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KSJCS)
[ Special Issu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5, pp.7-37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9
Received 09 Aug 2019 Revised 08 Oct 2019 Accepted 10 Oct 2019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5.001

언론학 교육 60년, 어디로 가고 있는가, 어디로 가야 하는 것일까?

강명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명예교수 kang.myungkoo@gmail.com
Sixty-years of media education: Where we are going, where we need to go
Myungkoo KANG*
*Professor Emeritus, Seoul National University kang.myungkoo@gmail.com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파괴적 혁신에 당면해서 언론학이 처한 위기의 내용에 주목하였다. 그런 위기의 맥락에서 언론학 교육을 혁신하는 틀을 만들 것이냐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미래 언론학 교육의 혁신을 위해 세 가지 제안했다. 첫째, 서열화된 대학위계구조에서 언론학과는 어떻게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이론과 실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서, ‘분과학문을 넘어선 분과학문’ (a discipline beyond discipline)으로 언론학을 설정할 것을 주장했다. 둘째, 포스트휴먼 시대에 기계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인식론의 재설정이 요구됨을 설명하고, 언론학 교육의 입장에서 다양한 분과학문과 협력을 위해 프로그램 단위의 주제별 모듈이라는 교육틀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디지털 저널리즘 노동의 불안정성(precarity)에 대응하기 위해 ‘작업에 기반한 교육’을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form of media education in the context of digital disruption. Looking back at the sixty-year historical trajectory of media and journalism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illuminate the scope of and the ways in which the media educator re-formulates the changing na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oming age of digital disruption. Three proposals for media education reform were presented. First, this study proposes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production education into the education of practical knowledge. Such an integrated approach is validly applicable even within the hierarchical arrangement of South Korean universities along SAT scores. Second, the study suggests 1) the need to reestablish the philosophical epistemolog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nes and humans in the post-human era, and 2) the introduction of an educational framework, called ’thematic module of the program unit’, so as to encourage cooperation across various disciplines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education reform. Finally, the study proposes ‘work-based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cope with the intensifying precarious nature of the digital media industry’s labor market.

Keywords:

media education, digital disruption,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al knowledge

키워드:

디지털 혁신, 언론학 교육, 실천적 지식, 디지털 미디어, 기자교육

References

  • Abrassart, C., et al. (2018, 12, 5). The Montreal declaration for responsibl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inciples and recommendations for ethical development of AI are unveiled. Université de Montréal & Fonds de recherche du Québec.
  • Aggarwal, M., & Madhukar, M. (2016). “Watson Analytics for Health Care: A Miracle Made True”, Advances in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and Administration (pp. 117-134). [https://doi.org/10.4018/978-1-5225-1002-4.ch007]
  • Barber, B. R. (1998). Three Scenarios for the Future of Technology and Strong Democracy. Political Science Quarterly, 113(4), 573-589. [https://doi.org/10.2307/2658245]
  • Barney, J. B.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 99-120.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108]
  • Bayley, A. (2018). Posthuman pedagogies in practice. London: Pargrave. [https://doi.org/10.1007/978-3-319-70978-9]
  • Coeckelbergh, M. (2013). Human being@Risk. Dordrecht-New York: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94-007-6025-7]
  • Colton, S., & Wiggins, G.A. (2012). Computational Creativity: The Final Frontier? http://ccg.doc.gold.ac.uk/wp-content/uploads/2016/10/colton_ecai12.pdf
  • Floridi L. (2011). Philosophy of Information.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93/acprof:oso/9780199232383.001.0001]
  • Hearn, G. (2014). Creative Occupations as Knowledge practices: Innovation and precarity in the creative economy. Journal of Cultural Science. 7(1), 83-97. [https://doi.org/10.5334/csci.65]
  • Hughes, G. H. (2001). Aristotle on Ethics. London: Routledge.
  • Giffin,J., Neloms, J., Mitchell,A, & Blumenthal, D. (2018) (eds.), Work-Based Learning Definitions. Themes From States and National Organizations. URL: https://ccrscenter.org/sites/default/files/WorkBasedLearning_StateDefinitions.pdf
  • Kohn, M. (2013, 11, 6). IBM Watson: Will Your Doctor be a Robot? Interview conducted on campus of Singularity University. URL: https://www.youtube.com/watch?v=M8PdLiwc0J8
  • Moore, T. (2013). Critical thinking: Seven definitions in search of a concept.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8(4), 506-522. [https://doi.org/10.1080/03075079.2011.586995]
  • Nerone, J. C. (2012). The historical roots of normative model of journalism. Journalism, 14(4), 446-458. [https://doi.org/10.1177/1464884912464177]
  • Newman, N. (2018). Journalism, Media and Technology Trends and Predictions.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University of Oxford.
  • Norris, S. P. (1992). Introduction: The generalizability question. In S. Norris (Ed.), The generalizability of critical thinking: Multiple perspectives on an educational ideal (pp. 1-8).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Peschl, M., & Fundneider, T. (2012). Spaces enabling game-changing and sustaining innovations: why space matters for knowledge creation and innovation, Journal of Organisational Transformation & Social Change, 9(1), 41-61. [https://doi.org/10.1386/jots.9.1.41_1]
  • Schudson, M. (2008). Why democracies need unlovable press. Cambridge, UK: Polity Press.
  • 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ttp://www3.weforum.org/docs/WEF_Future_of_Jobs.pdf.

Appendix

부록

  • 강승희 (2013). 한국대학생을 위한 비판적 사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동북아문화연구>, 34권, 169-190.
  • 김선호·김위근·박아란·양정애 (2018).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18 한국>. 서울: 한국언론재단.
  • 김성해 (2007). 미디어와 교육. 언론인 전문화를 주도하는 미국 경제저널리즘 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권 1호, 7-42.
  • 김영주·정재민·강석 (2014). <소셜뉴스중계자: 뉴스미디어 기업의 대응과 전략>. 서울: 한국언론재단.
  • 김영희 (2012). 우리나라 초기 언론학교육의 출현과 그 성격. <한국언론학보>, 56권 1호, 132-155.
  • 박영흠 (2018). 한국 디지털저널리즘의 사회적 형성 : 디지털뉴스의 상품화 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 <언론과 사회>, 26권 1호, 135-181.
  • 박진우·이정훈 (2016). 민주화 시대의 언론과 ‘민주주의적 가치’의 후퇴 : 언론인 의식 조사 자료에 대한 검토, 1989∼2013. <한국방송학보>, 30권 5호, 43-80.
  • 방선희 (2011).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연구동향과 시사점. <평생학습사회>, 7권 1호, 61-83.
  • 손현주 (2019). 인공지능 거버넌스와 민주주의의 미래. <사회사상과 문화>, 22권 2호. 305-349.
  • 송상근 (2018). 수습기자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탐구, <한국소통학보>, 17권 4호, 7-40.
  • 송은주 (2019).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 교육 - 정보철학과 정보윤리를 중심으로. <문화교류연구>, 8권 2호, 69-91.
  • 신상규 (2019). 인공지능의 도덕적 지위와 관계론적 접근. <철학연구>, 149권, 243-273.
  • 염정윤·정세훈 (2019). 가짜뉴스 노출과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 뉴미디어 리터러시, 그리고 이용동기. <한국언론학보>, 63권 1호, 7-45.
  • 윤석민·배진아 (2018). 디지털 시대, 학부 미디어 전공교육의 개선 방향. <방송통신연구>, 90-119.
  • 윤초희 (2016). 국내외 비판적 사고교육 효과연구 고찰 : 쟁점과 향후 연구과제. <아시아교육연구>, 17권 4호, 1-35.
  • 이민하 (2019). 문화 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블록체인 기반 미술 플랫폼.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0권 3호, 673-682.
  • 이상규 (2018). 디지털 창의 노동자는 어떻게 불안정성에 대응하는가?: 한국의 게임 개발자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종희 (2019, 07, 29). “콘텐츠 프로토콜, MBC와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강화”. <뉴시스>. Retrieved from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729_0000725601&cID=13001&pID=13000
  • 이재경 (2005). 한국의 저널리즘 교육. <한국언론학보>, 49권 3호, 5-29.
  • 이재경 (2013). <한국형 저널리즘 모델: 한국 저널리즘 선진화를 위한 성찰>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정동훈·문신일·조재희 (2016). 커뮤니케이션학에 있어서의 융복합교육의 명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3권 4호, 39-75.
  • 정은령 (2018). 한국 팩트저널리즘의 특징. <언론정보연구>, 55권 4호, 5-53.
  • 정진석 (1995). <조선신문학원의 기자양성과 언론학연구>.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언론학논선 9.
  • 조화순·이병재·김승연 (2018). 인터넷 뉴스 댓글을 통한 정치커뮤니케이션. <한국정치학회보>, 52권 5호, 115-139.
  • 하종원 (2017). 한국의 커뮤니케이션학 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8권 2호, 99-122.
  • 황희숙 (2001). 비판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과 통합적 사고력 훈련효과. <교육학연구>, 39권 3호, 187-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