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KSJCS)
[ New Media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2, No. 5, pp.175-214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8
Received 15 Jun 2018 Revised 28 Sep 2018 Accepted 04 Oct 2018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8.62.5.006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영향 변인의 관계에 대한 학령 및 성별 비교 분석 : 부모의 양육태도,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스마트폰 이용 용도를 중심으로

이하나** ; 양승목***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박사과정 수료, 주저자 nalee21@snu.ac.kr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교신저자 smyang@snu.ac.kr
Differential effects of parenting styles, psychological traits, and purpose of smartphone use upon Korea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Hana Lee** ; Seung-Mock Yang***
**Ph.D. Candidate, Seoul National University nalee21@snu.ac.kr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smyang@snu.ac.kr

초록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6년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 용도가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의 양육태도,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함께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학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표본은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대학교 1학년 학생 5,564명이며,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예측변인들의 독립적인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학령 및 성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령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의존도는 높아지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았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방임과 학대의 경우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고 다른 변인들은 학령이나 성별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심리적 특성 가운데 공격성은 학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스마트폰 의존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으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은 학령과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 용도가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도 학령과 성별에 따라 달랐는데, 게임·오락은 중·고등학교 남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높이는 반면에 여학생과는 관계가 없었다. 가족과의 통화나 음악 듣기는 고등학교와 대학교 남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는 요인이었지만, 사진촬영과 동영상 보기는 여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 용도에 주목하여 학령과 성별에 따른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s, psychological traits, and purpose of smartphone use upon adolescent’s psychological dependence on smartphone, using a sample of 5,564 teenagers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2016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 se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predictors by age and gender. First, girls were significantly more dependent on smartphone than were boys, and smartphone dependence increased with age. Second, parenting styles, with the exception of the ‘no effect’ of neglect and abuse by paren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ly with specific age or gender. Third, for psychological traits, the effects of anxiety and self-esteem were found only for specific age or gender, while aggression showed a consiste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dependence. Finally, purpose of smartphone use influenced smartphone dependence with different impact depending upon age and gender. For instance, using smartphone for games increased smartphone dependence only for boys of 13 and 16 years old, while using camera and watching videos were common factors to increase smartphone dependence for gir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y policy for reducing teenager’s smartphone overuse should take account of their smartphone use behavior.

Keywords:

smartphone dependence, adolescent, smartphone use, parenting style, psychological traits

키워드:

스마트폰 의존도, 청소년, 스마트폰 이용 용도, 부모 양육태도, 심리적 특성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18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연구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References

  • 강방글·신혜정 (2014).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청소년학연구>, 21권 8호, 213-241.
  • 권예지·나은영 (2015, 11월). <부모 커뮤니케이션, 스마트폰 이용, 개인 특성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2015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용인: 단국대학교.
  • 권예지·나은영 (2017). 부모 커뮤니케이션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언론정보연구>, 54권 2호, 80-113.
  • 김광일·김재환·원호택 (1984). <간이 정신진단 검사 실시 요강>.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 김경호 (2014). 중학생이 지각한 아동학대의 경험 수준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9권, 95-121.
  • 김경호 (2015). 고등학생의 우울, 휴대전화 의존, 학교생활 적응 간의 비재귀적, 순환적 관계의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7권, 1-28.
  • 김경호 (2016).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 유해매체 이용, 공격성 간의 순환적 관계의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18권 3호, 51-74.
  • 김경호 (2017). 중학생의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보호요인으로서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2권, 171-197.
  • 김기태·이현주·문신일 (2016). 청소년의 스마트폰 네트워크 크기, 이용행태, 또래친구와의 관계지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30권 4호, 5-40.
  • 김도연·양혜정 (2014).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변화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의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5권 3호, 169-197.
  • 김병년·고은정·최홍일 (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4권 3호, 67-98.
  • 김세원 (2003).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소영·홍세희 (2014). 중학생 휴대전화 의존도의 변화 추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5권 3호, 101-123.
  • 김영민·임영식 (2012). 민주적 양육방식, 자아탄력성 및 휴대전화의존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구조모형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3권 2호, 273-299.
  • 김용찬·신인영 (2013). ‘스마트폰 의존’이 전통적 미디어 이용과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7권 2호, 115-156.
  • 김정민·송수지 (2015). 청소년의 우울과 휴대전화 의존, 학업적응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22권 6호, 389-408.
  • 김지혜 (2012). 부모요인, 친구요인, 개인요인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용도를 매개로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4권 3호, 97-120.
  • 김현숙 (2013).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 및 이용 목적에 따른 심리적 특성. <수산해양교육연구>, 25권 1호, 87-101.
  • 김현순·최영준 (2015).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권 5호, 340-352.
  • 김형지·김정환·정세훈 (2012).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 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권 4호, 55-93.
  • 김형지·정세훈 (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2권 1호, 87-120.
  • 김혜수·배성만·현명호 (2007).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환경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권 2호, 383-393.
  • 노충래·김소연 (2016).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7권 4호, 87-114.
  • 류경희·홍혜영 (2014).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1권 8호, 157-183.
  • 모상현·이장주·한지형 (2016).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Ⅶ.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274.
  • 문두식·최은실 (2015).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권 10호, 213-236.
  • 박남수·오하영 (2016).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이용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 중재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9호, 590-599.
  • 박성복·황하성 (2014).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한국언론학보>, 58권 4호, 289-311.
  • 박웅기 (2003). 대학생들의 이동전화 중독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7권 2호, 250-281.
  • 박주나·전종설 (2013).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휴대전화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0권, 77-159.
  • 박지영·김귀애·홍창희 (2012).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이용 동기, 또래관계 및 정서적 요인과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31권 1호, 151-169.
  • 배성만 (2014).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만족도가 휴대폰 중독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권 11호, 271-290.
  • 백소진·오홍석 (2017).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4권 5호, 31-54.
  • 백승희·전현정·정혜원 (2014).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5권 4호, 167-188.
  • 서미정 (2016). 초기 청소년의 휴대전화 용도별 이용빈도의 변화가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17권 4호, 239-261.
  • 손신영 (2016).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영향요인 모형구축.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0권 3호, 185-197.
  • 송인한·권세원·김성은 (2014).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 용도와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가 가지는 매개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21권 8호, 185-211.
  • 신경미·황순택 (2016). 학대·방임, 정서문제와 휴대전화의존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7권 4호, 115-147.
  • 오대영·이정기 (2014). 청소년들의 스마트미디어 이용과 중독, 효과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29권 3호, 125-158.
  • 유현주 (2014). 초기 청소년의 학대경험, 우울, 공격성, 사회적 위축 및 휴대전화의존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21권 12호, 417-446.
  • 이시형·김학수·나은영·이세용·김선남·배진한 (2002).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제2002-1호). 서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 이정기·황상재 (2009). 10대의 휴대폰 이용 동기와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3권 5호, 296-338.
  • 이정민·정혜원 (2016).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의존도 유형 분류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7권 2호, 121-157.
  • 이종하 (2016).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9호, 433-442.
  • 장석진·송소원·조민아 (2012).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권 5호, 161-187.
  • 장신재·양혜원 (2015). 부모의 방임과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 관계에 미치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31권 2호, 133-156.
  • 장혜진 (2002).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민 (2015).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6권 3호, 103-131.
  • 정일영 (2016).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학교적응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42권, 87-118.
  • 정평화·노충래·이경선·성민현·송재덕 (2014). 부모의 아동학대와 방임이 학령기 아동의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47호, 93-123.
  • 정희선·이경숙·이선우·윤홍옥 (2016, 8월).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군산: 새만금비즈니스컨벤션센터.
  • 조붕환·임경희 (2003).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권 4호, 729-746.
  • 진미령·신성만 (2016).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1권 1호, 31-53.
  • 차은진·김경호 (2016).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자녀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43권 4호, 51-78.
  • 최경일·김미영 (2016).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친구관계와 학업태도의 매개효과. <청소년문화포럼>, 48권, 109-133.
  • 최선우·김승현 (2015).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권 3호, 365-383.
  • 최태산·김자경 (2016). 부모의 과잉간섭이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권 3호, 393-414.
  • 하문선 (2014).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종단적 변화의 잠재집단유형과 심리정서적 특성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권 4호, 313-336.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URL: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65914&bcIdx=19592&parentSeq=19592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KCYPS 제1-7차 조사 코드북. URL: http://www.nypi.re.kr/archive/brdartcl/boardarticleList.do?brd_id=BDIDX_k9Fd9oFi29nooCcJ7kX1I4&srch_ctgry_idx=CTIDX00043&menu_nix=qZc474Ak
  • 한주리·허경호 (2004). 이동전화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48권 6호, 138-165.
  • 허 균 (2015).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의 종단적 변화에 대한 부모관심의 시간 변화에 따른 효과 연구. <청소년학연구>, 22권 3호, 59-76.
  • 허묘연 (200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개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홍예지·이순형 (2016). 남·여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양방향적 관계. <인간발달연구>, 23권 3호, 221-241.
  • 황고운·조예진·현명호 (2016). 초등학생의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청소년학연구>, 23권 8호, 219-239.
  • 황용석·박남수 (2011). 청소년 휴대전화 중독 요인과 중독 예방에 있어 부모·교사의 역할 연구. <한국방송학보>, 25권 5호, 309-348.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https://doi.org/10.1176/appi.books.9780890425596]
  • Armstrong, L., Phillips, J. G., & Saling, L. L. (2000).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3(4), 537-550. [https://doi.org/10.1006/ijhc.2000.0400]
  • Bianchi, A., & Phillips, J. G. (2005).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 mobile phone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 8(1), 39-51. [https://doi.org/10.1089/cpb.2005.8.39]
  • Byun, S., Ruffini, C., Mills, J. E., Douglas, A. C., Niang, M., Stepchenkova, S., Lee, S. K., Loutfi, J., Lee, J., Atallah, M., & Blanton, M. (2009). Internet addiction: Metasynthesis of 1996-2006 quantitative research. CyberPsychology & Behavior, 12(2), 203-207. [https://doi.org/10.1089/cpb.2008.0102]
  • Chaffee, S. H., McLeod, J. M., & Wackman, D. B. (1973).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adolescent political participation. In J. Dennis (Ed.), Socialization to politics: A reader, (pp. 349-364). New York, NY: Wiley.
  • Chou, C., Condron, L., & Belland, J. C. (2005). A review of the research on Internet addic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7(4), 363-388. [https://doi.org/10.1007/s10648-005-8138-1]
  • Colwell, J., & Payne, J. (2000). Negative correlates of computer game play in adolescent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1(3), 295-310. [https://doi.org/10.1348/000712600161844]
  •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disorder. Retrieved from http://www-usr.rider.edu/~suler/psycyber/supportgp.html
  • Griffiths, M. (1998). Internet addiction: Does it really exist? In J. Gackenbach (Ed.), Psychology and the Internet: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transpersonal implications? (pp. 61-75). San Diego, CA, US: Academic Press.
  • Ha, J. H., Chin, B., Park, D. H., Ryu, S. H., & Yu, J. (2008). Characteristics of excessive cellular phone use in Korean adolescents. CyberPsychology & Behavior, 11(6), 783-784. [https://doi.org/10.1089/cpb.2008.0096]
  • Hong, F. Y., Chiu, S. I., & Huang, D. H. (2012).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obile phone addiction and use of mobile phones by Taiwanese university femal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6), 2152-2159. [https://doi.org/10.1016/j.chb.2012.06.020]
  • Leung, L. (2008). Linking psychological attributes to addiction and improper use of the mobile phone among adolescents in Hong Kong.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2(2), 93-113. [https://doi.org/10.1080/17482790802078565]
  • Park, N., & Lee, H. (2014). Nature of Youth Smartphone Addiction in Korea. <언론정보연구>, 51권 1호, 100-132. [https://doi.org/10.22174/jcr.2014.51.1.100]
  • Rheingold, H. (1993). The virtual community: Finding commection in a computerized world. Boston, MA: Addison-Wesley Longman Publishing Co., Inc.
  • Rog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515/9781400876136]
  • Young, K. S. (1998).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1(3), 237-244. [https://doi.org/10.1089/cpb.1998.1.237]
  • Young, K. S., & Rogers, R. C.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1(1), 25-28. [https://doi.org/10.1089/cpb.1998.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