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Journalism Communication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2, No. 5, pp.107-135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8
Received 10 Aug 2018 Revised 28 Sep 2018 Accepted 04 Oct 2018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8.62.5.004

1920년 조선어 민간신문 창간의 배경과 과정

박용규*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부 교수 ygpark@sangji.ac.kr
Backgrounds and Processes on the Foundation of Korean private newspapers in 1920
Yong-Gyu Park*
*Professor, Sangji University ygpark@sangji.ac.kr

초록

일제는 3·1운동의 여파로 어쩔 수 없이 문화정치를 실시하며 언론의 자유를 어느 정도 허용했다. 총독부는 조선인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1920년에 민간신문 발행을 허가하고, 그런 신문을 통해 민심을 파악하거나 여론을 조작하려고 했다. 총독부는 분열과 경쟁을 유발하기에 적절한 신문의 수까지 따져보고 전체적인 구도를 짜서 신문발행을 허가했다. 다양한 조선인 집단이나 개인들은 정치적 목적이나 경제적 의도 등을 갖고 신문발행 허가를 신청했다. 총독부는 적극적 협력세력 중에 2개, 소극적 저항세력 중에 1개의 신문발행을 허가했다. 협력세력 중에는 동화주의의 실현을 위해 적극적인 정치활동을 펼쳤던 국민협회에게 <시사신문>을 허가했고, 내선융화를 표방하며 사교활동을 했던 대정친목회에게 <조선일보>를 허가했다. 저항세력 중에는 민족주의를 표방하면서도 타협할 수밖에 없는 조건에 놓인 세력에게 <동아일보>의 발행을 허가했다. 당시 잡지의 필자들은 국민협회 기관지 <시사신문>과 대정친목회 운영 시절의 <조선일보>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비판적이었다. 다만 창간 다시 <동아일보>에 대해서는 비교적 민족주의적이었다는 평가와 다른 두 신문과 큰 차이가 없었다는 주장이 엇갈렸다.

Abstract

In the aftermath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Imperialist was forced to implement ‘cultural politics’, allowing some freedom of speech. In order to assuage the Korean people's discontent,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pproved the publication of newspapers in 1920 and tried to grasp public sentiment or manipulate public opinion. The Governor-General gave permission to publish newspapers by forming the overall structure, even considering the right number of newspapers to cause division and competition. Various groups and individuals of Koreans applied for permission to publish newspapers with political or economic intentions. The Governor-General approved the publication of two of the active collaborators and one of the passive resistance forces. The authors of the magazine were consistently critical of Shisa-Shinmoon and Chosun-Ilbo. However, there was mixed opinion that Dong-A Ilbo was relatively nationalistic or that Dong-A Ilbo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other two newspapers at the time of the foundation.

Keywords:

the foundation of Korean private newspaper, cultural politics, Dong-a Ilbo, Shisa-Sinmoon, Chosun Ilbo

키워드:

조선어 민간신문의 창간, 문화정치, <동아일보>, <시사신문>, <조선일보>

References

  • 강동진 (1980). <일제의 한국침략사>. 서울: 한길사.
  • 고명식 외(1987). <대기자 홍박>. 서울: 세문사.
  • 김경택 (1998). <1910·20년대 동아일보 주도층의 정체경제사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규환 (1978). <일제의 대한 언론·선전 정책>. 서울: 이우출판사.
  • 김동명 (2006). <지배와 저항, 그리고 협력>. 서울: 경인문화사.
  • 김민환 (1993). 일제강점기 언론사의 시기구분. <언론과 사회>, 1호, 46-66.
  • 김상태 (편) (2001). <윤치호 일기(1916-1943)>. 서울: 역사비평사.
  • 김유원 (1986). 민족지 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청암 송건호선생 화갑기념문집>(389-408쪽). 서울: 두레.
  • 김을한 (1971). <신문야화>. 서울: 일조각.
  • 김종준 (2010). <일진회의 문명화론과 친일활동>. 서울: 신구문화사.
  • 동아일보사 (1985. 4. 17). 애독자 제현에게 알려드립니다-동아·조선 창간과 ‘민족지’ 시비에 대하여. <동아일보>, 3면.
  • 동아일보사사 편찬위원회 (1975). <동아일보사사> 권1. 서울: 동아일보사.
  • 무명거사 (1931). 조선신문계 종횡담. <동광>, 1931년 12월호, 76-80.
  • 박경식 (1986). <일본제국주의의 조선지배>. 서울: 청아.
  • 박용규 (2015). 1920년대 초 <시사신문>의 창간과 특성. <한국언론학보>, 59권 5호, 178-204.
  • 박인식 (2006). 일제하 3대 민간지인 시사신문 허가일 재규명. <신문과 방송>, 2006년 3월호, 44-47.
  • 박지향 (2009). 협력자들: 나치점령기 유럽과 일제치하 조선. <서양사론>, 103호, 343-374.
  • 박찬승 (1992). <한국 근대정치사상사 연구>. 서울: 역사비평사.
  • 백악산인 (1938). 복면객의 인물평-권토재래의 이상협씨. <삼천리>, 1938년 12월호, 42-48.
  • 벽아자 (1923). 동아일보에 대한 불평. <개벽>, 1923년 7월호, 40-44.
  • 선우휘 (1985. 4. 12). 동아일보 사장에게 드린다. <조선일보>, 3면.
  • 수춘학인 (1930). 조선신문잡지 연혁 및 발달사. <별건곤>, 1930년 7월호, 22-27.
  • 신 철 (1923). 소위 팔방미인주의인 조선일보에 대하여. <개벽>, 1923년 7월호, 45-49.
  • 신홍범 (1985). 동아·조선의 뿌리. <실천문학>, 7호, 83-101.
  • 심재욱 (2004). 1910년대 ‘조선귀족’의 실태. <사학연구>, 76집, 231-265.
  • 아아생 (1923). 조선일보의 정체. <개벽>, 1923년 7월호, 49-52.
  • 유광열 (1960). 동아일보기 창간되던 무렵. <사상계>, 1960년 1월호, 212-217.
  • 유광열 (1969). <기자반세기>. 서울: 서문당.
  • 윤해동 (2010). <근대역사학의 황혼>. 서울: 도서출판 책과 함께.
  • 이규수 (2005). 조선총독부 치안관계자의 한국 인식. <동학연구>, 18집, 167-193.
  • 이규수 (2009). 민본주의자,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의 조선 인식. <역사비평>, 87호, 303-323.
  • 이기훈 (2009). 1920-30년대 ‘조선귀족’의 경제상황과 조선총독부의 귀족정책. <역사문제연구>, 21집, 333-363.
  • 이민주 (2011). 일본어 잡지기사에 나타난 일제하 언론정책과 언론상황. <한국언론학보>, 55권 6호, 30-55.
  • 이승엽 (2012). ‘문화정치’ 초기 권력의 동학과 재조일본인사회. <일본학>, 35집, 91-118.
  • 이 연 (2013). <일제강점기 조선언론통제사>. 서울: 박영사.
  • 이완범 (2009). 김성수의 식민지 권력에 대한 저항과 협력: ‘협력적 저항’에서 ‘저항적 협력’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8집, 399-454.
  • 이용창 (2012). 일제강점기 ‘조선귀족’ 수작 경위와 수작자 행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3집, 331-371.
  • 이종수 (1931). 조선신문사-사상변천을 중심으로. <동광>, 1931년 12월호, 69-75.
  • 이태숙 (1990). 제국주의와 주변부 중심론. <역사학보>, 128집, 71-100.
  • 이태훈 (2007). <공영>-1920년대 전반 친일세력의 고민과 세계관. <역사문제연구>, 17호, 235-256.
  • 이형식 (2017). ‘제국의 브로커’ 아베 미쓰이에(阿部充家)와 문화통치. <역사문제연구>, 37호, 433-480.
  • 이형식 (2018). <齋藤實·阿部充家 왕복서한집>. 서울: 아연출판부.
  • 인촌기념회 (1976). <인촌 김성수전>. 서울: 인촌기념회.
  • 임근수 (1984). <언론과 역사> 서울: 정음사.
  • 임우성 (1938). 조선신문사. <비판>, 1938년 8월호, 2-10.
  • 임종국 (1985). <일제하의 사상탄압>. 서울: 평화출판사.
  • 장 신 (2007). 대정친목회와 내선융화운동. <대동문화연구>, 60집, 361-392.
  • 장 신 (2010). 1920년 대정친목회의 조선일보 창간과 운영. <역사비평>, 91호, 291-327.
  • 정진석 (1990). <한국언론사>. 서울: 나남.
  • 정진석 (2005). <언론조선총독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조선일보사 (1985.4.19). 우리의 입장-동아일보의 본보 비방에 붙여. <조선일보>, 3면.
  • 조용만 (1985.4.1). 동아일보 민족혼 일깨운 탄생, 본보 창간의 시대적 배경. <동아일보>, 3면.
  • 조좌호 (1996). 산운 장도빈의 생애. <산운 장도빈의 생애와 사상>(19-23쪽). 서울: 산운학술재단.
  • 진학문 (1975). 나의 문화사적 교류기. <순성 진학문 추모문집>(72-87쪽). 서울: 순성 추모문집 발간위원회.
  • 차상찬 (1935). 조선신문발달사. <개벽>, 1935년 3월호, 2-12.
  • 차상찬 (1936). 조선신문발달사. <개벽>, 1936년 11월호, 40-52.
  • 채 백 (2012). <부산언론사연구>. 부산: 산지니.
  • 채 백 (2015). <한국언론사>. 서울: 컬처룩.
  • 최민지 (1978). <일제하 민족언론사론>. 서울: 일월서각.
  • 최 준 (1960). <한국신문사>. 서울: 일조각.
  • 하 정 (1934). 조선신문발달사. <신동아>, 1934년 5월호, 52-59.
  • 황태욱 (1935). 조선 민간신문계 총평. <개벽>, 1935년 3월호, 13-21.
  • 國民協會本部(1921). <國民協會史>第一.
  • 閔元植(1920). 騷擾先後策. <朝鮮統治問題>(35-74쪽). 東京: 黑龍會本部. [https://doi.org/10.1001/jama.1920.02620010041018]
  • 朴仁植(2007). 植民地朝鮮にぉける民間三紙許可の政治的意圖. 東京: 富士ゼロックス小林節太郞記念基金.
  • 釋尾春芿(1920). 文化政策の價値を疑はる. <朝鮮及滿洲>, 1920년 9월호, 2-5.
  • 松田利彦, 김인덕역(2004). <일제시기 참정권문제와 조선인>. 서울: 국학자료원.
  • 松田利彦(2008). 朝鮮總督府秘書課長と文化政治. <日本の朝鮮, 臺灣支配と植民地官僚>(213-235쪽). 東京: 國際日本文化センタ―.
  • 原奎一郞 編(1950). <原敬日記>. 東京: 乾元社.
  • 李炯植(2006). 初期における朝鮮總督府官僚の統治構想. <史學雜誌>, 115권 4호, 510-534.
  • 朝鮮行政編輯總局(1937). <朝鮮統治秘話>. 東京: 帝國地方行政學會.
  • 朝鮮總督府(1920). <朝鮮に於ける新施政>. 京城: 朝鮮總督府.
  • 朝鮮總督府 警務局(1910.10.18) 高警第26490號 <京城民情彙報: 民心의 傾向, 獨立資金募集者 檢擧> (http://e-gonghun.mpva.go.kr/portal/url.jsp?ID=PV_JS_0004_00000116, )
  • 朝鮮總督府 警務局(1930). <高等警察關係年表>. 京城: 朝鮮總督府 警務局.
  • 千葉了(1925). <朝鮮獨立運動秘話>. 東京: 帝國地方行政學會.
  • 千葉了(2003). 3.1事件後の朝鮮に赴任して(秘話體驗談). <東洋文化硏究>, 제5호, 241-336.
  • 韓翼敎(1941). <韓相龍君を語る>. 김명수(2007). <한상룡을 말한다>. 서울: 혜안.
  • Osterhammel, Jürgen(2002). Kolonialismus : Geschichte, Formen, Folgen. 박은영.이유재 역(2006). <식민주의>. 서울: 역사비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