sense of television: The psychology of audience interpretation. New York: Routledge.
- McCarthy, A.(2007). Reality television: a neoliberal theater of suffering. Social Text, 93(25), 1741. [https://doi.org/10.1215/01642472-2007-010]
-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ㆍ이강형 (역) (2008).〈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 나남. [https://doi.org/10.4135/9781446262467]
- Neuman, S. B., & Koskinen, P. (1992). Captioned television as comprehensible input: Effects of incidental word learning from context for language minority students. Reading research quarterly, 95-106. [https://doi.org/10.2307/747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