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KSJCS)
[ PR Advertisement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2, No. 5, pp.329-363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8
Received 09 Feb 2018 Revised 27 Jul 2018 Accepted 04 Oct 2018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18.62.5.010

대학의 PR과 대학생의 학업 성취 : 대학-학생 관계성, 교육내용의 질, 자아효능감, 학업 열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유선욱* ; 박혜영**
*한경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교수, 주저자 swyoo@hknu.ac.kr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교신저자 cheerupyou@naver.com
University Public Rel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Yoo, Sun-Wook* ; Park, Hyeyoung**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and Literary Art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swyoo@hknu.ac.kr
**Senior Researcher, Institute of Media & Culture, Sogang University cheerupyou@naver.com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조직과 대학생의 효과성 지표라 할 수 있는 학업 성취를 이끄는 선행 요인을 규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대학 PR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의 주요 자원인 교육내용의 질과 대학-학생 간의 관계성(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s)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개인의 심리적 자원인 학업 열의와 자아효능감의 매개적 역할을 규명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첫째, 교육내용의 질이 좋을수록 학업 열의와 학업 성취가 높아졌으며, 대학-학생 관계성이 긍정적일수록 자아효능감과 학업 열의, 학업 성취 모두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 열의는 학업 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효능감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대학-학생 관계성과 학업 성취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과 학업 열의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이자 내부공중인 재학생이 대학의 가장 중요한 핵심 공중임을 생각할 때, 조직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재학생 개개인이 건강하고 긍정적인 상태에서 학교생활과 학업을 할 수 있도록 자아효능감과 학업 열의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PR의 조직-공중 관계성을 대학 환경에서의 교육 영역에 적용하여 이론을 확장하였으며, 대학-학생 관계의 질 및 대학생 개개인의 학업 열의 제고를 통해 학업 성취를 높이는 데에 있어 PR의 역할을 논의함으로써 대학 PR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leading to academic achievement, which are indicators of effectiveness of university and university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quality of education and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s on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roles of study engagement and self–efficacy, which are the psychological resources of the individual students.

First,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better the quality of education led to the higher the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ho perceived the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more positively got the higher self-efficacy, study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study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effect of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 Third, study engagement and self-efficacy played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are the most important public in university. In terms of relationship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f university, it is essential to pay attention to study engagement and self-efficacy so that each student can concentrate on study with healthy and positive psychological state.

The role of PR for enhancing of university effectiveness were discussed.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Keywords:

university PR, university public relations,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 study engagement, academic achivement

키워드:

대학 PR, 대학 홍보, 대학-학생 관계성, 조직-공중 관계성, 대학 조직 커뮤니케이션

References

  • 구병두 (1996). <학업 성취관련변인>. 서울: 양서원.
  • 곽수란 (2006). 인문계 학생의 학업 성취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6권 2호, 1-29.
  • 권영주·박영신·김의철 (2007). 대학생의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 성취와 행복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25권 2호, 153-172.
  • 김수영 (2013). <자아성향이 조직-공중관계성 인식을 매개로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M-plus 예제와 함께>. 서울: 학지사.
  • 김미량 (2003). 컴퓨터교과교육: 컴퓨터활용교육;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를 위한 준거의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6권 1호, 41-54.
  • 김민정 (2015). <전문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병모 (2005).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분석한 대학구조조정 과정. <교육과학연구>, 36권 2호, 43-63.
  • 김병성 (2001). <학교효과론>. 서울: 학지사.
  • 김양분 (2003). <학교교육 수준 및 실태분석 연구: 고등학교>.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3-16.
  • 김은지 (2015). 대학 수업에서 학습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 외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6권 3호, 107-129.
  • 김은주 (2014).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독서량 간의 관계 검증. <교육종합연구>, 12권 3호, 1-22.
  • 김인숙 (2000). 대학의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에 대한 연구-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홍보학 연구>, 4권 1호, 41-60.
  • 김일혁 (2005). <고등학생의 가정배경 요인과 수학성취도와의 구조적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종숙 (2007). 이러닝 학습성과의 영향변인 탐색과 인과분석의 교육정책적 함의. <열린교육연구>, 15권 3호, 101-125.
  • 김헌주·김경미 (2015). 대학 신입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간의상관관계 분석 사례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6권 6호, 1283-1293.
  • 김혜숙·유예림 (2016). 대학 수업의 운영 충실도가 대학생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9권 1호, 147-175.
  • 류운석 (2012). 전문대학 학생들이 지각한 교수신뢰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42권, 245-263
  • 박노일·정지연·진범섭 (2017). 대학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대학-학생 관계성 및 대학 만족도. <홍보학 연구>, 21권 6호, 131-151.
  • 박영신·김의철 (2009).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15권 1호, 95-132.
  • 백평구 (2012).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 <교양교육연구>, 6권 1호, 431-466.
  • 서민원 (1996). <대학 교육의 효과성 변인의 측정과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서영숙·정추영·권영채 (2017). 카데바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죽음태도 및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5권 5호, 317-324.
  • 성민정·조정식 (2007). 대학 선택 과정에서의 매체 이용 분석을 통한 대학의 통합 커뮤니케이션 방안. <한국광고홍보학보>, 9권 2호, 207-243.
  • 송지준 (2014). <SPSS/AMOS 논문작성에 필요한 통계분석방법>. 경기:21세기사.
  • 신소영·김지심 (2016). 수업영향요인과 수업,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권 11호, 383-402.
  • 신정철·정지선·김양분·박은경 (2008). 고등교육의 학문적 연구 동향 분석: 주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35권 3호, 167-193.
  • 신현석 (2005).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서울: 학지사.
  • 신현석·변수연·박해경 (2012).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의 비교·분석 연구. <교육방법연구>, 24권 1호, 229-256.
  • 신현석·변수연·전재은 (2016). 학부 교육의 질과 성과의 의미에 대한 성찰과 쟁점. <교육행정학연구>, 34권 1호, 73-102.
  • 신효정·민혜리 (2009). 대학생의 학습인식과 교육만족도의 관계: 인문· 사회계열과 자연· 이공계열의 비교. <교육학연구>, 통권 47호, 49-72.
  • 안귀덕 (1992). <한국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일탈행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안지혜 (2014). 좋은 대학수업의 특성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열린교육연구>, 22권 1호, 163-191.
  • 유선욱 (2013). PR 실무자의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7권 1호, 335-363.
  • 유선욱·문현기 (2015). 나는 전문가인가?. <광고연구>, 107호, 5-39.
  • 유선욱·박혜영 (2016). 대학-학생 공중 관계, 대학생의 학업 열의, 학업 성취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홍보학 연구>, 20권 3호, 173-200.
  • 유종숙 (2003). 한국의 대학 PR 연구 분석. <한국광고홍보학보>, 5권 2호, 28-68.
  • 유현숙·고장완·임후남 (2011).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권 4호, 319-337.
  • 이길재·이정미 (2015). 대학교육 만족도 및 교수학습 성과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3권 1호, 105-127.
  • 이미숙·이홍우·이진춘 (2010).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교육품질, 학교생활만족도, 지각된 학업성과 간관계에 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63권, 117-141.
  • 이병식·김혜림·공희정·박혜경·전민경 (2012). 한국 대학효과 연구의 최근 동향. <교육과학연구>, 43권 4호, 191-219.
  • 이수연 (2010). 대학생의 행복 척도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권 2호, 107-122.
  • 이숙정 (2011).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권 2호, 235-253.
  • 이숙정·유지현 (2008).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교육심리연구>, 22권 3호, 589-607.
  • 이은주 (2001).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5권 3호, 199-216.
  • 이희원·민혜리 (2013). 수업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 결과 활용 방안 탐색. <열린교육연구>, 21권 3호, 257-283.
  • 이형민 (2015). 공공외교의 관점에서 본 대학 PR 대학-유학생 관계성이 대학에 대한 태도 그리고 국가에 대한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홍보학 연구>, 19권 4호, 1-26.
  • 임창재 (1994). <학습양식을 형성하는 가정환경의 과정변인 탐색>.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장상수 (2000). 교육 기회의 불평등. <한국사회학>, 제34집 가을호, 671-708.
  • 장상호 (2004). 학교안의 교육과 비교육 1: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재구성. <교육원리연구>, 9권 1호, 83-176.
  • 정재상·임규연 (2000).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16권 2호, 107-135.
  • 조삼섭·정만수·유종숙 (2008). 갈등시 조직-공중 관계성에 대한 공중 인식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0권 3호, 248-266.
  • 채민정 (2016). 대학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규환 (2005). 관광교육 서비스 평가, 만족,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8권 1호, 135-152.
  • 최부기·전주성 (2011).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사회적 실재감, 수업만족도, 학업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권 4호, 315-334.
  • 최영훈·성민정 (2015). 대학생의 대학 생활 경험요소를 바탕으로 한 대학에 대한 관계성 인식 탐색: 부산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6권 1호, 103-136.
  • 최정윤·이병식 (2009).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7권 1호, 199-222.
  • 최지현·조삼섭 (2009). 조직-공중 간 관계성과 갈등에 대한 상호인식 연구. <한국언론학보>, 53권 6호, 330-353.
  • 최혜민·김효숙 (2011). 트위터로 형성된 조직 공중 관계성이 공중의 갈등 해소 의지에 미치는 영향 A 대학 트위터를 중심으로. <홍보학 연구>, 15권 3호, 5-40.
  • 하종덕·문정화 (2011). 소외계층 영재의 영재교육 서비스 만족도 및 자아효능감. <창의력교육연구>, 11권 2호, 87-105.
  • 한건수 (2015).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권 4호, 2478-2485.
  • 한범희 (1996). <학교 학습심리학>. 서울:도서출판 하우.
  • Astin, A. W. (1985). Involvement the cornerstone of excellence, Change, The Magazine of Higher Learning, 17(4), 35-39. [https://doi.org/10.1080/00091383.1985.9940532]
  • Astin, A.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 Bandura, A. (1995).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0511527692]
  •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es of control. New York: Freeman & Co.
  • Bedggood, R. E., & Donovan, J. D. (2012). University performance evaluations: what are we really measuring?.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7(7), 825-842. [https://doi.org/10.1080/03075079.2010.549221]
  • Birch, S. H., & Ladd, G. W. (1996).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school environment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The role of teachers and peer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oomsma, A. (2000). Reporting analyses of covariance structu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7(3), 461-483. [https://doi.org/10.1207/S15328007SEM0703_6]
  • Bruning, S. D., & Ralston, M. (2001). Using a relational approach to retaining students and building mutually beneficial student-university relationship.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66, 337-345. [https://doi.org/10.1080/10417940109373212]
  • Burrell, D., & Grizzell, B. (2008). Competitive marketing and planning strategy in higher education. Academic Leadership: The Online Journal, 6(1), 7.
  • Chen, G., Gully, S. M., & Eden, D. (2001).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4(1), 62-83. [https://doi.org/10.1177/109442810141004]
  • Chickering, A. W., & Gamson, Z. F. (1987).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AAHE bulletin, 3, 7.
  • Coetzee, M., & Oosthuizen, R. M. (2012). Students' Sense of Coherence, Study Engagement and Self-Efficacy in Relation to their Study and Employability Satisfaction. Journal of Psychology in Africa, 22(3), 315-322. [https://doi.org/10.1080/14330237.2012.10820536]
  • Coleman, J. S. (196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
  • Eccles, J. S., & Roeser, R. W. (2009). Schools, academic motivation, and stage-environment fit.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1, 404-434. [https://doi.org/10.1002/9780470479193.adlpsy001013]
  • Ghosh, A. K., Whipple, T. W., & Bryan, G. A. (2001). Student trust and its antecedents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2(3), 322-340. [https://doi.org/10.1080/00221546.2001.11777097]
  • Goodenow, C. (1993). The psychological sense of school membership among adolescents: Scal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correlates. Psychology in the Schools, 30, 79-90. doi :10.1002/1520-6807(199301)30:1&lt;79::AID-PITS2310300113&gt;3.0.CO;2-X. [https://doi.org/10.1002/1520-6807(199301)30:1<79::AID-PITS2310300113>3.0.CO;2-X]
  • Grunig, J. E.(1993). Image and substance: From symbolic to behavioral relationships. Public Relations Review, 19(2), 121-139. [https://doi.org/10.1016/0363-8111(93)90003-U]
  • Hon, L., & Brunner, B. (2002). Measuring public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and administrators at the University of Florida. Journal of Communication Management, 6(3), 227-238. [https://doi.org/10.1108/13632540210807071]
  • Kline, R. B. (2011). Converg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level modeling. New York: The Guilfird Press.
  • Kim, J. N., Bach, S. B., & Clelland, I. J. (2007). Symbolic or behavioral management? Corporate reputation in high-emission industries. Corporate Reputation Review, 10(2), 77-98. [https://doi.org/10.1057/palgrave.crr.1550042]
  • Kuh, G. D., Kinzie, J., Schuh, J. H., & Whitt, E. J. Associates (2005). Student success in college: Creating conditions that matter.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Llorens, S., Schaufeli, W., Bakker, A., & Salanova, M. (2007). Does a positive gain spiral of resources, efficacy beliefs and engagement exis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3(1), 825-841. [https://doi.org/10.1016/j.chb.2004.11.012]
  • Luthan, F., Youssef, C. M., & Avolio, B. J. (2007).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Martínez, I. M., & Salanova, M. (2003). Niveles de burnout y engagement en estudiantes universitarios. Relación con el desempeño y desarrollo profesional. Revista de Educación, 330, 361-384.
  • McCroskey, J. C., Sallinen, A., Fayer, J. M., Richmond, V. P., & Barraclough, R. A. (1996). Nonverbal immediacy and cognitive learning: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45(3), 200-211. [https://doi.org/10.1080/03634529609379049]
  • McDonald, R. P., & Ho, M. H. R. (2002). Principles and practice in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Psychological methods, 7(1), 64. [https://doi.org/10.1037//1082-989X.7.1.64]
  • McNeely, C., & Falci, C. (2004). School connectedness and the transition into and out of health‐risk behavior among adolescents: A comparison of social belonging and teacher support. Journal of school health, 74(7), 284-292.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4.tb08285.x]
  • Onyishi, I. E., & Ogbodo, E. (2012). The contributions of self-efficacy and perceived organisational support when taking charge at work. S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38(1), 1-11. [https://doi.org/10.4102/sajip.v38i1.979]
  • Osterman, K. F. (2000). Students' need for belonging in the school communit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0(3), 323-367. [https://doi.org/10.3102/00346543070003323]
  • Pascarella, E. T., & Terenzini, P. T. (2005).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A third decade of research(Vol. 2). San Francisco: Jossey-Bass.
  • Puzziferro, M. (2008). Online technologie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predictors of final grade and satisfaction in college-level online courses. The Amer. Jrnl. of Distance Education, 22(2), 72-89. [https://doi.org/10.1080/08923640802039024]
  • Ramsden, P. (1991). A performance indicator of teaching quality in higher education: The Course Experience Questionnaire. Studies in Higher Education, 16(2), 129-150. [https://doi.org/10.1080/03075079112331382944]
  • Reyes, M. R., Brackett, M. A., Rivers, S. E., White, M., & Salovey, P. (2012). Classroom emotional climate,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4(3), 700. [https://doi.org/10.1037/a0027268]
  • Salanova, M., Schaufeli, W., Martínez, I., & Bresó, E. (2010). How obstacles and facilitators predict academic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study burnout and engagement. Anxiety, Stress &Coping, 23(1), 53-70. [https://doi.org/10.1080/10615800802609965]
  • Salanova, M., Llorens, S., Cifre, E., Martinez, I. M., & Schaufeli, W. B. (2003).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subjective well-being, and task performance among electronic work group: An experimental study. Small Group Research, 34, 43–73. [https://doi.org/10.1177/1046496402239577]
  • Salanova, M., Breso, E., & y Schaufeli, W. B. (2005). “Hacia un modelo espiral de la autoeficacia en el estudio del burnout y del engegemenr” [Towards a Spiral model of Self-Efficacy in the study of Burnout and Engagement]. Ansiedad y Estres, 11(2), 215-231.
  • Schaufeli, W. B., Salanova, M., González-Romá, V., & Bakker, A. B. (2002a).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1), 71-92. [https://doi.org/10.1023/A:1015630930326]
  • Schaufeli, W. B., Martinez, I. M., Pinto, A. M., & Bakker, A. B. (2002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https://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 Shin, N. (2006). Online learner’s ‘flow’experience: an empirical study.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7(5), 705-720. [https://doi.org/10.1111/j.1467-8535.2006.00641.x]
  • Sung, M., & Yang, S. U. (2008). Toward the model of university image: The influence of brand personality, external prestige, and reputatio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20(4), 357-376. [https://doi.org/10.1080/10627260802153207]
  • Sung, M., & Yang, S. U. (2009). Student–university relationships and reputation: a study of the links between key factors fostering students’ supportive behavioral intentions towards their university. Higher Education, 57(6), 787-811. [https://doi.org/10.1007/s10734-008-9176-7]
  • Tinto, V. (1975).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5(1), 89-125. [https://doi.org/10.3102/00346543045001089]
  • Vuong, M., Brown-Welty, S., & Tracz, S. (2010).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academic success of first-generation college sophomor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51(1), 50-64. [https://doi.org/10.1353/csd.0.0109]
  • Wehlage, G. G. (1989). Reducing the risk: Schools as communities of support. Philadelphia: The Falmer Press.
  • West, S. G., Taylor, A. B., & Wu, W. (2012). Model fit and model selectio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ndbook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09-231. New York: Guilford press.
  • Wong, M. M., & Csikszentmihalyi, M. (1991). Affiliation motivation and daily experience: Some issues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1), 154. [https://doi.org/10.1037/0022-3514.60.1.154]
  • Woolfolk Hoy, A., Hoy, W. K., & Davis, H. A. (2009).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Handbook of Motivation at School, 627-653. New York: Routledge.
  • Yang, S. U. (2007). An integrated model for organization-public relational outcomes, organizational reputation, and their Antecedent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19(2), 91-121. [https://doi.org/10.1080/10627260701290612]
  • Yang, S. U., Kang, M., & Cha, H. (2015). A study on dialogic communication, trust, and distrust: Testing a scale for measuring organization–public dialogic communication (OPDC).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27(2), 175-192. [https://doi.org/10.1080/1062726X.2015.1007998]
  • Zaharias, P. (2004). Usability and e-learning: the road towards integration. eLearn Magazine, 2004(6), 4. [https://doi.org/10.1145/998337.998345]
  • Zajacova, A., Lynch, S. M., & Espenshade, T. J. (2005). Self-efficacy, stress, and academic success in college.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6(6), 677-706. [https://doi.org/10.1007/s11162-004-4139-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