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KSJCS)
[ PR Advertisement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2, No. 6, pp.197-215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15 Jun 2018 Revised 16 Nov 2018 Accepted 29 Nov 2018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8.62.6.007

중국 유학생들의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앱(APP)의 이용과 그들의 중국적 그리고 한국적 사회화

문성준** ; 우분*** ; 서탁****
**인하대학교언론정보학과교수, 주저자및교신저자 maclean97@hanmail.net
***인하대학교언론정보학과대학원생 newben521@naver.com
****인하대학교언론정보학과대학원생 alazhuo@qq.com
The Chinese students’ usage of APP installed at the smart phone, and their Chinese and Korean socialization
Seung-jun Moon** ; Bun Woo*** ; Xu Zhuo****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ha University maclean97@hanmail.net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ha University newben521@naver.com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ha University alazhuo@qq.com

초록

스마트폰은 통화라는 소통적 기능성과 인터넷이 가능한 기능성 때문에 많은 젊은 세대들이 필수적으로 소유를 하고 있다. 이 논문은 국내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스마트폰에 설치된앱(APP)의 사용이 그들의 사회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번역 및 역번역방법(A translation & back-translation method)을 통해 설문지간의 내용적 등가성을 분석한 후 중국어 설문지와 한국어 설문지를 만든 후 서베이를 실시했다. 다양한 가외변인들이 종속변인인 중국 유학생들의 사회화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위계적 회귀 방법을 실시했다. 가설 검증의 결과로, 중국 유학생들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중국 앱의 이용은 중국적 사회화를 유지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한국적 사회화를 방해하지는 않았다. 또한 중국 유학생들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한국 앱의 이용은 중국인 유학생들의 중국적 사회화를 방해 하였으며, 한국적사회화를촉진시키는것으로밝혀졌다.

Abstract

Recently, the smart phone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product among young genera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he Chinese students’ usage of APP installed at the smart phone affected on their socialization. Using by a translation and back translation method, two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 like Korean and Chinese questionnaires were made. In order to prevent from the effects of artifact, a hieratical regression method was used. Finally, it was found out that the usage of smart phone with the Chinese AP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ir Chinese socialization but was not significant with Korean socialization.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 usage of the smart phone, especially, the Korean AP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ir Chinese socialization negatively and was significant with Korean socialization positively.

Keywords:

Chinese students, socialization, smart phone

키워드:

중국인유학생, 사회화, 스마트폰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구예원·박인권(2015). 이주자의사회적자본인지와지역사회적응의관계. <도시행정학보>, 28권4호, 53-76.
  • 김성수·이상경·안효자(2011). 자발화표본분석을통한필리핀결혼여성이민자의한국어어휘, 구문특성. <특수교육저널: 이론과실천>, 12권1호, 69-88.
  • 김진영(2003). 미디어의존이론연구. <언론과학연구>, 3권2호, 119-154.
  • 김춘화·유홍녕·이상수 (2015).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이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6권1호, 23-41.
  • 김혜영(2015). 다문화사회의언어환경과민족정체성의관계: 다문화소설을중심으로. <독서연구>, 36권(단일호), 119-147.
  • 리첸첸·오인수·이수경 (2016).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기본심리욕구 및 대학생활적응의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7권1호, 101-120.
  • 맹주억·노옥화(2015). 한중문화간의사소통을위한중국사회문화요소연구-중국초등학교의무교과과정품덕여생활(品德與生活)를중심으로. <중국언어연구>, 60권, 397-420.
  • 박정의·성지연 (2012) 재미한인의 문화변용전략과미디어 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12호, 479-488.
  • 선봉규(2014). 한민족디아스포라의문화변용연구: 중국조선족과재일코리안을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56권, 329-357.
  • 성시일(2013). 중국유학생의한국유학기간중만족도에영향을주는요인의변화분석. <중국과중국학>, 18권, 73-97.
  • 심귀보·김지윤·이동욱(2004). 게임이론에기반한공진화알고리즘.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14권3호, 253-261.
  • 안수근 (2006). 뉴질랜드 거주 교민의 한국어 매체 이용 및 문화적응 요인. <언론과학연구>, 6권 4호, 203-242.
  • 양만기. (2013). 중국인유학생유치현황및확대방안. <중국인문과학>, 54권, 439-472.
  • 오대영(2013). 여성결혼이민자의미디어이용량에영향을미치는요인연구. <방송과커뮤니케이션>, 14권2호, 119-156.
  • 이예슬·김은하 (2015).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에 따른 군집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관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권3호, 295-316.
  • 이홍직(2011). 재한중국인유학생의문화적응스트레스결정요인. <스트레스연구>, 19권2호, 183-194.
  • 이효성(2003). 전통뉴스매체와뉴스웹이용이이민자들의주류정치사회화에미치는매개적역할. <한국언론정보학보>, 211-247.
  • 이유인(2014). 한국어학습자의비언어적의사소통교육을위한한류드라마활용방안. 상명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지현·진수진·주현정·조연실(2013). 결혼이주여성의한국어능력,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부부 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권 1호, 87-98.
  • 임지혜·최정화(2009). 미디어이용실태와문화적응에관한연구. <교육문화연구>, 15권2호, 183-206.
  • 정유선 (2014).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실태 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34권, 447-466.
  • 정윤경(2012). 재한이주노동자의미디어이용과태도에관한연구. <한국방송학보> 26권4호, 310-343.
  • 정의철(2013). 다문화·미디어교육활성화방안연구. <다문화사회연구>, 6권2호, 5-37.
  • 정지에(2010). 문화소비가중국인과한국인의문화동화에미치는영향: “한풍” “한류” 현상을중심으로.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진민진·배성만·현명호(2011). 중국인유학생의지각된차별감, 대처양식, 사회적지지가우울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권4호, 783-797.
  • 최혜영(2015). 다문화가정과일반가정유아와아동을대상으로한다문화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권3호, 1-16.
  • 차희원·조은영·백상기(2013). 공중외교적관점에서본재외동포의모국미디어이용과모국명성의관계. <한국언론학보>, 57권3호, 189-220.
  • 황상재·홍성현(2012). 북한이탈주민의온라인·오프라인뉴스미디어이용과정치사회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권4호, 351-410.
  • Ball-Rokeach, S. J.(1985).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 system dependency: A sociological framework. Communication Research, 12, 485∼510. [https://doi.org/10.1177/009365085012004003]
  • Bathory, P. & McWilliams, W. (1977). Political theory and the people’s right to know. In I. Calnoor (Ed.), Government secrecy in democracy, (pp.3~21). New York, NY: Praeger.
  • Berry, J. W., Berry, J. W., Poortinga, Y. H., Segall, M. H., & Dasen, P. R. (2002). Cross-cultural psychology: Research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pp.5-68. [https://doi.org/10.1111/j.1464-0597.1997.tb01087.x]
  • Chuang, S. F.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values and learning preference: the impact of acculturation experiences upon East Asians.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16(1), 1-22. [https://doi.org/10.1111/j.1468-2419.2011.00391.x]
  • Chudek, M., Cheung, B., & Heine, S. (2015). US Immigrants’ Patterns of Acculturation are Sensitive to Their Age, Language, and Cultural Contact but ShowNo Evidence of a SensitiveWindow for Acculturation. Journal of Cognition and Culture, 15(1-2), 174–190. [https://doi.org/10.1163/15685373-12342145]
  • Shoemaker, P. J., Danielian, L H. & Brendlinger, N. (1991). Deviant acts, risky business, and U.S. interest: The newsworthiness of world events, JournalismQuarterly, 68(4), 781-796. [https://doi.org/10.1177/107769909106800419]
  • Vigers, D. & Tunger, V. (2010). Migration in contested linguistic spaces: The challenge for language policies in Switzerland and Wales. European Journal of Language Policy, 2(2), 181-203. [https://doi.org/10.3828/ejlp.20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