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KSJCS)
[ Articl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5, No. 2, pp.330-369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1
Received 11 Dec 2020 Accepted 22 Mar 2021 Revised 31 Mar 2021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21.65.2.009

청년세대의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 연구 : JTBC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의 공감과 재미 요소를 중심으로

홍경수*** ; 정영희****
***아주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부교수 hongks@ajou.ac.kr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 연구원 yeongsol@hanmail.net
A Study on the Television Drama Reception among the Youth : Focusing on the elements of interest and sympathy in watching JTBC drama <Itaewon Class>
Kyung Soo Hong*** ; Young-Hee Chung****
***Associate Professor, Dept. of Culture & Contents, Ajou University hongks@ajou.ac.kr
****Research Fellow, Research Institute for Information & Culture,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yeongsol@hanmail.net

초록

본 연구는 20대 청년들이 텔레비전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를 어떻게 수용했는지, 재미와 공감 요소는 무엇이었는지를 수용자의 감상문을 통해 분석한 것이다. 감상문은 총 2단계에 걸쳐 수집되었다. 1단계에서는 총 72명의 학생에게 드라마에서 좋았던 점과 싫었던 점을 자유롭게 기술하게 하였다. 이들은 18개의 팀으로 나뉘어 서로 의견을 나눈 뒤에 감상문을 제출하였고, 이들의 공통된 답변은 심도있는 응답을 받기 위한 2단계 분석의 질문으로 활용되었다. 2단계는 1단계 참여자 중에서 2단계 참여 의사를 적극적으로 밝힌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총 21명). 분석 결과, 청년들은 <이태원 클라쓰>를 ① 청년세대를 향한 주제와 메시지의 차별성 ② 연출의 총체성에 대한 호응 ③ 실제 경험과 연결된 감정의 내면화라는 3가지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세대를 향한 주제와 메시지의 차별성’ 측면에서는 <이태원 클라쓰>가 부조리한 기성세대의 인습을 고발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응징하는 성장 서사의 틀을 갖춤에 따라 20대 청년들이 자신의 이야기로 받아들이는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는 보호받지 못한 청년세대의 상실감이 분노라는 감정으로 변하여 응징이라는 서사로 발전되어 나타났다. 또한 청년세대를 향한 응원의 메시지에서, 청년이 기성세대의 체계 안으로 편입되는 대신에 또래의 연대를 통해 창업하고 성공하는 경험을 보면서,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지지와 성원을 경험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소수자 감성과 다양성 옹호라는 특징은 청년세대가 공유하는 공통의 정서인 소수자로서의 감성과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청년들은 드라마의 서사를 단지 판타지로만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지극히 현실적인 관점에서도 해석하면서 실제 현실과 드라마가 만들어낸 환상 사이에서 텍스트의 의미를 찾아내기 위해 줄다리기하고 있었다. 따라서 청년들은 자신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자신의 입장을 담아내는 드라마에 공감하며, 주체적으로 드라마를 수용한다고 할 수 있겠다. ‘드라마 연출의 총체성에 대한 호응’ 측면은 웹툰의 실사화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실사화 거부 정서, 체험 가능한 현실 장소의 활용, OST를 통한 청각적인 상호작용 효과, 청년세대의 소통 미디어 적극 활용 등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응답은 드라마 연출자의 치밀한 수용자 포섭 전략에 수용자들이 기꺼이 응답한 결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수용자들은 드라마의 에피소드를 ‘실제 경험과 연결하여 감정적으로 내면화’하였다. 그 내용은 경험적․정서적 차원의 공감과 감정이입, 현실 경험과 거리감, 세대 안의 공명 반응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20대 수용자들은 청소년기에 경험한 학교폭력과 불공정한 처분, 아르바이트 구직과 노동 과정에서의 ‘갑질’이라는 실제 경험이 떠올라서 공감할 수 있었으며, 일부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현실 경험과 차이가 있어서 수용하기 어렵다고도 했다. 친구의 추천으로 드라마와 웹툰을 접하면서 ‘우리 세대의 문화’를 서로 확인하는 과정에서는 청년세대 안에서 발생한 텍스트에 대한 공명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자들은 세 가지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청년들의 현실적 위치와 문화적 감수성에 기초한 그들만의 드라마 수용방식, 즉 청년들은 드라마를 단지 허구의 판타지로서가 아니라 자신의 삶과 면밀하게 대조하여 참조하는 텍스트로서 수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드라마의 웹툰 원작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현실과 두 텍스트간의 긴장 속에서 웹툰의 자율성이 점점 커져가는 쪽에 수용자들이 판정승을 선언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태원 클라쓰>는 원작자가 드라마 대본을 썼기 때문에 내용면에서 원작과의 차이가 적었고, 이 점이 드라마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원본에 더 큰 권위를 부여해온 수용자의 인식이 증가하여 원작의 경전화 경향은 커져갈 것이고, 그에 따라서 드라마 제작에서 원작의 여러 요소들이 더 활발하게 영상적으로 전환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은 드라마 제작에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의 활용을 염두에 둔 복합화 전략이 본격적으로 구사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how Korean youth in their twenties consumed the JTBC drama <Itaewon Class>, by analyzing the elements of interest and sympathy activated in the participants’ reviews of the drama. We found that Korean youth sympathized with the drama by ① the themes and messages that are tailored to the youth ② the totality of drama directing, and ③ the internalization of emotions connected to actual experiences. In terms of the themes and messages tailored to the youth, the drama goes beyond accusing the conventions of the older generations, embracing the framework of growth narrative punishing the establishment. It seems that the sense of loss felt by the precarity of the younger generation has developed into an emotion of 'anger,' and, in turn, has developed into a narrative of 'revenge'. As for support for the younger generation, it was understood that they experienced the support of 'we can do it' message, while watching the experiences of success through the solidarity with the peers instead of being incorporated into the old system. Sympathy towards the minority sentiment and diversity advocacy seems to be linked to that shared by the younger generation as a minority social group. The young people not only accepted the narrative of a drama, which seems to be a kind of fantasy, but also, engaged in a tug-of-war to decode the meaning of the texts between the real reality and the fantasy created by the dram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young people sympathized with the drama based on their current positions and accepted the drama independently. As for the totality of drama directing, opposite opinions about the dramatization of the webtoon, the use of real-world places that can be experienced, the effect of audible interaction through the OST, and the active use of communication media were meaningful elements for the youth. The participants internalized the content emotionally by linking the episodes of the drama with their own real experiences, summarized as empirical and emotional levels of empathy, feeling of distance from real experiences and resonance reactions within the generation. The position of webtoons in Korean popular culture is ever growing, and the tendency to turn webtoons into drama productions will only increase. It was found that young people are accepting dramas not just as fictional fantasy, but as texts that are closely compared with their daily lives. Drama producers also employ a complex strategy using various media platforms. As such, we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plexity of the platfor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negotiations and interpretations rather than to focus on the television drama text itself.

Keywords:

TV drama, audience analysis, young generation, webtoon drama, totality strategy

키워드: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 분석, 청년 세대, 웹툰 원작 드라마, 복합화 전략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0학년도 아주대학교 정착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음.

본 연구를 위해 자신의 경험을 공유해준 연구참가자 학생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References

  • An, H.C.(2020.12.30.). KakaoPage. Daum Webtoon 20 million webtoons instead of 10 million movies. Electronic Times. Retrieved 1/17/21 from https://www.etnews.com/20201230000016
  • Ang, I.(1985). WATCHING DALLAS: Soap Opera and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London: Routledge.
  • Baek, J.J.(2018). Societal phenomenon of 'single-person household', media representations and cultural implications : a study on <Drinking Solo> with semiotic and discourse analysis.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 Chung, Y.-H.(2007). A Study on the Audience's Realistic Sympathy and Pleasure in the Television Drama 〈My Name Is Kim Sam-So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1(4), 32-57.
  • Chung, Y.-H.(2020). A Study on Motherhood Fantasy in Television Dramas : Analyzing a KBS2 drama, 'When Camellia Bloom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64(4), 132-166. [https://doi.org/10.20879/kjjcs.2020.64.4.004]
  • Chung, Y.-H. & Jang, E.-M.(2015). Shaky Gender, the Changing World:Focusing on Drama Misaeng. Media, Gender & Culture, 30(3), 153-184.
  • GOODDATA Corp.(2020). Online TV Audience Ratings. Retrieved 10/16/20 from https://m.post.naver.com/cherrypk1
  • Ha, J.G.(2020. 12. 29). [Ha Jae-geun's tweezers to collect culture] Lim Young-woong and Trotman… Keywords for this year. Digital Times. Retrieved 1/17/21 from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0123002102269660002
  • Han, H.J.,&Shin,J.A.(2019). Representations of Chosun-jok in Korean TV Dramas and Chosun-jok’s Reception of the Representations.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18(1), 227-262.
  • Hong, J.(2010). The Pleasure of Watching TV Drama <You’re Minam> in the Perspective of Romance Comic Sensibility.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9(1), 255-296.
  • Hong, K.S.(2019).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ching dialectic dominant television drama to the emotion, recognition & action of regional youth : in-depth interview with the viewer of tvN drama <Top Star Yubegi>.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9), 366-375.
  • Hwang, S.Y.(2020. 3. 12). At the center of the popularity of <Itaewon Class> is "4050 Men." The Daily Sports. Retrieved 10/16/20 from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3728188
  • Im, J.(2010). The Births and Experiences of Audiences : Reader, Listener, Viewer.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47(1), 77-120. [https://doi.org/10.22174/jcr.2010.47.1.77]
  • Im, Y.-H., Kang,J.-H. & Lee D.-H. (2012). North-Korean Immigrant Women’s Reception of Gender Issues in Korean Television Drama. Media, Gender & Culture, 23, 143-176.
  • Jeon, S.H.(2020. 3, 12). Why is 2030 fanatical about ‘Itaewon Class’. The PR. Retrieved 10/16/20 from http://www.the-p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363
  • Joo, C.Y.(1998). The Interpretative Positions of the Television Drama Audienc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2(4), 163-199.
  • Jung, D.H.(2020. 11. 14). Synergy of 'Drama x Webtoon' as 《Itaewon Class》. Sisajouranl, No. 1622. Retrieved 11/17/20 from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95542
  • Jung, S.W.(2020. 10. 28). The face of youth depicted by <Itaewon Class> and Record Of Youth. GQ. Retrieved 1/17/21 from http://www.gqkorea.co.kr/2020/10/28/%ec%99%80-%ec%9d%b4-%ea%b7%b8%eb%a0%a4%eb%82%b8-%ec%b2%ad%ec%b6%98%ec%9d%98-%ec%96%bc%ea%b5%b4/?utm_source=naver&utm_medium=partnership
  • Kim, E.-Y.(2017). The Contents’ Remediation, Traversing Reality and Fantasy – A Study Case on <Misaen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61(1), 147-174. [https://doi.org/10.20879/kjjcs.2017.61.1.005]
  • Kim, J.(2012). A Study on Audience's Interpretation of Drama <Life is Beautiful>. Journal of Media Economics & Culture, 10(1), 86-123.
  • Kim, J.-H.(2018). A study on gender expression aspect shown in TV drama <Age of Youth> serie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 Kim, M.(2015). A Case Study of Cross-Media Storytelling : Remediation of Webtoon <Misaeng> to Drama Series <Misaeng>. Journal of Korea Content Association, 15(8), 130-140.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130]
  • Kim, M.H.(2006). Female Audiences' Reading of the Drama 〈My Lovely Samsoon> and Their Related Everyday Practice.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6(2), 76-112.
  • Kim, S.(2010). Audience studies’ decoding model and a reappraisal of John Fiske : Towards a critical reflection on Korean audience studies and open debates. Media & Society, 18 (1), 2-46.
  • Kim, S.Y.(2020. 9. 25). [Kim Sun young's drama-topia] "Today's Faces" in the youth drama. The Kyunghyang Shinmun. Retrieved 1/17/21 fr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9250300005&code=990100
  • Kim, Y.I.(2017). The feature and the meaning in genre dramas/films by the korean youth·employment generation.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 Kim,S.-N., Won,Y.-J.,&Jung,H.-W.(2005). A Study on Viewers' Perceptions of TV Drama : The case of <a Mermaid>.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5(2), 60-104.
  • Ko, K.S.(2020. 3. 13). "Challenging Youth" … ‘Itaewon class’, which stole viewers' hearts. The Hankook Ilbo. Retrieved 11/19/20 from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3121614067955
  • Lee, J.S.(2014). The Relation between Law Enactment and Revision, and the Boss-Subordinate Relationship and Rising Generation's Problem Reflected by TV Dramas and Webtoons. Cineforum, 18, 309-343.
  • Lee, O.-H.(2002a). Audiences′ agency over media text and its limitations : Focusing on Can’t Take My Eye Off You.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6-4, 206-245.
  • Lee, O.-H.(2002b). A Television Drama Audience Research : Focusing on the Function of Polysem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46- 6, 96-126.
  • Ministry of Education(2019. 8. 26). <Press release - The first presentation of the results of the school violence survey in 2019>. Retrieved 12/3/20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 boardID=294&boardSeq=78346&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 Modleski, T.(1982). Loving with a Vengeance: Mass Produced Fantasies for Women. London: Methuen.
  • Na, E.H.(2015). Narrative, myth and meaning structure of drama 〈Mi-Sang〉, an incompleted life : a semiotic analysis on the drama 〈Mi-Sang〉.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 Na, M.(2005). A Critical Review on Ethnographic Audience Studies. Communication Theories, 1(2), 68-105.
  • Park, C.J.(2016). Younger generation's meaning-making and interpretive position on labor : focused on TV drama <Misaeng>.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 Park, J.K.(2007). Reading Patterns for Media Text with Religious Symbolism : Diverse Responses to TV Serial "Wang-kkot Seon-nyeo-nim".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1(6), 381-410.
  • Park, M.J.(1991). Pleasure, resistance, ideology. Social Science and Policy Research, 13(2), 67-95.
  • Park, M.J.(1992). A Study on the Pluralistic Function of Pleasure Produced by TV Drama. Seoul: Foundation for Broadcast Culture.
  • Ryu, S.Y.(2020. 8. 31). Be fascinated by 'unnice' characters. LE MONDE. diplomatique. Retrieved 12/10/20 from http://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70
  • Seo, Y.-J.(2019). Aspects of emotional customs by the N-po generation.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25(1), 55-85. [https://doi.org/10.18856/jpn.2019.25.1.002]
  • Song, A.H.(2018). Young generation, media representation and its correlations : a semiotic and discourse analyses on <Because This is My First Life> of tvN.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 Song, A.-H. & Baek, S.G.(2018). Young Generation, Media Representation and Its Implications : a semiotic and discourse analyses on <Because This is My First Life> of tvN.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1), 146-160.
  • Wikimedia Foundation, Inc.(n. d.). First Love (Television drama in 1996). Retrieved 10/16/20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B2%AB%EC%82%AC%EB%9E%91_(1996%EB%85%84_%EB%93%9C%EB%9D%BC%EB%A7%88, )
  • Wikimedia Foundation, Inc.(n. d.). Gaslighting. Retrieved 20/3/21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C%8A%A4%EB%9D%BC%EC%9D%B4%ED%8C%85
  • Yang, J.-H.(2002). Limitations of Reflexive TV Viewing : An Audience Study of Korean History Drama.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6(1), 268-299.
  • Yang, S.-G.(2016).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Mechanism of Words and Image in Dramas: Focused on Misaeng (2014). a Television Drama. Journal of humanities, 73(2), 13-37. [https://doi.org/10.17326/jhsnu.73.2.201605.13]

Appendix

부록

  • 고경석(2020. 3. 13). “도전하는 청춘” ⋯ 시청자들 마음 훔친 ‘이태원 클라쓰’. <한국일보>. Retrieved 11/19/20 from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3121614067955
  • 교육부(2019. 8. 26). <보도자료 - 2019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Retrieved 12/3/20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78346&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 굿데이터코퍼레이션(2020). TV화제성 지수. Retrieved 10/16/20 from https://m.post.naver.com/cherrypk1
  • 김명혜(2006).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여성 수용자의 해독과 일상적 실천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6권 2호, 76-112.
  • 김미라(2015).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례 연구 : 웹툰 <미생>의 드라마 <미생>으로의 재매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130-140.
  • 김선남·원용진·정현욱(2005). 드라마 <인어 아가씨> 시청자의 해독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권 2호, 60-104.
  • 김선영(2020. 9. 25).[김선영의 드라마토피아]청춘드라마 속 ‘오늘의 얼굴들’. <경향신문>. Retrieved 1/17/21 fr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9250300005&code=990100
  • 김수정(2010). 수용자연구의 해독모델과 존 피스크에 대한 재평가: 수용자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열린 논쟁을 위하여. <언론과 사회>, 18 (1), 2-46.
  • 김영인(2017). <청년·취업세대 드라마의 장르적 성격과 그 의미 : 드라마 <미생>·<송곳>, 영화 <10분>·<오피스>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영(2017). 현실과 환상을 가로지르는 콘텐츠의 재매개화 : <미생>의 재매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61권 1호, 147-174.
  • 김정선(2012). SBS 주말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에 대한 수용자 해독 연구. <미디어경제와 문화>, 제10권 1호, 86-123.
  • 김지현(2018). <TV드라마 <청춘시대> 시리즈에 나타난 젠더 표현 양상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나미수(2005).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국내 연구사례에 대한 분석과 평가. <커뮤니케이션 이론>, 1권 2호, 68-105.
  • 나은희(2015). <드라마 〈미생〉의 서사, 신화 및 의미구조>.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류수연(2020. 8. 31). ‘착하지 않은’주인공에 매료되다. <르몽드디플로마티크>. Retrieved 12/10/20 from http://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70
  • 박명진(1991). 즐거움(pleasure), 저항, 이데올로기.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13권 2호, 67-95.
  • 박명진(1992). <TV드라마가 생산하는 ‘즐거움(PLEASURE)’의 다원적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 방송문화진흥회.
  • 박진규(2007). 미디어 텍스트 속 종교상징에 대한 해독 연구 : 일일드라마 <왕꽃선녀님>에 대한 다중적 반응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6호, 381-410.
  • 박찬주(2016). <청년세대의 노동현실에 대한 의미생산과 해석적 위치 : 드라마 〈미생〉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백진주(2018). <1인 가구 사회 현상, 미디어 재현, 문화적 의미 : TV 드라마 <혼술남녀>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과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연주(2019). N포세대의 감정 풍속도. <대중서사연구>, 25(1), 55-85.
  • 송아현(2018). <청년세대와 미디어 재현의 상관성 연구 : TV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에 대한 기호학·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아현·백선기(2018).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청년세대의 현실과 위기: TV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에 대한 기호학·담론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1), 146-160.
  • 안호천(2020.12.30.) 카카오페이지, 다음웹툰 1000만 영화 대신 2000만 웹툰. <전자신문>. Retrieved 1/17/21 from https://www.etnews.com/20201230000016
  • 양승국(2016). 드라마에서 언어와 이미지의 구조와 작동원리 : 텔레비전드라마「미생」(2014)을 중심으로. <人文論叢>, 제73권 제2호, 13-37.
  • 양정혜(2002). 성찰적 TV수용의 한계: 남녀 집단간의 여인천하 해독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6권 1호, 268-299.
  • 이오현(2002a).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힘과 그 한계 : 일일드라마 <보고 또 보고>의 사례분석.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6-4호, 206-245.
  • 이오현(2002b).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연구 : 다의성(polysemy)의 문제를 중심으로. <韓國言論學報>, 제46- 6호, 96-126.
  • 이종승(2014). TV드라마·웹툰에서 반영된 갑을관계/청년세대 문제와 법제(개)정의 관계. <씨네포럼>, 통권 제18호, 309-343.
  • 임영호·강주현·이동희(2012). 새터민 여성들의 드라마 시청과 젠더 담론 수용. <미디어, 젠더&문화>, 23호, 143-176.
  • 임종수(2010). 수용자의 탄생과 경험: 독자, 청취자, 시청자. <언론정보연구>, 47권 1호, 77-120.
  • 전승현(2020. 3, 12). 2030은 왜 ‘이태원클라쓰’에 열광할까. <THEPR>. Retrieved 10/16/20 from http://www.the-p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363
  • 정덕현(2020. 11. 14). 《이태원 클라쓰》로 보는 ‘드라마x웹툰’의 시너지. <시사저널>, 1622호. Retrieved 11/17/20 from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95542
  • 정시우(2020. 10. 28). 이태원 클라쓰와 청춘기록이 그려낸 청춘의 얼굴. <GQ>. Retrieved 1/17/21 from http://www.gqkorea.co.kr/2020/10/28/%ec%99%80-%ec%9d%b4-%, ea%b7%b8%eb%a0%a4%eb%82%b8-%ec%b2%ad%ec%b6%98%ec%9d%98-%ec%96%bc%ea%b5%b4/?utm_source=naver&utm_medium=partnership
  • 정영희(2007). <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수용자의 현실적 공감과 즐거움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4호, 32-57.
  • 정영희(2020). 텔레비전 드라마 속 모성 판타지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KBS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4권 4호, 132-166.
  • 정영희·장은미(2015). 흔들리는 젠더, 변화 중인 세상 : 드라마 <미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30권 3호, 153-184.
  • 주창윤(1998). 텔레비전 드라마의 해석적 위치. <한국언론학보>, 42권 4호, 163-199.
  • 하재근(2020. 12. 29). [하재근의 족집게로 문화집기] 임영웅, 트롯맨⋯ 올해 키워드들. <디지털 타임즈>. Retrieved 1/17/21 from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0123002102269660002
  • 한희정·신정아(2019). 한국 드라마의 조선족 재현에 대한 재한 조선족의 수용과 인식. <한국소통학보>, 제18권 제1호, 227-262.
  • 홍경수(2019). 드라마의 주된 언어 사용이 지역출신 청년의 감정, 인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vN 드라마 <톱스타 유백이> 수용자 심층인터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366-375.
  • 홍지아(2010). 순정만화적 감수성을 통한 즐거움의 체험 : 드라마 <미남이시네요>의 시청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24 3호, 255-296.
  • 황소영(2020. 3. 12). ‘이태원 클라쓰’ 인기 중심엔 ‘4050 남성’이 있다. <일간스포츠>. Retrieved 10/16/20 from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3728188
  • Ang, I.(1985). WATCHING DALLAS: Soap Opera and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London: Routledge. 박지훈 (역)(2018). <댈러스 보기의 즐거움>. 파주: 나남.
  • Modleski, T. (1982). Loving with a Vengeance: Mass Produced Fantasies for Women. London: Methuen.
  • Wikimedia Foundation, Inc.(n. d.). 첫사랑 (1996년 드라마). Retrieved 10/16/20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B2%AB%EC%82%AC%EB%9E%91_(1996%EB%85%84_%EB%93%9C%EB%9D%BC%EB%A7%88, )
  • Wikimedia Foundation, Inc.(n. d.). 가스라이팅. Retrieved 20/3/21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C%8A%A4%EB%9D%BC%EC%9D%B4%ED%8C%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