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Journalism Communication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2, No. 5, pp.136-172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8
Received 18 Jun 2018 Revised 01 Oct 2018 Accepted 05 Oct 2018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8.62.5.005

베트남 이주여성의 공동체 미디어 참여가 문화적 시민권 구축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 <베트남 목소리> 팟캐스트 사례를 중심으로

정의철* ; 정미영**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부 교수, 제1저자 clerk88@hotmail.com
**동명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조교수, 교신저자 jungmy@tu.ac.kr
Vietnam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community media and cultural citizenship : Focusing on Vietnam Voice case in Pusan
Euichul Jung* ; Mi Young Jung**
*Division of Media and Advertising, Sangji University clerk88@hotmail.com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Tongmyong University jungmy@tu.ac.kr

초록

이주의 시대에 미디어를 통한 문화 간 소통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공동체에서 타자로 간주되는 소수자들에게 구성원으로서의 권리를 주장하고, 자신의 정체성과 문화를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은 다문화 상황에 적합한 시민권의 기초를 형성한다. 이 연구는 이주민의 목소리 내기와 다문화 상황에 적합한 시민권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소통권을 정보와 문화, 주장을 표현할 수 있는 권리이자 문화적 생존, 공동체 구성과 연대, 정체성과 신념의 표현 등 문화적 권리를 포괄한다고 보고, 다문화 상황에 적합한 시민권의 핵심을 이룬다고 규정한다. 한국에서는 소수자의 자발적인 운동이나 목소리 내기 운동이 미약하다. 이런 상황에서 이 연구는 부산에 거주하는 베트남 이주여성들이 모국어로 제작하고, 송출한 ‘베트남 목소리(Tieng Noi Viet)’ 팟캐스트 방송에 주목했다. 이 연구를 위해 베트남 목소리 참여자와 청취자들, 그리고 관련 기관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베트남 이주여성들은 베트남 목소리 방송을 통해 필요한 정보와 사회적 지지를 나누면서 소통과 문화의 주체가 되고 있었고,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들의 이슈와 문화를 표현하고, 초국적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주민의 미디어 참여와 소통권의 확대는 그들의 다문화적인 시민권의 토대를 강화한다고 해석된다.

Abstract

In the age of migration, the rol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particular, minorities’, perceived as ‘Others’ within a community, supporting their rights and expressing their identities/cultures make foundations for citizenship, which is essential for multicultural contex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grants’ raising voices and citizenship, which is suitable for multicultural contexts. This work regards the right to communicate as the right to express information, cultures and arguments and also as cultural rights, which include cultural survival, community building and bonding and expressing identity and belief; this research also defines the right to communicate as an essence of citizenship under multicultural contexts. In Korea, minorities’ movements and raising their voice have been weak. In this circumstan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Vietnam Voice, which is Podcast produced and delivered by migrant women living in Pusan. This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odcast’s producers and listeners, as well as with related organizations’ personnels. Findings suggest that Vietnamese share essential information and social support, become the main actor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culture, build a community, express their issues and cultures, and construct transnational identities. This kind of migrants’ media participation and strengthening their communication rights reinforce the foundations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Keywords:

raising voice, media participation, Vietnam’s Voice, cultural citizenship, the right to communicate

키워드:

목소리 내기, 미디어 참여, 베트남 목소리, 문화적 시민권, 소통권

References

  • 김남국 (2005). 다문화시대의 시민: 한국사회에 대한 시론. <국제정치논총>, 45집 4호, 97-120.
  • 김비환 (2007).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 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 문제. <법철학연구>, 10권 2호, 317-348.
  • 김영찬·반명진 (2018). 지역공동체 구성원들의 공동체 미디어 실천에 대한 고찰: ‘창신동라디오 <덤>’ 현장에 대한 참여관찰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2권 3호, 277-308.
  • 김은규 (2015).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운영 현황 점검과 방향성 모색: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시민미디어센터의 다문화 미디어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5권 1호, 115-161.
  • 김현미 (2008).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사회와 문화>, 26집 , 57-78.
  • 김현미 (2015). 귀화이주민의 문화적 권리. <한국문화인류학>, 48권 1호, 89-118.
  • 박관형·전희진 (2017). 긴장의 원천인 시민권: 시민권 담론의 다층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 <문화와 정치>, 4권 2호, 111-140.
  • 반명진·김영찬 (2016). 공동체 라디오 지역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대한 현장연구. <언론정보학보>, 78권, 79-115.
  • 소영현 (2017). 징후로서의 여성/혐오와 디아스포라 젠더의 기하학. <대중서사연구>, 23권 2호, 85-117.
  • 안정임·전경란·김양은 (2009). <다문화와 미디어교육>. 서울: 방송통신위원회.
  • 안진 (2015). 나는 왜 백인 출연자를 선호하는가: 어느 TV제작자의 자기민속지학적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30권 3호, 83-121.
  • 안진·채영길 (2015). 공동체 미디어 실천과 다문화 정체성의 재구성: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라디오 참여 활동과 권능화. <한국방송학보>, 29권 6호, 94-136.
  • 양한순 (2015). 다문화주의 시대 귀환 중국동포의 문화적 시민권 : 대림동 사례를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45권, 231-254.
  • 엄한진 (2011). <다문화 사회론>. 서울: 소화.
  • 엄한진 (2017). 프랑스의 이민문제. 서울: 서강학술총서.
  • 윤인진·이진복 (2006). 소수자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의 과제: 북한이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7집 1호, 41-92.
  • 원숙경 (2017). 다문화가정 소통권 확보를 위한 미디어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언론학연구>, 21권 4호, 37-63.
  • 윤수종 (2008). 소수자와 교육. <진보평론>, 38호, 227-242.
  • 윤재희·유향선 (2009). 한 걸음 더 나아가기:영·유아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다문화의 이해: 주체와 타자의 존재방식과 재현양상>, 149-173. 서울: 도서출판 경진.
  • 이병하 (2017). 환대개념과 이민정책: 이론적 모색. <문화와 정치>, 4권 2호, 47-72.
  • 이소영 (2014).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가 다문화 시민권리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다문화 교육연구>, 7권 1호, 1-28.
  • 이용승 (2014). “다문화시의 시민권 아포리아: 가 시민이며, 시민권 향유의 주체는 구인가?” <한국정치학회보>, 48권 5호, 185-206.
  • 이용승 (2016). 다문화수용성 제고,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현대사회와 다문화>, 6권 1호, 1-26.
  • 이용재 (2012). 결혼이주여성의 시민적 권리에 대한 고찰. <다문화와 인간>, 1권 2호, 235-268.
  • 이창원·정의철·최서리·최영미 (2014).〈이주민 미디어 활용을 통한 사회통합 제고방안 연구>, IOM이민정책연구원.
  • 이창호 (2012). 이주민들의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일고찰: 인천 차이나타운 거주 화교를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5권 1호, 5-32.
  • 이희은 (2010). 문화적 시민권과 문화연구의 만남에 대한 모색. <언론과 사회>, 18권 2호, 40-81.
  • 이희은 (2017). 무례한 미디어 매개된 경험과 타자의 삶. <한국방송학보>, 31권 3호, 216-246.
  • 이혜진 (2012). 일본의 다문화공생 개념과 커뮤니티라디오방송국 FMYY. <경제와 사회>, 360-401.
  • 장미경 (2005). 한국사회 소수자의 시민권의 정치. <한국사회학>, 32집 6호, 159-182.
  • 장지은 (2018). 여성주의 실천 전략으로 바라본 공동체 미디어 : 대구, 경산 공동체 미디어 실천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34권 1호, 105-140.
  • 전경옥 (2016). 여성이주노동자 권리 관련 국제규범과 한국의 여성이주노동자 인권정책. <다문화사회> 연구, 9권 1호, 65- 96.
  • 전영평 (2008). 다문화시대의 소수자운동과 소수자행정: 담론과 과제. <한국행정학보>, 42권 3호, 9-27.
  • 정의철 (2014). 지역방송의 다문화프로그램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연구: 방송관계자 및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8권 2호, 191-218.
  • 정의철 (2015). 이주민의 커뮤니케이션 권리와 역량강화: 이주민 미디어와 이주민 미디어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언론 학보〉, 59권 2호, 257-286.
  • 조동기 (2010).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시민권에 대한 태도. <한국인구학>, 33권 3호, 53-73.
  • 조동기 (2017). 사이버공간의 불평등 담론과 문화적 시민권. <사회과학연구>, 24권 1호, 57-74.
  • 조희원 (2015). 새로운 시민의 등장과 한국의 다문화현상: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33권, 235-254.
  • 주재원 (2014).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권 10호, 472-485.
  • 채영길 (2013). 다문화사회와 상호주관적 소통권: 미디어 중심에서 커뮤니티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커뮤니 케이션 이론>, 9권 4호, 136-175.
  • 최 현 (2008). 탈근대적 시민권 제도와 초국민적 정치공동체의 모색. <경제와사회>, 제79호, 38-61.
  • 한 선 (2015). 공익광고가 재현하는 한국식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독해. <디아스포라연구>, 9권 2호, 173-195.
  • 한성일 (2017, 8, 7). CMB충청방송, ‘희망나눔 행복비나리’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지역채널 우수프로그램 수상. <중도일보>. URL: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708072118
  • 한진만·홍성구 (2013). 다문화사회 방송규범의 실천적 방향성: 공정성 논쟁과 다문화 가정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7권 6호, 185-224.
  • 행정안전부 (2017.12). 지방자치단체외국인현황: 시도별 외국인 주민현황.
  • 황정미 (2011). 초국적 이주와 여성의 시민권에 관한 새로운 쟁점들. <한국여성학>, 27권 4호, 111-143.
  • 홍종배·유승관 (2014). 다문화 소외계층의 미디어 이용과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3권, 7-38.
  • Atton, C. (2014). Alternative media, the mundane and ‘everyday citizenship’. In M. Ratto & M. Boler (Eds.), DIY Citizenship: Critical making and social media (pp. 343-358). Cambridge, MA: MIT Press. [https://doi.org/10.7551/mitpress/9568.001.0001]
  • Banks, J. A. (2008). “Diversity, Group Ident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a Global Age.” Educational Researcher, 37(3), 129-139. [https://doi.org/10.3102/0013189X08317501]
  • Georgiou, M. (2005). Diasporic media across Europe: Multicultural societies and the universalism-particularism continuum.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31(3), 481-498. [https://doi.org/10.1080/13691830500058794]
  • Hegde, R. S. (2016). Mediating Migration. Cambridge: Polity Press.
  • Kymlicka, W .(1995). Multicutural citizenship. Oxford: Clarendon Press. 장동진·황민혁·송경호·변영환 (역) (2010). <다문화주의 시민권>. 서울: 동명사.
  • Kymlicka, W, & Norman, W. (1994). Return of the Citizen: A Survey of Recent Work on Citizenship Theory, Ethics 104(Jan), 352-381. [https://doi.org/10.1086/293605]
  • Lee, H. Y. (2012). At the cross roads of migrant workers, class, and media: a case study of migrant workers’ television project. Media, Culture & Society, 34(3), 312-327. [https://doi.org/10.1177/0163443711433666]
  • McGillivray, D., McPherson, G., Jones, J., & McCandlish, A. (2016). Young people, digital media making and critical digital citizenship. Leisure Studies, 35(6), 724-738. [https://doi.org/10.1080/02614367.2015.1062041]
  • Miller, T. (2011). Cultural citizenship. MATRIZes, 4(2), 57-74. [https://doi.org/10.11606/issn.1982-8160.v4i2p57-74]
  • Paterson, A. Y., Norgaard, R. T., & Koppe, C. (2018). Patterns of Inclusion: Fostering Digital Citizenship through Hybrid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21(1), 225–236.
  • Silverstone, R., & Georgiou, R. (2005). Editorial Introduction: Media and minorities in multicultural Europe.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31, 433-441. [https://doi.org/10.1080/13691830500058943]
  • Stevenson, N. (2003). Cultural citizenship in the ‘cultural’ society: a cosmopolitan approach. Citizenship Studies, 7(3), 331-348. [https://doi.org/10.1080/13621020302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