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KSJCS)
[ Articl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6, No. 1, pp.43-88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2
Received 10 Dec 2021 Accepted 10 Feb 2022 Revised 15 Feb 2022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22.66.1.002

장애인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의 영상 제작 활동과 정동 체험에 대한 사례연구 : 들뢰즈와 과타리의 ‘정동’과 ‘양식-역설’의 사유를 중심으로

최현경* ; 강진숙**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수료 zkwmak5@daum.net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jskang1@cau.ac.kr
A case study on video production activities and affective experiences of YouTube creators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Deleuze and Guattari's ‘affect’, ‘bon sens’, and ‘paradoxa’
Hyeon-Gyeong Choi* ; Jin-suk Kang**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Media & Communication, Chung-Ang University zkwmak5@daum.ne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a & Communication,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jskang1@cau.ac.kr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의 영상 제작 활동과 정동 체험을 탐구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통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이고 역설적인 실천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논의로서 스피노자를 비롯하여 들뢰즈와 과타리의 정동 사유에 기반해 유튜브 제작활동을 통한 정동 체험을 분석하고, 양식과 역설의 사유를 바탕으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통념의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실천의 방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스테이크의 도구적 사례연구를 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장애인 유튜브 크리에이터들로 선정하여 영상 제작 활동의 사례들에 초점을 두고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 및 배제의 경험과 유튜브 영상 제작 계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차별과 배제를 경험하였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이 유튜브를 선택한 이유는 방송과 달리 직접 구성·제작·편집을 진행하기 때문에 더 자유로운 주제로 장애인의 삶을 자유롭게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유튜브는 유희와 정보 전달의 공간일 뿐만 아니라 구독자들과 댓글, 커뮤니티를 통해 소통-인식개선-공감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유튜브를 통해 어떠한 정동체험을 경험하였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동은 슬픔에서 기쁨, 기쁨에서 슬픔으로 운동성을 지닌 정서의 변이이다. 유튜브를 통해 불특정 다수와 연결되고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내·외부적으로 기쁨의 정동을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댓글 소통이나 상담과 같은 타인과의 관계가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물론 유튜브 영상을 제작했다는 것 자체가 반드시 기쁨의 정서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내·외부적으로 긍정적인 요소들이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연구참여자들은 악플, 기대감으로 인한 과부하와 같은 슬픔의 정서도 경험하였지만 사건을 통해 슬픔에서 또 다시 기쁨으로 이행하는 정서의 변이를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양식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과 유튜브를 통한 역설적 실천에 대해 분석하였다. 들뢰즈의 양식 사유처럼, 장애인들은 프로그램이나 영화 등에 자주 등장하지만,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여전히 장애를 자극적인 요소로만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유튜브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장애인들의 역설적 실천행위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튜브 영상 제작 활동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배제의 문제와 사회적 통념들을 경험적 사례들을 통해 드러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성과 차이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는 데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ideo production activities and affective experiences of YouTube creators with disabilitie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and paradoxical practices to overcome socially dominant perceptions about the disabled. To this end, we draw on Deleuze and Guattari’s and Spinoza’s thoughts on affect to analyze the affective experience in YouTube production activities. We then incorporate the notions of ‘bon sens’ and ‘paradoxa’ to discuss the problems in the dominant social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plor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m. The study involved YouTube creators with disabilities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cusing on cases of video production activities. As a research method, an instrumental case study of Steak was selected. First, we looked at the experience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from the disabled and the opportunity to produce YouTube videos.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nd felt a lack of social awareness. Unlike broadcasting, YouTube directly organizes, produces, and edits the lives of the disabled with less constraints in the range of themes. In addition, YouTube was not only a space for play and information delivery, but also included elements of communication, awareness improvement, and empathy through subscribers, comments, and communities.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 analyzed the types of affect experienced through YouTube.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emotions of sadness from malicious comments and overload due to high expectations. Affect is a variation of emotions with mobility from sadness to joy and from joy to sadness. Accordingly,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transforming the emotions of sadness back into emotions of joy. Finally, the perception of the problems of social style and paradoxical practice through YouTube were analyzed. Some programs still perceived disability as being used only as a stimulating factor. Disabled people often appear in programs and movies, but still have not escaped the existing disability stereotypes. However, as various activities were possible through YouTube, the paradoxical practice of the disabled could be discover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oblems of social discrimination/exclusion and socially dominant ideas of the disabled through empirical examples through YouTube video production activities, and to find ways to realize the value of diversity and difference to overcome them.

Keywords:

Deleuze, disabled person, affect, Youtube, paradoxa

키워드:

들뢰즈, 장애인, 정동, 유튜브, 역설

References

  • Bourdieu, P. (2001). Langage et Pouvoir Symbolique. Paris: Seuil.
  • Chang, S. (2019). A Study on the Virtuality of Superhero Transformation in the Movie Based on Deleuze's Generation Theory. The Korean Society of Illustration, 22(1), 78-86. [https://doi.org/10.35280/KOTPM.2019.22.1.9]
  • Cho, H. J. (2019, August 1). “In the era of one-person media, YouTubers with disabilities who communicate with the world”. YTNRadionews. URL: https://www.ytn.co.kr/_ln/0103_201908011419473936
  • Cho, Y., & Ho, H. M. (2021).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tress of the Disabled. isability & Employment, 31(4), 5-22.
  • Choi, H.-K., & Kang, J.-S. (2020). A qualitative study on recognition of women’s media in the twenties and ‘becoming – wome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4(2), 140-176.
  • Creswell, J. W., & Poth, C. N. (201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4nd ed). Sage: Publications, Inc.
  • Deleuze, G. (1969). Spinoza et le probleme de l'expression.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 Deleuze, G. (1978). Lecture transcripts on Spinoza’s concept of affect. Seo, C.-H., Kim, S.-W., & Self-Comment Translation Meeting (Trans.) (2005). Non-material labor and multiple. Seoul: Galmuri.
  • Deleuze, G. (1981). Spinoza-philosophie pratique. 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 Denzin, N. K. (1978). Research Act, 2nd ed. New york: McGraw-Hill.
  • Jeon, J. (2013). Exploring Disability Pride as Disability Identity and the Possibility of Disability Culture.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15. 57-76.
  • Jeon, J.-Y. (2021). Discussion of the concepts of disability art and disabled art. Korean Art Research, 32. 195-215.
  • Jung, B., & Kim, S. (2013). Predicting and Explaining YouTube Users Continuance Intention to Generate and Share a Parody.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30(4), 131-167.
  • Kang, J., & Kim, D. (2019). Media Biography of ‘Becoming minority’ of video producers and activists related to the handicapped : Focusing on reproduct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of the disabled of media.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3(1), 286-324.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1.009]
  • Kang, J.-H., & Im, Y.-H. (2011). Stereotype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Korean Movie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15(2), 5-40.
  • Kang, J.-S. (2010). Blog use culture and technical imagination as a one-person media Focusing on Flusser’s Kommunikologie. Communication Theories, 18(3), 2-34.
  • Kang, J.-S. (2014). Toward a Changing of Media Education Paradigm: Suggestion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Media Affectus Competence”. Communication Theories, 10(3), 195-221.
  • Kang, J.-S. (2015). A Study Method on the Affectus Apparatuses and Subjectivation - Media Biography: Focusing on the Thinking of the Apparatuses and Subjectivation, Arrangement of Foucault, Agamben, and Deleuze. Communication Theories. 11(4), 4-37.
  • Kang, J.-S. (2016).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Dice in Communication and Media Education Research. Seoul: Now
  • Kang, J.-S. (2019). New Media thought and Culture. Seoul: Now.
  • Kim, E. J. (2016). Visual technology and body image as organs without body. Korean Association Of Feminist Philosophers, 25, 137-164. [https://doi.org/10.17316/kfp.25..201605.137]
  • Kim, J., & Kim, B.-Y. (2018). Personal Media as Cultural Intermediaries, YouTube ChannelKorean Englishma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6), 50-62.
  • Kim, M.-G. (2019).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nti-Stigma Efforts Using Independent Film Making.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50(1), 5-34. [https://doi.org/10.17790/kors.2019.12.71.5]
  • Lee, C.-W. (2011). Sign and affect in the thought of Deleuze. Semiotic Studies. 29, 375-377.
  • Lee, C.-W. (2020). Deleuze, The Reason of the Monster. Seoul: LeeHaksa.
  • Lee, D. W. (2021, February 14). [Exclusive] 1 YouTuber per 529 people...“The world's No. 1 YouTube Republic”. Moneytoday, URL: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21311274021985
  • Lee, H. I. (2020, September 11). “A disabled person who was trapped at home comes out of the world through YouTube”. HanKooklibo, URL: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90622060005527
  • Lee, J. W. (2019, September 11). [Interview: YouTube creator] Dotfact, Rollaragorenim and Sunasoo's "minority". news2day. URL: http://www.news2day.co.kr/119165
  • Lee, J.-W. (1998). Deleuze and the ontology of events. The Times and Philosophy. Volume 9, No. 1. 139-167.
  • Lee, J.-W. (2011). Philosophy of Events. Seoul: Greenbee.
  • Lee, Y. H. (2021). A study on the effects of disability broadcasting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Communication Theories, 17(3), 60-111. [https://doi.org/10.20879/ct.2021.17.3.060]
  • Lee, Y. H., Choi, Y. M., Jin, S. H., & Cho, Y. H. (2021). OTT Era, A Study on Broadcasting Access Rights for Disabled People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Non-RealꠓTime Broadcasting Service Usage Behavior of the Visual and Hearing Impaired.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38-83.
  • Lim, O. H., & Cho, W. I. (2018). Views for Disabilities in You Tube Videos on Developmental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12(3), 87-107.
  • Mamoru, I. (2013). The power of emotions Resonates with the media. Tokyo: Serika Shobo.
  • Massumi, B. (2015). Politics of Affect. Cambridge: Polit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20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trieved 19/03/20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53625
  • Noh, Y., & Ryoo, W. (2020). The spread of nationalism in the online space represented in YouTube - Focused on ’foreigner reaction’ contents. The Journal of Image and Cultural Contents, 20, 7-38. [https://doi.org/10.24174/jicc.2020.06.20.7]
  • Nussbaum, M. C. (2011). Creating Capabilities: The Human Development Approach. Massachusetts: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4159/harvard.9780674061200]
  • Oh, C.-H. (2014). A Study of Communication Function of Broadcast Journalism on the Basis of G. Deleuzes Language Theory From the Fact Paradigm to the Event Paradigm. Locality & Communication, 18(2), 89-124.
  • Oh, S., & Kim, H. (2021). Mobility and depression among wheelchair user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discrimination.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52, 135-163.
  • Park, J. P. (2021, March 3). Discussions with "Good Creators" about desirable internet broadcasting. news1, URL:https://www.news1.kr/articles/4229241
  • Park, J.-S., & Kim, Y.-C. (2020). Visually Impaired Facebook Users: In-depth interview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4(6), 43-76. [https://doi.org/10.20879/kjjcs.2020.64.6.002]
  • Park, S. (2020). Disability Discourse and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Children’s Literature. Korea Association of Literature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26, 143-171. [https://doi.org/10.24993/JKLCY.2020.06.26.143]
  • Seo, J.-W. (2019). Reading Spinoza's Ethics. Seoul: Sechang Media.
  • Shim, Y.-E. (2014). Disabled Literature on the Other. Journal of Demorcry and Human Rights, 14(2), 89-222.
  • Shin, J. S. (2019, June 18). Billie Eilish. Is there anyone else? YouTubers with disabilities and prejudices. topdaily. URL: http://www.top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57574&replyAll=&reply_sc_order_by=C
  • Simondon, G. (1958). Du mode d'existence des objets techniques. Paris: Aubier Montaigne.
  • Spinoza, B. (1990). Ethica. Kang, Y.-G. (trans.) (2007). ETHICS.. Paju: Seogwangsa.
  • Spinoza, B. (1975). Ethica. Hwang, T.-Y. (trans.). (2014). ETHICS. Jeonju: Bihong Publishing House.
  •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London: New Delhi
  • Sung, K.-H. (2019). The aesthetics of Deleuze. Paju: Greenbee.
  • Yang, J. H., & Noh, S. J. (2012). Representation of the Disabled People in Human Documentary : Case Study of KBS In Gan Kuk Jang.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6(3), 371-415.
  • Yang, J. H., & Noh, S. J. (2013). The disabled reproduced by a documentary specializing in the disabled. The Joumal of Social Sciences, 32(1), 437-466.
  • Yon, H. S. (2015). The logic of affect and virtuality of resonance in Deleuze. Epoch and Philosophy, 26(6), 187-217.
  • Yoo, S., Lee, Y., & Yu, H. (2018). Research on Creators Motivation to Select MCN and Dissatisfaction Factor as a Content Creato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8), 62-72.
  • Yun, H., & Cho, E. (2020). The Experience of Youtuber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Reinterpretation of disability, 1(1), 3-55.

Appendix

부록. 참고문헌

  • 강주현ㆍ임영호 (2011). 한국 영화에 나타난 장애인의 스테레오타입.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15권 2호, 5-40.
  • 강진숙 (2010). 1인 미디어로서의블로그 이용문화와 기술적 상상. <언론과 사회>, 18권 3호, 2-34.
  • 강진숙 (2014). 미디어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시론.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3호, 195-221.
  • 강진숙 (2015). 정동의 장치와 주체화 연구방법-미디어 비오그라피. <커뮤니케이션 이론>, 11권 4호, 4-37.
  • 강진숙 (2016). <질적 연구 방법론: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연구의 주사위>. 서울: 지금.
  • 강진숙 (2019). <뉴미디어 사상과 문화>. 서울: 지금.
  • 강진숙ㆍ김동명 (2019). 장애인 관련 영상제작자 및 활동가들의 ‘소수자-되기’에 대한 미디어비오그라피 연구. <한국언론학보>, 63권 1호, 286-324.
  • 김문근 (2019). 영화제작을 통한 정신장애인 편견 개선 사례연구. <사회복지연구>, 50권 1호, 5-34.
  • 김은주 (2016). 시각 기술의 권력과 신체 없는 기관으로서의 신체 이미지. <한국여성철학>, 25권, 137-164.
  • 김정현ㆍ김보영 (2018). 디지털 문화매개자로서 1인 미디어, 유튜브 채널 영국남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권 6호, 50-62.
  • 노영은ㆍ류웅재 (2020). 유튜브 콘텐츠에 재현된 온라인 공간에서의 민족주의-‘외국인 리액션’ 콘텐츠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권, 7-38.
  • 박성애 (2020). 아동서사문학의 장애담론과 소통 가능성.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6권, 143-171.
  • 박정숙ㆍ김용찬 (2020). 시각장애인의 페이스북 이용 : 심층인터뷰 연구. <한국언론학보>, 64권 6호, 43-76.
  • 박주평 (2021, 03, 03) ‘‘‘착한 크리에이터’들과 바람직한 인터넷 방송에 대한 논의”. <news1>. URL:https://www.news1.kr/articles/4229241
  • 보건복지부 (2020). 2020년 장애등록심사 관련 법령 및 규정집. Retrieved 19/03/20 from https://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53625
  • 서정욱 (2019). <스피노자의 윤리학 읽기>. 서울: 세창미디어.
  • 성기현 (2019). <들뢰즈의 미학>. 파주: 그린비.
  • 신진섭 (2019, 6, 18). “‘빌리 아일리쉬’따로 있나, 장애·편견 개성으로 만든 유튜버들. <topdaily>. URL: http://www.top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57574&replyAll=&reply_sc_order_by=C
  • 심영의 (2014). 타자(the Other)로서의 장애인 문학. <민주주의와 인권>, 14권 2호, 189-222.
  • 양정혜ㆍ노수진 (2012). 휴먼 다큐멘터리가 재현하는 장애인. <한국방송학보>, 26권 3호, 371-415.
  • 양정혜ㆍ노수진 (2013). 장애인 전문 다큐멘터리가 재현하는 장애인. <한국사회과학연구>, 32권 1호, 437-466.
  • 연효숙 (2015). 들뢰즈에서 정동의 논리와 공명의 잠재력. <시대와 철학>, 26권 6호, 187-217.
  • 오성은ㆍ김한성 (2021).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이동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복지학>, 52권, 135-163.
  • 오창호 (2014). 들뢰즈(G. Deleuze)의 언어이론으로 본 방송저널리즘의 소통기능에 대한 고찰.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18권 2호, 89-124.
  • 유수정ㆍ이영주ㆍ유홍식 (2018).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MCN 선택 동기와 창작자로서 불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권 8호, 62-72.
  • 윤형ㆍ조은총 (2020). 장애인 유튜버의 미디어 생산 경험에 관한 연구. <장애의 재해석>, 1권 1호, 3-55.
  • 이동우 (2021, 2, 14). “[단독]국민 529명당 1명이 유튜버⋯세계 1위 ‘유튜브 공화국’ ”. <머니투데이>, URL: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21311274021985
  • 이영희 (2021). 장애인방송 공익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이론>, 17권 3호, 60-111.
  • 이영희ㆍ최영묵ㆍ진승현ㆍ조용하 (2021). OTT시대,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에 관한 연구 : 시·청각 장애인의 비실시간 방송서비스 이용 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38-83.
  • 이정우 (1998). 들뢰즈와 사건의 존재론. <시대와 철학>, 9권 1호. 139-167.
  • 이정우 (2011). <사건의 철학>. 서울: 그린비.
  • 이지우 (2019, 01, 23). ‘[창직 인터뷰:유튜브 크리에이터]⑫ 닷페이스, 굴러라구르님 그리고 수낫수가 논하는 ‘소수자’. <news2day>, URL: http://www.news2day.co.kr/119165
  • 이찬웅 (2011). 들뢰즈의 기호와 정서. <기호학 연구>, 29권, 375-377.
  • 이찬웅 (2020). <들뢰즈, 괴물의 사유>. 서울: 이학사.
  • 이혜인 (2020, 09, 11). “집에 갇혀 있던 장애인, 유튜브 통해 세상 밖으로 나오다”. <한국일보>, URL: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090622060005527
  • 임옥희ㆍ조원일 (2018). 유튜브의 발달장애 관련 영상에 나타난 장애관.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2권 3호, 87-107.
  • 장애인복지법 (2021. 12. 21.). URL: https://www.lawnb.com/Info/ContentView?sid=L000000187
  • 장세영 (2019). 들뢰즈의 생성론에 근거한 영화 속 슈퍼히어로 변신의 가상성. <한국일러스트학회>, 22권 1호, 78-86.
  • 전지영 (2021). 장애예술과 장애인예술의 개념 논의. <한국예술연구>, 32호, 195-215.
  • 전지혜 (2013). 장애 정체감·자부심, 그리고 장애문화의 가능성의 탐색. 조한진(편), <한국에서 장애학하기> (175-205). 서울: 학지사.
  • 정보라ㆍ김성철 (2013). 뮤직비디오 패러디 제작 및 공유에 대한 유튜브 이용자들의 지속적인 행동의도와 그 영향요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0권 4호, 131-167.
  • 조예진ㆍ현명호 (2021). 장애인의 자존감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장애수용도의 매개효과. <장애와 고용>, 31권 4호, 5-22.
  • 조현지 (2019, 08, 01). “[같이의 가치‘ 1인 미디어 시대, 세상과 소통하는 장애인 유튜버”. <YTN라디오 뉴스>, URL: https://www.ytn.co.kr/_ln/0103_201908011419473936
  • 최현경ㆍ강진숙 (2020). 20대의 미디어 여성 이미지 재현에 대한 인식과 ‘여성-되기’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34권 2호, 140-176.
  • Bourdieu, P. (2001). Langage et Pouvoir Symbolique. Paris: Seuil. 김현경(역). <언어와 상징권력>. 파주: 나남.
  • Creswell, J. W., & Poth, C. N. (201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4nd ed). 조흥식ㆍ정선욱ㆍ김진숙(옮). (2010). <질적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 Deleuze, G. (1969). Spinoza et le probleme de l'expression.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현영종ㆍ권순모(공역) (2019). <스피노자와 표현 문제>, 서울: 그린비출판사
  • Deleuze, G. (1978). Lecture transcripts on Spinoza’s concept of affect. 서창현·김상운·자율평론번역모임(편역) (2005). 정동이란 무엇인가?. <비물질노동과 다중>. 서울: 갈무리.
  • Deleuze, G. (1981). Spinoza-philosophie pratique. 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박기순 (역). (1999). <스피노자의 철학>. 서울: 민음사.
  • Denzin, N. K. (1978). Research Act, 2nd ed. New york: McGraw-Hill.
  • Massumi, B. (2015). Politics of Affect. Cambridge: Polity. 조성훈(옮). (2018). <정동정치>. 서울: 갈무리.
  • Nussbaum, M. C. (2011). Creating Capabilities. Massachusetts: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한상현(역). (2015). <역량의 창조>. 파주: 돌베개.
  • Simondon, G. (1958). Du mode d’existence des objets techniques. 김재희 옮김 (2011).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서울: 그린비.
  • Spinoza, B. (1990). Ethica. 강영계(역). (2007). <에티카>. 파주: 서광사.
  • Spinoza, B. (1975). Ethica. 황태연(역). (2014). <에티카>. 전주: 비홍출판사.
  •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London: New Delhi.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역) (2000). <질적 사례 연구>. 서울: 창지사.
  • 伊藤守 (2013). 情動の權力 メディアと共振する身體 . 東京: せりか書房. 김미정(옮). (2016). <정동의 힘: 미디어와 공진하는 신체>. 서울: 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