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과 지역혐오 : 네이버범죄뉴스의지역혐오댓글에대한내용분석
초록
특정 지역에 대한 혐오표현이 온라인에 난무하고 있다. 이에 포털사이트 범죄뉴스에서 지역혐오댓글의 비율을 파악하고, 표적지역은 어디인지를 고찰했다. 아울러 지역혐오댓글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유형분포가표적지역에따라어떤차이를보이는지도살폈다. 2017년네이버뉴스에 게재된 기사 중에서 범죄기사 687개를 추출하고 거기에 달린 전체 댓글 20,419개를 내용분석했다. 그 결과, 지역혐오댓글은 850개, 전체의 4.16%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 중 64.4%는전라도지역을 대상으로한것이었다. 지역혐오댓글의유형으로는, 해당 지역이나지역민을 대상으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언급하는 유형(스테레오타이핑)이 많았다. 이어 단순히 지역명만거론하며 부정적뉘앙스를 전달하는유형(지역단순명기), 사투리흉내 비아냥 반어법등을 동원해 해당 지역을 조롱하는 유형(조롱하기), 해당 지역을 뭔가 다른 곳으로 취급하는 유형(분리하기), 해당 지역이나 지역민에 고유한 이름을 붙이는 유형(라벨링)이 뒤를 이었다. 전라도 지역에 대한 혐오댓글의 경우 지역단순명기와 조롱하기 유형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차지했다. 분석결과를토대로이번연구의의의와한계를논했다.
Abstract
Online hate speech toward specific regions is getting prevalent in Korea.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d the proportion of hate speech comments posted to crime news stories in portal sites and inspected the target regions of the hate speech comments. Additionally, this study categorized the hate speech comments to explore what categories were dominant according to target regions. Among all the crime news reports appearing in Naver in 2017, 687 were extracted and 20,419 comments posted to the reports were all content analyzed. The data showed that the number of hate speech comments was 850, representing 4.16% of the entire comments analyzed. The most serious target region was Jeolla-do, with 64.4% of the hate speech comments being toward that region. In terms of the hate speech types, stereotyping the individuals in the target regions was most frequent, followed by simple writing down of target regions’ names, mocking the target regions, separating the target regions from other regions, and labeling the target regions or the individuals. For hate speech comments towards Jeolla-do, though, two types were relatively prevalent, such as simple writing down of the region’s name and mocking the region. Consequentl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Keywords:
Portal News, Comments, Hate Speech, Regions, Content Analysis키워드:
포털뉴스, 댓글, 혐오표현, 지역, 내용분석Acknowledgments
이논문은2017년대한민국교육부와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NRF-2017S1A5A2A01025246)
이논문은2018학년도경성대학교학술연구비지원에의하여연구되었음
References
- 강재원·김선자(2012). 인터넷뉴스기사에달린댓글의효과연구:이슈의관여도와의견의일치성여부를 고려해서. <한국언론학보>, 56권2호, 143-166.
- 경찰청(2016). 경찰범죄통계. http://www.police.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197
- 김민정(2014). 일베식“욕”의법적규제에대하여. <언론과법>, 13권2호, 131-163.
- 김병철(2004). 인터넷신문댓글의상호작용적특성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4호, 147-180.
- 김수아(2015). 온라인상의여성혐오표현. <페미니즘연구>, 15권2호, 279-317.
- 김용석·김창덕(2009, 1, 15). 10개중4개는기사주제와관계없는엉뚱댓글. <동아일보>, 4면.
- 김은미·선유화 (2006). 댓글에 대한 노출이 뉴스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50권 4호, 33-64.
- 김종구(2017, 2, 21). 혐오표현. <한겨레신문>.
- 김현경·박보람·박승환(2012). 성소수자에대한혐오표현, 그옹호의논리를넘어서: 표현의자유론비판과시민권의재구성. <공익과인권>, 12호, 215-249.
- 노재철·고준기(2016). hate-speech 등인종주의적혐오표현에대한법적규제의동향과시사점. <법학논총>, 40권3호, 3-31.
- 박용숙(2018). 혐오표현에대한규제방법의모색을위한시론적연구. <법학논총>, 38권2호, 27-64.
- 박지원(2016). 혐오표현의제재입법에관한소고: 주요국입법례와시사점을중심으로. <미국헌법연구>, 27권3호, 103-136.
- 박창호(2012). 인터넷댓글과폭력성. <사회이론>, 42호, 93-122.
- 박해영(2015). 혐오표현(Hate Speech)에관한헌법적고찰. <공법학연구>, 16권3호, 137-169.
- 양혜승(2008). 인터넷뉴스댓글의견해와품질이독자들의이슈에대한태도에미치는영향. <한국언론학보>, 52권2호, 254-281.
- 양혜승(2018). 지역혐오와포털뉴스: 네이버뉴스범죄보도비율의지역간차이분석. <지역과커뮤니케이션>, 22권2호, 73-101.
- 여은호·박경우 (2011). 인터넷 뉴스 댓글이 독자의 기사 인식에 미치는 인지적 영향: 접근성(accessibility)과적용성(applicability)을중심으로. <언론학연구>, 15권2호, 237-259.
- 오미영(2009). 혼혈인에대한낙인연구: 혼혈인에대한낙인에영향을미치는요인과낙인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1권2호, 215-246.
- 윤하나·김상호 (2018). 욕망을 추동하는 커뮤니케이션의 거리와 혐오의 일상화. <언론과 사회>, 26권 1호, 5-33.
- 이승현(2016). 여성혐오적표현과표현의자유의한계. 이화젠더법학, 8(2), 1-34.
- 이은주(2011). 지각된편향인가편향된지각인가? 댓글의내용, 여론에대한인식과이슈관여도에따른 기사의논조지각. <한국언론학보>, 55권3호, 179-198.
- 이은주·장윤재(2009). 인터넷뉴스댓글이여론및기사의사회적영향력에대한지각과수용자의의견에미치는효과. <한국언론학보>, 53권4호, 50-71.
- 이정념(2016). 온라인혐오발언과의사표현의자유: 유럽인권재판소의최근판결을중심으로. 저스티스, 37-56.
- 이정복(2013). 사회적소통망(SNS)의지역차별표현. <어문학>, 120집, 55-83.
- 이종일(2017). 사례분석을통한한국혐오스피치의특징. <사회과교육연구>, 24권4호, 51-73.
- 이주영(2015). 혐오표현에대한국제인권법적고찰: 증오선동을중심으로. <국제법학회논총>, 60권3호, 195-227.
- 임인숙·김민주(2012). 한국다이어트서바이벌프로의비만낙인재생산: ‘빅토리’와‘다이어트워’를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8권4호, 1-38.
- 장소연(2017). <인터넷커뮤니티사이트와혐오의문화정치>. 한양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 한국언론진흥재단(2017). <디지털뉴스리포트2017한국>. http://www.kpf.or.kr/site/kpf/research/selectMediaPdsView.do?seq=574323
- 한국언론진흥재단(2018). 포털뉴스서비스및댓글에대한인터넷이용자인식조사. (미디어이슈4권5호). http://www.kpf.or.kr/site/kpf/research/selectMediaPdsView.do?seq=574592
- 한기덕(2017, 12월). <이주민혐오표현(hate speech)에대한연구: 외국인노동자와조선족뉴스댓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정기사회학대회논문집. 서울: 서울대학교.
- 한희정(2016). 이주여성에관한혐오감정연구: 다음사이트‘아고라’ 담론을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75호, 43-79.
- 홍성수(2015). 혐오표현의규제: 표현의자유와소수자보호를위한규제대안의모색. <법과사회>, 50호, 287-336.
- 홍성수·김정혜·노진석·류민희·이승현·이주영·조승미 (2016). <혐오표현 실태조사 및 규제방안 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 Balsam, K. F., & Mohr, J. J. (2007). Adaptation to sexual orientation stigma: A comparison of bisexual and lesbian/gay adul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3), 306-319. [https://doi.org/10.1037/0022-0167.54.3.306]
- Cahill, S. E., & Eggleston, R. (1995). Reconsidering the stigma of physical disability: Wheelchair use and public kindness. Sociological Quarterly, 36(4), 681-698. [https://doi.org/10.1111/j.1533-8525.1995.tb00460.x]
- Corrigan, P. (2004). How stigma interferes with mental health care. American Psychologist, 59(7), 614-625. [https://doi.org/10.1037/0003-066X.59.7.614]
-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 117-140. [https://doi.org/10.1177/001872675400700202]
- Goffman, E. (1963).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Herek, G. M., Gillis, J. R., & Cogan, J. C. (2009). Internalized stigma among sexual minority adults: Insights from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6(1), 32-43. [https://doi.org/10.1037/a0014672]
- Link, B. G., & Phelan, J. C. (2001). Conceptualizing stigma. Annual Review of Sociology, 27(1), 363-385. [https://doi.org/10.1146/annurev.soc.27.1.363]
- Link, B. G., Struening, E. L., Neese-Todd, S., Asmussen, S., & Phelan, J. C. (2001). Stigma as a barrier to recovery: The consequences of stigma for the self-esteem of people withmental illnesses. Psychiatric Services, 52(12), 1621-1626. [https://doi.org/10.1176/appi.ps.52.12.1621]
- Puhl, R. M., & Heuer, C. A. (2009). The stigma of obesity: A review and update. Obesity, 17(5), 941-964. [https://doi.org/10.1038/oby.2008.636]
- Wimmer, R. D., & Dominick, J. R. (1997). Mass media research: An introduction (5th ed.). Belmont, CA: Wadsw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