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Journalism Communication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2, No. 4, pp.44-81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8
Received 12 Apr 2018 Revised 13 Jul 2018 Accepted 24 Jul 2018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8.62.4.002

미디어법 개정 과정에 나타난 18대 국회 상임위원회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특성 연구 : 의회 조직이론, 개인 의사결정속성, 조직커뮤니케이션 특성, 집단사고 징후를 중심으로

박종민* ; 정영주** ; 권구민***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교신저자 jongmin@khu.ac.kr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박사과정 storyjenny@naver.com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박사 kwongm@khu.ac.kr
18th National Assembly Standing Committee's Decision-Making Communication Studies in the Media Law Revision Process : Focusing Organizational Theory in Congress, Individual Decision Making Attribut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Group Thinking
Park, Jongmin* ; Jung, Youngju** ; Kwon, Gumin***
*Professor,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Kyung Hee University jongmin@khu.ac.kr
**Doctoral Candidate, The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Kyung Hee University storyjenny@naver.com
***Doctor, The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Kyung Hee University kwongm@khu.ac.kr

초록

본 연구는 18대 국회 문화체육관광통신위원회의 미디어법 개정 관련 회의록 분석을 통해 법 개정 과정에 나타난 국회의원의 의사결정특성, 조직 커뮤니케이션 특성, 집단사고 속성들은 어떠했으며, 이런 속성과 국회의원의 개인적 속성(여야, 성별, 연령대, 학력)이 개정안 찬반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형식성 > 당파성 > 전문성 > 국민대표성 > 자기권위성 > 타협성 > 연대성 순으로 의사결정 특성이 발현되고 있었고, 조직커뮤니케이션 특성 관련, 여당은 공식성이, 야당은 복잡성이 강하게 표출되고 있었다. 집단사고는 만장일치에 대한 환상 > 반대자에 대한 직접 압력 > 도덕성의 환상 순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젊을수록 집단사고가 높았고, 50대가 만장일치에 대한 환상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당파성이 50대가 압도적이었던 결과에서도 밝혀졌으며, 야당, 연령이 낮을수록 미디어 개정안에 반대하였다. 세부적으로 50대에게서 자기방어가, 60대에게서 자기강화가 많았다. 연대성, 타협성, 당파성, 전문성, 권위성, 형식성 모두 찬반의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 커뮤니케이션 특성인 당파적 집권화와 복잡성도 개정안 찬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회조직이론 관점에서 보면 여당은 의회조직이론 중 정당이론적으로 상임위원회 기능을 활용하였고, 야당은 정보이론과 분배이론적 관점에서 상임위원회 활동을 하고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decision mak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group thinking in the legislative amendment process of the 18th National Assembly Committee by analyzing the committee minutes for revision of the media law. We also analyzed how members’ individual attributes (age, gender, party, educational background) affected the proposal and pros and cons. The decision-making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in the order of authoritarianism> competence> professionalism> (citizen) representation> (self) authoritiveness> compromise> solidarity.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the ruling party was formally dominated, and the opposition party was strongly expressed in complexity. Group thinking was expressed in the fantasy of unanimity, direct pressure on dissenters, and fantasy of morality. Finally, during the committee meetings for revision of the media law, the ruling party used the function of the standing committee as the party theoretically in the parliamentary organization theory, and the opposition party was active in the standing committee in terms of information theory and distribution theory.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in depth.

Keywords:

media law, decision mak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parliamentary organizational theory, group thinking

키워드:

미디어법, 의사결정특성, 조직커뮤니케이션, 의회 조직이론, 집단사고

References

  • 강길호 (2000). 지방의원들의 의회정치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메시지 전략- 대정부 질의응답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37, 51-66.
  • 권은실·이영환 (2012). 국회 법안심의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17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산업자원위원회 법안심사 소위원회 회의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3권 1호, 317-341.
  • 김인철·강문희·김두현 (2002). 국회의 정부예산안 수정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 사례. <국제지역연구>, 5권 4호, 171-197.
  • 김항규 (2010). 국회에서의 정책결정 과정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4권 2호, 27-45.
  • 김행범 (2014). 의사결정 규칙에 관한 공공선택론적 연구: 개정 국회법을 중심으로. <제도와 경제>, 8권 1호, 47-83.
  • 김홍회 (2000). IMF 외환위기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정부고위정책관료의 의사결정과정 연구 - Janis의 집단사고를 분성의 틀로. <한국행정학보>, 34권 4호, 41-58.
  • 박경돈 (2009). 국회의 의사결정과 질적 연구방법. <한국정책학회보>, 18권 2호, 73-96.
  • 박경돈 (2015). 역대 국회회기별 법률안의 처리결정과 처리기간의 영향요인. <의정논총>, 10권 2호, 55-82.
  • 박종민 (2004). <PR론>,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 박종민 (2005). PR실무자들의 심리적 계약 상황과 관계자 관계 성향(LPS)이 조직충성도, 직무몰입도,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보학연구>, 9권 1호, 170-213.
  • 박종민 (2015a). 조직커뮤니케이션. 이준웅·박종민·백혜진 (편), <커뮤니케이션 과학의 지평> (105-165쪽). 서울: 나남.
  • 박종민 (2015b). 바람직한 대정부관계 활동을 위한입법과정 내 로비스트 관련 법률안 재고찰, <한국광고홍보학보>, 17권 1호, 5-29.
  • 박종민·김민경 (2012).우리나라 국가조직문화와 제 18대 대통령 선거 예상 후보들의 리더십 유형 비교분석: 경합가치모형의 적용. <광고학연구>, 23권 5호, 7-27.
  • 박종민·박경희 (2011). 정부 PR 실무자의 고용 형태, 심리 계약 상황, 정부 PR 조직 특성이 직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권 1호, 245-272.
  • 박종서 (2016). 미디어법 개정이 미디어/콘텐츠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분석-사건연구의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9호, 411-422.
  • 박찬욱·김진국 (1997). 제14대 국회 상임위원회 제도와 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연구>, 7, 449-488.
  • 서복경 (2010). 국회 위원회제도의 기원에 관한 연구 - 제헌국회 및 2대국회를 중심으로. <의정논총>, 5권 1호, 51-80.
  • 서인석·권기현·이종구·김태진 (2009). 국회 및 서울시의회 예산총괄심의과정에서의 의사결정: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록분석. <한국행정학보>, 43권 4호, 47-80.
  • 서인석·이동규·박형준 (2010). 국회의원의 상임위원회 정책결정 행태요인에 관한 연구: 수자원 예산심의에 관한 국회 상임위원회 의사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9권 1호, 79-100.
  • 손병권. (1999). 미국 의회조직에 관한 세 가지 이론과 정당이익이론의 적실성 조건. <국제지역연구>, 8권 2호, 123-135.
  • 손병권·가상준 (2008). 갈등의 현실과 합의에 대한 소망: 국회 운영 및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17대 국회의원들의 인식. <한국정치연구>, 17권 1호, 87-109.
  • 심준섭·주영종 (2005). 행정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평가와 제안: Triangulation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6.
  • 심준섭 (2006). 행정학 연구의 대안적 방법으로서의 방법론적 다각화(triangulation):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의 결합. <한국행정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20.
  • 안병철 (2009). 위원회조직의 의사결정과정 분석–자치구 의정비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3권 2호. 309-328.
  • 오석홍 (2009). <조직이론>, 서울:박영사.
  • 윤기찬 (2010). 공직자윤리위원회 의사결정과정 분석: 비판적 의사결정 모형의 적용. <대한정치학회보>, 18권 1호, 1-19.
  • 이상우 (2015). 국회 입법교착의 원인에 대한 탐구 – 국회선진화법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23권 2호, 47-75.
  • 이수장 (2008). 고준위 방폐장 입지 선정의 공론화 기초 연구. <환경정책연구>, 7권 4호, 105-134.
  • 이현출 (2011). 국회 특별위원회 활동과정에 대한 분석: 기후변화특위를 중심으로. <의정논총>, 6권 1호, 81-105.
  • 이현우 (2011). 국회 상임위원회의 법안 공동발의 연결망 분석 - 18대 문방위 발의안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봄호, 99-131.
  • 장문선·윤성식 (2002). 국회예산심의액 증감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1권 2호, 99-119.
  • 최진응 (2012). 미디어 산업의 정치경제: 2009년 대기업과 신문사의 방송진입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1권 1호, 131-156.
  • 캐서린 밀러 (2003). <조직커뮤니케이션(안주아·신명희·이희복·박종민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 한균태·박종민·김창숙·서영남 (2008). 효율적 정책집행과정과 정책공중유형별 정책고객관계관리를 위한 정책홍보실무자들의 인식. <홍보학연구>, 12권 1호, 73-109.
  • 황윤원 (1993). 우리나라 예산심의의 결정변수 분석. <한국행정학보>, 27권 2호, 437-457.
  • Ambrus, A., Azevedo, E. M., Kamada, Y., & Takagi, Y. (2013). Legislative committees as information intermediaries: A unified theory of committee selection and amendment rules.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94, 103-115. [https://doi.org/10.1016/j.jebo.2013.08.003]
  • Baron, d. P., & Ferejohn, J. A. (1989). Bargaining in legislature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3(4), 1181-1206. [https://doi.org/10.2307/1961664]
  • Butler, E.(2011). The many pressures on government spending: Can the productive sector survive? <제도와 경제>, 5(2), 249-269.
  • Cox, G. W., & McCubbins, M. D. (1994). Legislative Leviathan: Party government in the white house. Association for public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book review i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13(4), 811-815. [https://doi.org/10.2307/3325505]
  • Davidson, R. H., & Oleszek, W. J. (1996). Congress and its members. 5th ed. Washington D.C.: CQ Press.
  • Farace, R. V., Monge, P. R., & Russell, H. M. (1977). Communicating and organizing. Reading, MA: Addison-Wesley.
  • Fenno, R. (1973). Congress in committees, Boston: Little, Brown.
  • Grunig, J. E., & Hunt, T. (1984). Managing public relations.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 Hage, J. (1980). Theories of organization: Form, process and transformation. New York: Willey.
  • Janis, I. L.(1982). Groupthink: Psychological studies of policy and fiascoes (2nd ed.). Boston: Houghton Miffin.
  • Krehbiel, K. (2010). Information and legislative organization.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Krehbiel, K. (2004). Legislative organizatio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8(1), 113-128. [https://doi.org/10.1257/089533004773563467]
  • Lammers, J. C., & Barbour, J. B. (2006). An Institutional theory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heory, 16(3). [https://doi.org/10.1111/j.1468-2885.2006.00274.x]
  • Lehmann-Willenbrock, N, Allen, J., & Kauffeld, S. (2013). A Sequential Analysis of Procedural Meeting Communication: How Teams Facilitate Their Meetings,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41(4), 365-388. [https://doi.org/10.1080/00909882.2013.844847]
  • McCauley, C. (1989). The nature of social influence in groupthink: compliance and intern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2), 250-260. [https://doi.org/10.1037/0022-3514.57.2.250]
  • Miller, C. (2003).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안주아 외(역) (2006). <조직커뮤니케이션>.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 Miller, K. (1998).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pproaches and processes (2nd ed.). Ohio: Wadsworth.
  • Pugh, D. S., Hickson, D. J., Hinings, K. M., Turner, M. C., & Lupton, T.(1963). A conceptual scheme for organizational analysi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8, 301-307. [https://doi.org/10.2307/2390971]
  • Zhang, Y., Friend, A. J., Traud, A. L., Porter, M. A., Fowler, J. H., & Mucha, P. J. (2008). Community structure in congressional cosponsorship networks. Physica A, 387, 1705-1712. [https://doi.org/10.1016/j.physa.2007.1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