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프레임의 온라인 문화적 공명이 여론 틀 짓기에 미치는 영향 관계 : 김영란법 관련 기사와 댓글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및 그랜저 인과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초록
언론 프레임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언론 프레임을 시민들의 의견, 관점, 감정 등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기사의 댓글이 사회 문화적 맥락으로 작용할 수 있어, 언론 프레임이 이 맥락에 호응하는 관계성을 ‘언론 프레임의 온라인 문화적 공명’으로 제안한다. 국내외 연구자들이 이 관계성을 다루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해, 본 연구는 2016년 6월 13일부터 2016년 9월 10일까지 90일간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이 보도한 김영란법 관련 기사 432건과 댓글 3,321건에 대해 의미 연결망과 군집 분석을 실시했다. 이 결과, ‘경제 여파’, ‘법안 쟁점’, ‘부정적 영향’, ‘청렴 사회’라는 4개 프레임이 기사와 댓글에서 출현했다. 본 연구는 이 프레임들을 시계열 데이터로 구성해 사회 문화적 맥락인 댓글에 내재한 프레임과 기사 프레임 간에 그랜저 인과 관계를 조사했다. ‘법안 쟁점’ 프레임의 경우, 보도 이전에 게재된 댓글이 기사에 영향을 미쳐 기사 프레임의 문화적 공명이 나타났으며, 관련 기사는 보도 이후 실린 댓글에도 영향을 미쳤다. 보수 신문의 ‘법안 쟁점’ 프레임이 선행하는 댓글 프레임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 프레임은 뒤따르는 댓글 프레임에 영향을 미쳤다. 진보 신문의 경우, 기사 프레임이 앞선 댓글 프레임에 호응했다. 본 연구는 언론 프레임 선행 연구에 ‘프레임의 온라인 문화적 공명’이라는 개념을 제안해 댓글 프레임과 기사 프레임의 인과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o identify news frames’ effects on public opinion, the nature of the news frames in terms of a socio-cultural context in comments is important. With comments serving as a social-cultural context, this study suggests ‘online cultural resonance of news frame.’ By noting few studies examining the topic, this study investigated 432 news stories and 3,321 comments about the Kim Young-ran Act from four newspapers ranging from June 13 to September 10, 2016 by using semantic network and cluster analyses. ‘Economic impact’, ‘moot point of the Act’, ‘negative effect’, and ‘society of integrity’ emerged. This study executed the Granger test for the frames of the comments and those of the news stories. The frame of ‘moot point of the Act’ in the comments influenced the news frame, and the news frame influenced the subsequent comment frame. The comment frame of ‘moot point of the Act’ in the conservative newspapers influenced the news frame, and the news frame affected the comment frame later. For liberal newspapers, the news frames corresponded with the earlier comment frames.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suggesting the concept of online cultural resonance and examining the causality between the two frames.
Keywords:
frame, online cultural resonance, semantic network, cluster, Granger causality키워드:
프레임, 온라인 문화적 공명, 의미 연결망, 군집, 그랜저 인과 관계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한국언론학회 2018년 봄철 정기학술대회 저널리즘 분과에서 발표됐던 내용을 대폭 수정한 것이며 유익한 심사평을 해 준 익명의 심사자들께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References
- 강민진 (2018). “댓글 무서워 기사 못쓰겠다”는 기자에게 문 대통령이 한 말. <한겨레> URL: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827128.html
- 권호천 (2016). 20대 총선에 대한 신문보도의 의미네트워크 분석: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42호, 39-87.
- 김경모 (2012). 온라인 뉴스 확산과 여론 형성. <언론과학연구>, 12권 4호, 35-72.
- 김대욱·최명일 (2016). 의미연결망분석을 이용한 2005 ~ 2014년 자살보도 분석. <한국언론학보>, 60권 2호, 178-208.
- 김미희 (2013). 온라인 뉴스와 블로그 사용자의 댓글 이용과 관련기사에 대한 선택적 노출: 상대적인 적대적 미디어 효과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3권 3호, 123-156.
- 김병철 (2010). 자살 보도가 잠재적 자살자에게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8권 1호, 41-63
- 김병철·김재준·류근관 (2009). 미디어 유행어와 여론의 그랜저 인과관계. <한국언론학보>, 53권 1호, 412-438.
- 김수경 (2015). 이주민 문제의 정치적 탈이념화. <한국사회학>, 49권 1호, 77-110.
- 김수정·정연구 (2010). 프레임 분석에 있어서 무보도 현상의 적용 효과 연구. <한국언론학보>, 54권 2호, 382-404.
- 김은이·반현 (2012). 언론 프레임 분석을 통해 본 언론의 위해 식품 보도 태도.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7호, 234-257.
- 김진유 (2006). 신문기사가 부동산가격변동에 미치는 영향-‘투기’가 포함된 신문기사와 주택가격간의 그랜저인과관계분석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14호, 39-63.
- 김춘식·이영화 (2008). 참여정부의 언론정책에 관한 언론 프레임 연구 -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권 2호, 303-327.
- 김혜미·이준웅 (2011). 인터넷 뉴스와 댓글의 언론 프레임 융합 효과 연구: 해석의 복잡성 및 태도의 극단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2호, 32-55.
- 박경숙 (2002). 집단 갈등 이슈의 방송 언론 프레임 분석 - 의약 분업 언론 프레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6권 2호, 310-340.
- 박성태 (2015a). [여론조사] “김영란 법 공감” 70.6%…압도적 ‘찬성’. <JTBC> URL: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718056
- 박성태 (2015b). [여론조사] 국민 64% “김영란법 국회 통과, 잘한 결정”. <JTBC> URL: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789275&pDate=20150303
- 박준용 (2018). ‘댓망진창’ 된 인터넷 공론장 ‘네이버 댓글’…왜? <한겨레> URL: 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841762.html
- 박지영·김태호·박한우 (2013).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셀러브리티의 SNS 메시지 탐구. <방송통신연구>, 제 82호, 36-74.
- 방성현·이건호 (2013). 일간지 기사와 보도자료 프레임 비교를 통한 비구성적 현실 탐색. <한국언론학보>, 57권 1호, 163-186.
-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구성주의적 접근. <언론과 사회>, 17권, 6-40.
- 양정혜·이현주 (2005). 텔레비전 뉴스와 젠더 질서- 성매매방지법 보도의 프레이밍 분석. <한국방송학보>, 19권 2호, 378-418.
- 여은호·박경우 (2011). 인터넷 뉴스 댓글이 독자의 기사 인식에 미치는 인지적 영향 – 접근성(accessibility)과 적용성(applicability)을 중심으로. <언론학연구>, 15권 2호, 237-259.
- 이동훈·김원용 (2012). <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 삼성경제연구소
- 이서현·김성해 (2017). 규범적 시대정신과 현실적 이해관계의 충돌.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44호, 85-120.
- 이수범·강연곤 (2013). 국내 일간지의 트위터 이슈에 관한 보도 프레임 분석 - 정치적 소통과 여론 형성이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권 1호, 28-53.
- 이승선·김경호 (2006). 댓글의 문제점과 인터넷 언론매체의 책임. <언론과 법>, 5권 1호, 385-415.
- 이완수 (2009). 의제설정이론에서 그랜저 인과관계 모형의 방법론적 타당성 연구. <커뮤니케이션 이론>, 5권 2호, 54-100.
- 이은주·장윤재 (2009).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53권 4호, 50-71.
- 이재신·김지은·류재미·강재혁 (2010). 기사 프레임과 장르가 댓글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4권 2호, 116-137.
- 이준웅 (1997). 언론의 틀짓기 기능과 여론의 변화. <언론과 사회>, 17호, 100-135.
- 이준웅 (2000).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언론과 사회>, 29호, 85-152.
- 이준웅 (2005). 갈등적 사안에 대한 여론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프레이밍 모형 검증 연구: 정부의 통일 정책에 대한 언론 프레임의 형성과 해석적 프레임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9권 1호, 29-56.
- 이진영·박재영 (2010). 한국 신문 보도의 다양성 연구. <한국언론학보>, 54권 3호, 301-325.
- 이창은 (2004). 댓글저널리즘, 네티즌이 바로 미디어다. <미디어오늘> URL: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39
- 임양준 (2013). 한국 신문의 천안함 사태에 대한 프레임 비교 분석. <사회과학연구>, 52권 1호, 251-285.
- 정수영·황경호 (2015). 한·일 주요 일간지의 한류 관련 언론 프레임과 국가 이미지. <한국언론학보>, 59 권 3호, 300-331.
- 정일권·김영석 (2006).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론동향 지각과 제3차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권 4호, 302-327.
- 정철운·김도연·금준경 (2017). ‘조중동’에 이어 ‘한경오’ 프레임이 등장했다. 문재인 열성지지층의 한겨레·경향신문·오마이뉴스 비판 여론, 팟캐스트 중심으로 등장·확산…배경은. <미디어오늘> URL: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6162#csidx48e19e6c60f87e794970e3e2578939f
- 조옥희 (2016). [여론조사] 44.3% “김영란법 시행, 투명사회 도움 등 긍정적 효과 커”. <데일리한국> URL: http://daily.hankooki.com/lpage/politics/201605/dh20160519182145137470.htm
- 좌보경·백혜진·서필교 (2014). 금연정책관련 온라인 뉴스와 댓글 유형의 내용 분석. <홍보학 연구>, 18권 3호, 13-43.
- 최동성·최성은·최용준 (2008). 인터넷 포털뉴스 댓글의 여론형성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8호, 311-358.
- 최영재 (2008). 대통령의 수사와 언론 보도, 지지도의 상관관계.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0권, 164-191.
- 최윤정·권상희 (2014). ‘빅데이터’ 관련 신문기사의 의미연결망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1권 1호, 241-281.
- 한국ABC협회 (2018). 2017년도 일간신문 발행 유료부수.
- Benoit et al. (2017). Package ‘quanteda’. Retrieved from https://cran.r-project.org/web/packages/quanteda/quanteda.pdf
- Benford, R. D., & Snow, D. A. (2000). Framing processes and social movements: An overview and assessment. Annual Review of Sociology, 26, 611-639. [https://doi.org/10.1146/annurev.soc.26.1.611]
- Blood, D. J., & Phillips, P. C. B. (1995). Recession headline news, consumer sentiment, the state of the economy and presidential popularity: A time series analysis 1989–1993.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7(1), 2-22. [https://doi.org/10.1093/ijpor/7.1.2]
- Carmichael, J. T., & Brulle, R. J. (2017). Elite cues, media coverage, and public concern: an integrated path analysis of public opinion on climate change, 2001–2013. Environmental Politics, 26(2), 232-252. [https://doi.org/10.1080/09644016.2016.1263433]
- Cobb, M. D. (2005). Framing effects on public opinion about nanotechnology. Science Communication, 27(2), 221-239. [https://doi.org/10.1177/1075547005281473]
- Csardi, G., & Nepusz, T. (2006). The igraph software package for complex network research. InterJournal, Complex Systems, 1695(5), 1-9.
- de Vreese, C. H. (2005). News framing: Theory and typology. Information Design Journal + Document Design, 13, 48-59. [https://doi.org/10.1075/idjdd.13.1.06vre]
- Dotson, D. M., Jacobson, S. K., Kaid, L. L., & Carlton, J. S. (2012). Media coverage of climate change in Chile: A content analysis of conservative and liberal newspapers. Journal of Environmental Communication, 6(1), 64-81. [https://doi.org/10.1080/17524032.2011.642078]
-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6-27.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3.tb01304.x]
- Entman, R. M. (2003). Cascading Activation: Contesting the White House’s frame after 9/11. Political communication, 20(4), 415-432. [https://doi.org/10.1080/10584600390244176]
- Fryberg, S. A., et al. (2012). How the media frames the immigration debate: The critical role of location and politics. Analyses of Social Issues and Public Policy, 12(1), 96-112. [https://doi.org/10.1111/j.1530-2415.2011.01259.x]
-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amson, W. A., & Lasch, K. E. (1981). The political culture of social welfare policy. Retrieved from https://deepblue.lib.umich.edu/bitstream/handle/2027.42/51014/242.pdf?sequence=1&isAllowed=y
- Gamson, W. A., & Modigliani, A. (1989). Media discourse and public opinion on nuclear power: A constructionist approach.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5(1), 1-37. [https://doi.org/10.1086/229213]
- Geiß, S., Weber, M., & Quiring, O. (2016). Frame competition after key events: A longitudinal study of media framing of economic policy after the Lehman Brothers bankruptcy 2008–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29(3), 471-496. [https://doi.org/10.1093/ijpor/edw001]
- Herbst, S. (1993). The meaning of public opinion: citizens' constructions of political reality. Media, Culture & Society, 15(3), 437-454. [https://doi.org/10.1177/016344393015003007]
- Hertog, J. K., & McLeod, D. M. (2001). A multiperspectival approach to framing analysis: A field guide In Reese, S. D., Gandy Jr, O. H., & Grant, A. E. (Eds.). (2001). Framing public life: Perspectives on media and ou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world. Routledge.
- Hille, S., & Bakker, P. (2014). Engaging the social news user: Comments on news sites and Facebook. Journalism Practice, 8(5), 563-572. [https://doi.org/10.1080/17512786.2014.899758]
- Hunt, C. M. (2017). Media framing and public opinion of refugees: News coverage of Hungarian refugees, 1956-57. Retrieved from https://ir.library.louisville.edu/cgi/viewcontent.cgi?article=3854&context=etd
- Iyengar, S. (1994).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Iyengar, S., &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https://doi.org/10.1177/009365093020003002]
- Jacobi, C., van Atteveldt, W., & Welbers, K. (2015). Quantitative analysis of large amounts of journalistic texts using topic modelling. Digital Journalism, 4, 89-106. [https://doi.org/10.1080/21670811.2015.1093271]
- Jacoby, W. G. (2000). Issue framing and public opinion on government spending.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4(4), 750-767. [https://doi.org/10.2307/2669279]
- Ju, Y. (2005). Policy or politics? A study of the priming of media frames of the South Korean president in the public mind.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8(1), 49-66. [https://doi.org/10.1093/ijpor/edh074]
- Kepplinger, H. M., Geiß, S., & Siebert, S. (2012). Framing scandals: Cognitive and emotional media effects. Journal of Communication, 62(4), 659–681. [https://doi.org/10.1111/j.1460-2466.2012.01653.x]
- Krippendorff, K. (2005). The social construction of public opinion. In Kommunikation über kommunikation (pp. 129-149).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https://doi.org/10.1007/978-3-322-80821-9_10]
- Kwartler, T. (2017). Text mining in practice with R. Hoboken, NJ: John Wiley & Sons. [https://doi.org/10.1002/9781119282105]
- Lazard, A.J., Scheinfeld, E., Bernhardt, J. M., Wilcox, G. B., & Suran, M. (2015). Detecting themes of public concern: A text mining analysis of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s Ebola live Twitter chat.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3(10), 1109-1111. [https://doi.org/10.1016/j.ajic.2015.05.025]
- Lazard, A.J. et al. (2016). E-cigarette social media messages: A text mining analysis of marketing and consumer conversations on Twitter. JMIR Public Health and Surveillance, 2(2), e171. [https://doi.org/10.2196/publichealth.6551]
- Meraz, S. (2011). Using time series analysis to measure intermedia agenda-setting influence in traditional media and political blog network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8(1), 176-194. [https://doi.org/10.1177/107769901108800110]
- Price, V., Nir, L., & Cappella, J. N. (2005). Framing public discussion of gay civil unions. Public Opinion Quarterly, 69(2), 179–212. [https://doi.org/10.1093/poq/nfi014]
- Reese, S. D. (2010). Finding frames in a web of culture. The case of the war on terror. In P. D'Angelo & J. A. Kuypers (Eds.), Doing news framing analysis: Empir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pp. 17-42). New York, NY: Routledge.
- Scheufele, A. (1999). Framing as a theory of media effects. Journal of Communication, 49(1), 103-122.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9.tb02784.x]
- Schultz, F., Kleinnijenhuis, J., Oegema, D., Utz, S., & van Atteveldt, W. (2012). Strategic framing in the BP crisis: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associative frames. Public Relations Review, 38(1), 97-107. [https://doi.org/10.1016/j.pubrev.2011.08.003]
- Shim, J., Park, C., & Wilding, M. (2015). Identifying policy frame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n examination of nuclear energy policy across six countries. Policy Sciences, 48(1), 51-83. [https://doi.org/10.1007/s11077-015-9211-3]
- Snow, D. A., & Benford, R. D. (1988). Ideology, frame resonance, and participant mobilization. International Social Movement Research, 1(1), 197-217.
- Tenenboim, O., & Cohen, A. A. (2015). What prompts users to click and comment: A longitudinal study of online news. Journalism, 16(2), 198-217. [https://doi.org/10.1177/1464884913513996]
- Tversky, A., & Kahneman, D. (1986). Rational choice and the framing of decisions. Journal of Business, 59(4), S251-S278. [https://doi.org/10.1086/296365]
- van Atteveldt, W. H. (2008). Semantic network analysis: Techniques for extracting, representing, and querying media content. Retrieved from http://vanatteveldt.com/p/vanatteveldt_semanticnetworkanalysis.pdf
- Zachariadis, T. (2007).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use and economic growth with bivariate models: New evidence from G-7 countries. Energy Economics, 29(6), 1233-1253. [https://doi.org/10.1016/j.eneco.2007.0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