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Articl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6, No. 6, pp.350-387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2
Received 12 Aug 2022 Revised 12 Nov 2022 Accepted 18 Nov 2022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22.66.6.010

텔레비전 드라마의 젠더 정치, 일상의 소재에서 판타지의 영역으로

정영희**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 연구원 yeongsol@hanmail.net
Gender Politics in Television Dramas: Daily Subjects to the Realm of Fantasy
Young-Hee Chung**
**Research Fellow, Research Institute for Information & Culture, Korea University yeongsol@hanmail.net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중반 이후 급부상한 텔레비전 판타지 드라마에서 기존의 젠더 전형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드라마 속 상상적 인물의 존재론적 특징과 인물 간의 관계 및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밝혀내었다. 분석 대상은 2010년부터 2022년 5월까지 텔레비전의 판타지 드라마 중 시청률이 높았던 드라마에서 선별하였다. 특히 ‘인물’ 판타지소를 활용한 드라마에 초점을 두었으며, 분석 대상으로 제1주인공 성별*인간형 여부*지상파 여부를 고려하여 총 8편의 드라마를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텍스트 분석을 사용하였는데, 특히 텍스트의 여러 구성 요소 중에서 주인공, 인물 간의 관계 및 역할에 분석 초점을 맞추었다. 그 이유는 드라마가 추구하는 궁극적 가치는 주인공을 통해 구현되며 가치의 충돌은 그와 대립된 인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되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일상성 기반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구현되고 비판받아온 젠더 전형이 판타지라는 이름으로 텔레비전 드라마의 상상적 캐릭터 속에 복제·재생산되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 신에 가까운 초월자의 경우, 고유영역 이탈 이유/최종 목적/새로운 환경 적응력/초능력 활용/정체가 탄로 났을 때의 상황 등이 성별로 서로 달랐다. 인간과 초월자의 중간자 경우, 존재론적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고난의 시작/삶의 목적/구원을 얻는 방식 등에서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인간 초능력자의 경우 여성은 공통적으로 귀엽고 유쾌하며 발랄한, 처세에 서툰 어린 여성 이미지를 가졌고, 남성 초능력자는 연령에 따라 여성과의 관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있었다. 이들 모두 초능력자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남성과 여성은 존재론적으로 인물 자체의 특징, 모험의 출발과 목적, 상황 통제력 등에서 서로 달랐기 때문에 로맨스 상대자와의 관계에서 수행하는 역할도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판타지적 인물에 대한 이러한 묘사는 대중문화에서 이성애적 로맨스를 표현할 때 활용되어 온 정형화된 젠더 이분법적 구분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과거에는 늑대인간, 구미호, 귀신·유령과 같은 비인간 존재를 타자화하며 억압해왔지만, 지금은 초월적 존재 혹은 인간과 비인간 생명체가 혼합·재배열되어 새로이 등장한 판타지적 인물을 통해 드라마 속 캐릭터를 확장시키며 이미 익숙해진 텔레비전 드라마의 서사에 약간의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그렇게 확장된 상상적 캐릭터는 인간에 관한 이야기 속에서 작동해온 편견과 불평등이 비실제, 실현 불가능성, 비일상이라는 면죄부를 가지고 드라마 속에 자연스럽게 숨어들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었다. 텔레비전의 판타지 드라마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특징은 지상파, 케이블·종편 간에 차이가 없었다. 흥미로운 것은 인간형 초능력자보다 신에 가까운 초월적인 존재에게서 기존의 젠더 전형이 더 부각되어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종합하여, 텔레비전 드라마의 젠더 정치는 인물의 일상성과 실제성에서, 즉 일상의 소재에서 판타지 영역으로 숨어들었다고 결론 내렸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the existing gender stereotypes are being used in television fantasy dramas. For the study,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imaginary characters in television fantasy dramas and the relationships and roles between characters were analyzed. The analysi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V fantasy dramas with high ratings from 2010 to 2022.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dramas using the ‘person’ fantasy story. Text analysi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he analys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nd roles between the main character and the characters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text. The reason is that the ultimate value pursued by the drama is realized through the hero or heroin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gender stereotype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and criticized in TV dramas based on daily life, are being reproduced in the imaginary characters of TV dramas under the name of fantasy. The reasons for leaving the domain, the ultimate goal, the capacity to adjust to a new environment, the use of superpowers, and the circumstances in which identity is disclosed varied by gender in the case of the transcendent who is close to God. In the case of the middleman between humans and the transcendent, despite the ontological similarities,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beginning of suffering, the purpose of life, and the way of obtaining salvation. In the case of human psychics, women had in common the image of a young woman who was cute, pleasant, lively, and clumsy, and male psychics had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women according to their age.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all psychic, men and women were ontologically distinct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he traits of the characters themselves, the beginning and goal of the adventure, and the ability to control the situation. As a result, the roles that each gender played in the romance partner relationship were also different. This fantasy character's portrayal can be understood as an example of the stereotypical gender binary that has been employed in popular culture to express heterosexual relationships. Previously repressed and marginalized, non-human creatures like werewolves, nine-tailed foxes, ghosts, and ghosts are increasingly growing the cast of characters in fantasy dramas. With the indulgence of the unreal, impractical, and non-routine, the expanded imaginary character created a space where prejudice and inequality that have been operating in human stories can naturally hide in the drama. It's interesting to note that, compared to humanoid superhumans, transcendent entities closer to God showed more pronounced gender preconceptions. It was determined that gender politics in television dramas served as a veil, drawing viewers' attention away from the characters' real lives and into the fantasy realm.

Keywords:

television fantasy drama, gender stereotype, text analysis, character analysis, feminism

키워드:

텔레비전 판타지 드라마, 젠더 전형, 텍스트 분석, 인물 분석, 여성주의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111878).

References

  • Baek, K. (2018a). A study on the type and meaning of fantasy in Korea television drama : Based on 2010s. Journal of Korean literacy criticism, 58, 215-257. [https://doi.org/10.35832/kmlc..58.201806.215]
  • Baek, K. (2018b). The male main characters with supernatural power and the expansion of melodrama characters - based on television-drama <Neoui Moksoriga Deulryeo> & <Byeoleseo On Geudae>.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61, 303-331. [https://doi.org/10.17938/tjkdat.2018..61.303]
  • Baek, S. (2014). The narrative strategies of departure from historicity and fantastic feactures in <Taewangsashingi>.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43, 301-331. [https://doi.org/10.17938/tjkdat.2014..43.301]
  • Baek, S. (2017). A study on the meaning of "Fantasy" on crime scene investigation drama of ocn - With a focus on 〈Cheo yong the ghost seeing detective〉 and 〈Vampire prosecutor〉.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55, 283-306. [https://doi.org/10.17938/tjkdat.2017..55.283]
  • Bog, G. (2002). World fantasy fiction dictionary. Seoul: Gimmyoung Pub.
  • Chang, E. (2020). A study on supernatural characters in TV Korean dramas : Focusing on fantasy dramas aired since 2010.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 Choi, J. (2018). A study on vampires in Korean fantasy dramas : Focusing on scholar who walks the night. Story & imagetelling, 16, 307-328.
  • Chung, J. (2014). The way gender relationship is represented in TV dramas: A study on the romance representation between older woman and younger man. Media, Gender & Culture, 29(4), 85-125.
  • Chung, Y.-H. (2009). Contemporary topology and historicity of Korean TV drama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1), 84-108.
  • Chung, Y.-H. (2019). A study on Korean television dramas after the Mid-2000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6(50), 220-251.
  • Chung, Y.-H. (2020). A study on motherhood fantasy in television damas: Analyzing a KBS2 drama, <When Camellia Bloom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4(4), 132-166. [https://doi.org/10.20879/kjjcs.2020.64.4.004]
  • Chung, Y.-H. & Jang, E.-M.(2015). Shaky gender, the changing world: Focusing on drama <Misaeng>. Media, Gender & Culture, 30(3), 153-184.
  • Hong, J. A. (2009). The symbolic boundaries of motherhood in TV drama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3(6), 284-323.
  • Hume, K. (1984). Fantasy and mimesis: Responses to reality in western literature. New York, NY: Methuen. [https://doi.org/10.2307/1771923]
  • Jackson, R. (1981). Fantasy :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London, UK: Methuen. [https://doi.org/10.4324/9780203130391]
  • JTBC (2017). Strong Woman DoBongSoon-Characters. Retrieved 7/1/22 from https://tv.jtbc.co.kr/cast/pr10010452
  • Kim, G.-W. (2018). A study on the mode of psychic motif appropriation in TV drama -Focusing on < neo ui mok so ri ga deul ryeo(I can hear your voice) >.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66, 101-135.
  • Kim, M. H. (2006). Female audiences' reading of the drama and their related everyday practice.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6(2), 76-112.
  • Kim, M. H., & Kim, H. S. (1996). Political connotation of women's image in Korean television drama.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38, 203-248.
  • Kim, S. H., & Han, J. M. (2001). Korean society and television dramas. Seoul: HanulMplus.
  • Ko, S.-H. (2016). The time and the view of history in the television genre drama <Signal>. Korean Language & Literature, 99, 187-209. [https://doi.org/10.21793/koreall.2016.99.187]
  • Kozloff, S. (1987). Narrative theory and television. In R. Allen (Ed.), Channels of discourse: Television and contemporary criticism (pp. 67-100). Chapel Hill, 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 Lee, H.-J. (2013). Typicality of female main characters appearing in the TV melodrama genre: From 1992 till 2012.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2), 604-6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604]
  • Lee, M. H. (2017). The Convergence Imagination and Fantasy of doggabi: The Lonely and Great God—With a Focus on Its doggabi Character.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 18(2), 295-315.
  • Lee, Y. J. (2017). A changing society, co-evolved television melodrama: Focusion on text analysis of fantasy melodrama <My Love from the Star>, <The Legend of the Blue Sea> and <Goblin(Guardian: the Lovely ang Great Go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 Nam, M. J. (1984). An analysis of Korean female images reflected in television dramas. Journal of broadcasting research, 9, 125-137.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n.d.). Woorimalsaem - Korean language created together and enjoyed by all. Retrieved 7/1/22 from https://open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focus_name=query&query=%ED%8C%90%ED%83%80%EC%A7%80
  • Park, J., & Won, Y. (2019). How fantasy becomes a television genr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genre formation process of fantasy drama. Journalism & Culture Institute, 27, 1-74.
  • Park, M. (2014). A study on the meaning of time-travel in the television drama. The Journal of Lang. & Lit., 59, 275-300. [https://doi.org/10.15565/jll.2014.09.59.275]
  • Park, N. (2014a). Fantasy in Korean television dramas-Focusing on mini-series since the 1990s.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35, 327-360.
  • Park, N. (2014b). Television drama and fantasy : Focusing on the concept and type of ‘Fantasy’,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47, 507-534. [https://doi.org/10.20881/skl.2014..47.014]
  • Park, N. (2018). An assay for research on cable channel-Original dramas focusing on OCN/tvN/JTBC.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51, 495-534.
  • SBS (2013a). I Can Hear Your Voice-Characters. Retrieved 7/1/22 from https://programs.sbs.co.kr/drama/yourvoice/cast/50276
  • SBS (2013b). My Love From the Star-Characters. Retrieved 7/1/22 from https://programs.sbs.co.kr/drama/lovefromstar/cast/52864
  • SBS (2015). A Girl Who Sees Smell-Characters Retrieved 7/1/22 from https://programs.sbs.co.kr/drama/smells/cast/53268
  • SBS (2016). The Legend of Blue Sea-Characters. Retrieved 7/1/22 from https://programs.sbs.co.kr/drama/bluesea/cast/51968
  • Sin, W. S. (2018). The eight painful reality and fantasy embodied in drama.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66, 79-110.
  • Song, Y. (1984). Roles and images of Korean women against TV dramas. Women's studies review, 1, 56-91.
  • Todorov, T. (1970). Introduction à la littérature fantastique. Paris, France: Éditions du Seuil.
  • Tolkien, J. R. R. (1974). The Tolkien reader. New York, NY: Ballantine.
  • tvN (2016a). Another Miss Oh-Characters. Retrieved 7/1/22 from http://program.tving.com/tvn/againoh/9/Contents/Html
  • tvN (2016b). Guardian: The Lonely and Great God-Characters. Retrieved 7/1/22 from http://program.tving.com/tvn/dokebi/11/Contents/Html
  • tvN (2019). Hotel Del Luna-Characters. Retrieved 7/1/22 from http://program.tving.com/tvn/hoteldelluna/12/Contents/Html

Appendix

부록

  • 고선희 (2016). 텔레비전 장르드라마 <시그널>의 시간과 역사관. <韓國言語文學>, 제99집, 187-209.
  • 국립국어원 (n.d.). 우리말샘-함께 만들고 모두 누리는 우리말. https://open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focus_name=query&query=%ED%8C%90%ED%83%80%EC%A7%80
  • 김강원 (2018). 판타지 드라마 <너의 목소리가 들려>의 장르 혼종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 제66집, 101-135.
  • 김명혜 (2006).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여성 수용자의 해독과 일상적 실천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6권 제2호, 76-112.
  • 김명혜‧김훈순 (1996). 여성 이미지의 정치적 함의: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38호, 203-248.
  • 김승현‧한진만 (2001). <한국 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서울: 한울 아카데미.
  • 남명자 (1984). 텔레비전 드라마에 비친 한국 女性像에 관한 분석. <방송연구>, 9호, 125-137.
  • 박노현 (2014a).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환상성: 1990년대 이후의 미니시리즈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35집, 327-360.
  • 박노현 (2014b). 텔레비전 드라마와 환상(성): ‘환상적인 것’의 개념과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제47집, 507-534.
  • 박노현 (2018). 케이블 채널 오리지널 드라마 연구를 위한 試論: OCN/tvN/JTBC를 중심으로. <한국학 연구>, 51집, 495-534.
  • 박명진 (2014). 텔레비전 드라마 <나인>에 나타난 시간 여행의 의미 연구. <語文論集>, 제59집, 275-300.
  • 박정아‧원용진 (2019). 판타지는 어떻게 텔레비전 장르가 되었나: 판타지 드라마의 장르 형성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언론문화연구>, 제27집, 1-74.
  • 백경선 (2018a). 한국 텔레비전드라마에 나타난 판타지의 유형과 의의 : 201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58집, 215-257.
  • 백경선 (2018b). 초능력자 남성 주인공과 멜로드라마 캐릭터의 확장 : 텔레비전드라마 <너의 목소리가 들려>와 <별에서 온 그대>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61집, 303-331.
  • 백소연 (2014). TV드라마 <태왕사신기>에 나타난 역사성 배제와 판타지 구축의 전략. <한국극예술연구>, 제43집, 301-331.
  • 백소연 (2017). OCN 수사드라마에 나타난 ‘환상’의 의미 : <뱀파이어 검사>와 <귀신 보는 형사 처용>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55집, 283-306.
  • 복거일 (2002). <세계환상소설사전>. 서울: 김영사.
  • 송유재 (1984). 텔리비젼 드라마에 反映된 韓國女性의 役割 및 이미지硏究. <여성학논집>, 1, 56-91.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신원선 (2018). 드라마 <도깨비>에 구현된 8고의 현실과 판타지. <한국학연구>, 66집, 79-110.
  • 이명현 (2017). 드라마 <도깨비>의 융합적 상상력과 판타지 : 도깨비 캐릭터를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제18권 2호, 295-315.
  • 이예지 (2017). <변동하는 사회, 공진화하는 텔레비전 멜로드라마: 판타지 멜로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푸른바다의 전설> <쓸쓸하고 찬란하神-도깨비>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이화정 (2013). 멜로장르 TV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주인공의 전형성(1992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604-613.
  • 장은진 (2020). <한국 TV 드라마의 신이(神異) 캐릭터 연구 - 201년 이후 방영된 드라마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정영희 (2009).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한국언론학보>, 53권 1호, 84-108.
  • 정영희 (2019).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 지상파, 케이블․종편의 장르 및 소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6권 5호, 220-251.
  • 정영희 (2020). 텔레비전 드라마 속 모성 판타지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한국언론학보>, 64권 4호, 132-166.
  • 정영희‧장은미 (2015). 흔들리는 젠더, 변화 중인 세상: 드라마 <미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30권 3호, 153-184.
  • 정지은 (2014). TV 드라마의 젠더 관계 재현 방식: 연상녀연하남 커플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29권 4호, 85-125.
  • 최지운 (2018). 한국 판타지드라마 속 흡혈귀 연구 : <밤을 걷는 선비>를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제16집, 307-328.
  • 홍지아 (2009). TV드라마에 나타난 모성재현의 서사전략과 상징적 경계의 구축. <한국방송학보>, 23권 6호, 284-323.
  • Hume, K. (1984). Fantasy and mimesis: Responses to Reality in Western Literature. Methuen. 한창엽(역)(2000). <환상과 미메시스>. 푸른나무.
  • Jackson, R. (1981). Fantasy :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서강여성문학연구회(역)(2001). <환상성: 전복의 문학>. 서울: 문학동.
  • Kozloff, S. (1987). Narrative theory and television. In R. Allen (Ed.), Channels of discourse: Television and contemporary criticism (pp. 67-100). Chapel Hill, 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김훈순(역)(1992).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서울: 나남.
  • JTBC (2017). 힘쎈여자 도봉순 - 등장인물. https://tv.jtbc.co.kr/cast/pr10010452
  • SBS (2013a). 너의 목소리가 들려-등장인물. https://programs.sbs.co.kr/drama/yourvoice/cast/50276
  • SBS (2013b). 별에서 온 그대-등장인물. https://programs.sbs.co.kr/drama/lovefromstar/cast/52864
  • SBS (2015). 냄새를 보는 소녀-등장인물. https://programs.sbs.co.kr/drama/smells/cast/53268
  • SBS (2016). 푸른 바다의 전설-등장인물. https://programs.sbs.co.kr/drama/bluesea/cast/51968
  • tvN (2016a). 또 오해영-인물 소개. http://program.tving.com/tvn/againoh/9/Contents/Html
  • tvN (2016b). 쓸쓸하고 찬란하神 도깨비-인물 소개. http://program.tving.com/tvn/dokebi/11/Contents/Html
  • tvN (2019). 호텔 델루나-인물 소개. http://program.tving.com/tvn/hoteldelluna/12/Content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