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KSJCS)
[ Articl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6, No. 5, pp.5-56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2
Received 10 Jun 2022 Revised 01 Aug 2022 Accepted 20 Aug 2022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22.66.5.001

커뮤니케이션을 소비하는 팬덤 : 아이돌 팬 플랫폼과 팬덤의 재구성

강신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playborer@gmail.com
The Fans who Consume ‘Communication’ : The Idol Fan Platform and Reorganization of Fandom
Shin-kyu Kang*
*Research Fellow, Media & Advertising Research Institute, Korea Broadcasting Advertising Corp. playborer@gmail.com

초록

아이돌 팬 플랫폼이 팬덤의 풍경을 바꾸고 있다. 포털 사이트의 카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커뮤니티 사이트 갤러리/게시판 등을 통해 자생적으로 운영돼왔던 무료 팬 커뮤니티는, 이제 산업자본이 만든 유료 기반 플랫폼에 흡수된다. 팬 모집 · 관리부터, 공지사항 전달, 자체 콘텐츠 유통, 온 · 오프라인 굿즈 판매 및 이벤트 예매, 그리고 팬과 팬 간 커뮤니케이션에 이르기까지 팬 활동 전반이 팬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다른 무엇보다 팬 플랫폼의 강력함은, 아이돌과 팬이 직접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는 데서 비롯된다. 그로 인해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들)을 구독하고, 자유롭게 댓/글이나 프라이빗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아이돌의 환상을 가르고 나오는 친밀감이 팬들에게 셀링 포인트가 되고, 아이돌 - 팬 간 관계는 전에 없이 가까워지는 듯 보인다. 아이돌과 팬이 커뮤니케이션하는 채널과 방식이 바뀐다는 것은, 팬이 아이돌을 대하는 지각과 감각, 그리고 아이돌/콘텐츠의 의미를 구성하고 대하는 방식이 이전과는 다른 것이 됨을 말한다. 팬 플랫폼이 팬 활동의 주된 무대가 되고 팬 플랫폼 없는 팬덤을 상상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돌 - 팬 간 커뮤니케이션에 주목해 새로운 팬덤의 양상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팬 플랫폼(위버스, 유니버스, 리슨) 이용자 1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다. 인터뷰를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면서도 콘텍스트적 연구를 지향함으로써, (수용에 중점을 두지만) 팬 플랫폼이 야기하는 팬덤 변화의 안과 밖을 종합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팬덤 관련이론이 팬 플랫폼과 그로 인한 팬덤 변화를 분석하기에 적절하지 않거나 제한적임을 지적하고, 새로운 분석틀인 ‘커뮤니케이션 소비론’을 동원한다. 최근의 대중문화에서 어떤 텍스트들이 수용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 창작되고 소비되는 흐름을 포착하여, 팬 플랫폼과 팬덤을 함께 설명하기에 적절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다만 보다 입체적인 분석을 위해 여러 학자들에 의해 고안된 개념들, 그리고 다른 자료들을 통해 제시된 관련논의도 함께 활용한다. 둘째, 팬 플랫폼과 그 수용이 보이는 여러 양상들을 드러내고, 그것들이 아이돌 산업과 팬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팬들은 그것을 어떻게 이해하고 의미를 만들어내는지 짚어본다. 셋째, 앞선 과정들을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소비로서 팬덤이 갖는 의미를 논의한다.

Abstract

The idol fan platform is changing the scenery of fandom. Free fan communities, which have been operated spontaneously through portal sites’ cafes, social network services, and community site galleries/boards, have now been absorbed by pay-based platforms created by industrial capital. From fan recruitment and management, announcement delivery, original content distribution, online and offline goods sales and event reservations, and communication among fans, are carried out through the fan platform. But above all else, the power of the fan platform comes from providing a completely new way for idols and fans to communicate directly. As a result, fans subscribe to their favorite idol(s) and freely exchange comments or private messages. The intimacy that separates the idol’s fantasy becomes a selling point for fans, and the idol-fan relationship seems to be getting closer than ever. The change in the channel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idols and fans means that the perception and sense of how fans treat idols and the way they compose the meaning of idols/content are different from before. In the context of fan platforms becoming the main stage of fan activities making it difficult to imagine fandom without fan plat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y attention to idol-fan communication to reveal the aspect and meaning of new fandom.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users of fan platforms (Weverse, Universe, and Lysn). The composition of the article is as follows. First, while pointing out that the existing fandom theory is not appropriate and limited in analyzing fan platforms and the resulting fandom changes, it mobilizes a new analysis framework of the ‘communication consumption’ concept. Second, this article reveals the fan platform and the various aspects of its acceptance, and how they affect the idol industry and fans, and how fans understand it and create meaning. Third, based on the previous processes, the meaning of fandom as communication consumption is discussed.

Keywords:

Idol, Fandom, Fan Platform, Communication Consumption

키워드:

아이돌, 팬덤, 팬 플랫폼, 커뮤니케이션 소비

References

  • Bae, J. (2022, April 12). K-pop fan platform took generation Z from Naver... “Fan Playground” K-pop fan platform. The JoongAng. Retrieved from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62629
  • Bae, Y. (2022, March 2). CJ led by ‘K-Culture’ launches fandom platform beyond ‘BTS’ Hybe.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from https://www.mk.co.kr/news/it/view/2022/03/196970, /
  • Birch, K., & Muniesa, F. (2020). Assetization: Turning things into assets in technoscientific capitalism. Cambridge, MA: The MIT Press. [https://doi.org/10.7551/mitpress/12075.001.0001]
  • Caillois, R. (1967). Les Jeux et les hommes: Le masque et le vertige. Paris: Gullimard.
  • Cavicchi, D. (1998). Tramps like us: Music and meaning among springsteen fan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Chandler, D. (2002). Semiotics for beginners. Aberystwyth: University of Wales.
  • Duffett, M. (2013). Understanding fandom: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edia fan culture. New York, NY: Bloomsbury Publishing USA. [https://doi.org/10.5040/9781501388354]
  • Fiske, J. (1992). The cultural economy of fandom. In L. A. Lewis (Ed.), The Adoring audience: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pp. 30-49). Milton Park: Routledge.
  • Gray, J., & Lotz, A. (2011). Television studies. Cambridge: Polity Press.
  • Grief, M. (2017). Against everything. New York, NY: Vintage.
  • Hills, M. (2002). Fan cultures. London: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0203361337]
  • Hong, J., & Jeong, Y. (2018). The represent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an idol by the idol debut survival program Produce 101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 the Social Sciences42(2), 121-150. [https://doi.org/10.46349/kjhss.2018.06.42.2.121]
  • Huizinga, J. (1955).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Milton Park: Routledge.
  • Jang, J. (2022). The other side of “I’ll always be with you”. In J. Ryu (Eds.), Femidology (pp. 170-196), Seoul: Redsaltbooks.
  • Jang, M. (2018). Gamification of audition programs and media performativity: Focusing on Produce 101 Season 2Media, Gender & Culture33(3), 147-181. [https://doi.org/10.38196/mgc.2018.09.33.3.147]
  • Jenkins, H. (1992). Textual poachers. London: Routledge.
  • Jung, M., & Lee, N. (2009). Fandom managing stars, entertainment industry managing fandom. Media, Gender & Culture12, 191-240.
  • Kang, S. (2018). Study on the gamification of television broadcas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 Kang, S. (2020). LAN cable culture as communication consumption: Reading vlogs and extending the ‘connection’ concept.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34(6), 11-55.
  • Kang, S., & Lee, J. H. (2019). Between producing and consuming, playing and laboring: Reconstruction of <Produce 48> and fandom.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3(5), 269-315.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5.008]
  • Kim, C. (2010).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Seoul: Hannareh.
  • Kim, D. (2022, February 13). The Korean Wave that doesn't cool down. A lot of money will be poured into “fandom platform”. Sedaily. Retrieved from https://www.sedaily.com/NewsView/2624KOWDWW
  • Kim, H., & Won, Y. (2002). Fandom evolution and the politic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6(2), 253-278.
  • Kim, H., & Yoon, T. (2012). How the idol system in Korean pop culture works: An explorative study on the dual structure of production/consumption of idol culture. Broadcasting & Communication13(4), 45-82.
  • Kim, S.-J. (2018) When fandom meets feminism: Issues and achievements of fandom studies from a feminism perspective.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55(3), 47-86. [https://doi.org/10.22174/jcr.2018.55.3.47]
  • Kim, S.-J., & Kim, S.-A. (2015). From interpretation paradigm to performance paradigm: Tendencies and pssues of media fandom studi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29(4), 33-81.
  • Kim, S. M. (2016). Culture and technology of digital self-recording. Seoul: Communicationbooks.
  • Kim, S. M. (2017, August 4). Platform capitalism: A new ‘planning’ of life and labor. Workers. Retrieved from http://workers-zine.net/27331
  • Kim, S. Y. (2016). Fanatics: Reading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popular culture. Gyeonggi: Bookinthegap.
  • Kim, Y., & Lee, K. (2003). Field report on the cultural practice of the <Do as you want> abandoned people. Program/Text, 9, 167-201.
  • Ko, G. (1998). The politics of minority cultures. Seoul: Munhwagwahaksa.
  • Kücklich, J. (2005, January). Precarious playbour: Modders and the digital games industry. Fibreculture, 5. Retrieved from http://journal.fibreculture.org/issue5/kucklich_print.html
  • Lazzarato, M. (2004). La politica dell’evento. Soveria Mannelli: Rubbettino.
  • Lee, G. (2017). Critical drawing on ‘Platform Capitalism’ as the end of capitalism. Culture/Science, 92, 18-47.
  • Lee, G. (2020). The betrayal of ‘Digital’: Platform capitalism and the temptation of technology. Seoul: Inmulgwasasangsa.
  • Lee, M. (2022, March 25). “Fandom Platform” is the new growth engine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Magazine Hankyung. Retrieved from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203168773b
  • Lyotard, J. 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 Rapport sur le savoir. Paris: Les Éditions de Minuit.
  • Malpas, S. (2002). Jean Francois Lyotard. New York, NY: Routledge.
  • Park, D. (1999). Massmedia and audience. Seoul: Communicationbooks
  • Shin, Y. (2018) Idol fandom 3.0. study: The ‘nurturing’ type fandom of the participation model centered on the ‘WANNA ONE’ fand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 Shin. Y. (2022). Fandom after COVID-19. In J. Ryu et al. (Eds.), Femidology (pp. 300-329), Seoul: Redsaltbooks.
  • Steyerl, H., Aranda, J., Wood, B. K., Squibb, S., & Vidokle, A. (2017). Strange universalism (Editorial). e-Flux Journal, 86. Retrieved from https://www.e-flux.com/journal/86/162860/editorial-strange-universalism, /
  • Stitch (2021, July 31). K-Pop’s fandom platforms are changing what it means to be an idol: Digital fan clubs are turning into single-purpose social networks. The Verge. Retrieved from https://www.theverge.com/22589460/kpop-fan-cafe-weverse-universe-lysn-bts-idol-fandom-group
  • Weglarz, G. (2004). Two worlds of data unstructured and structured. DM Review, 14(9). Retrieved from http://www.dmreview.com/article_sub_articleId_1009161.html
  • Won, Y. (2010). Newly written paradigm of popular culture. Seoul: Hannareh.
  • Won, Y., & Park, S. (2021). Mega platform Naver: The growth and shade of the Korean internet industry. Seoul: Culturelook.
  • 前島賢 (2014). セカイ系とは何か. 東京: 星海社.
  • 佐々木敦 (2009). ニッポンの思想. 東京: 講談社.
  • 齊藤環 (2014). キャラクタ-精神分析 - マンガ · 文學 · 日本人. 東京: 筑摩書房.
  • 四方田犬彦 (2006). かわいい論. 東京: 筑摩書房.
  • 東浩紀 (2001). 動物化するポストモダン: オタクから見た日本社会. 東京: 講談社.
  • 東浩紀 (2007). ゲーム的リアリズムの誕生: 動物化するポストモダン 2. 東京: 講談社.
  • 大塚英志 (2005). 「ジャパニメーション」はなぜ敗れるか. 東京: 角川書店.
  • 大塚英志 (2016). 感情化する社會. 東京: 太田出版.
  • 宇野常寛 (2018). 若い讀者のためのサブカルチャ-論講義錄. 東京: 朝日新聞出版
  • 井上明人 (2012). Gamification. 東京: NHK出版.
  • ‘Lysn’ hompage (http://www.lysn.com).
  • ‘Universe’ hompage (https://universe-official.io, ).
  • ‘Weverse’ hompage (https://www.weverse.io, ).
  • ‘Lysn’ application.
  • ‘Universe’ application.
  • ‘Weverse’ application.

Appendix

부록

  • 강신규 (2018). <방송의 게임화 연구>.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 논문.
  • 강신규 (2020). 커뮤니케이션 소비로서의 랜선문화: 브이로그 수용과 ‘연결’ 개념의 확장. <한국방송학보>, 34권 6호, 11-55.
  • 강신규 · 이준형 (2019). 생산과 소비 사이, 놀이와 노동 사이: <프로듀스 48>과 팬덤의 재구성. <한국언론학보>, 63권 5호, 269-315.
  • 고길섶 (1998). <소수문화들의 정치학>. 서울: 문화과학사.
  • 김상민 (2016). <디지털 자기기록의 문화와 기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상민 (2017, 8, 4). 플랫폼 자본주의: 삶과 노동의 새로운 ‘판’을 짜는 방식. <워커스>. Retrieved from http://workers-zine.net/27331
  • 김수정 (2018). 팬덤과 페미니즘의 조우. <언론정보연구>, 55권 3호, 47-86.
  • 김수정 · 김수아 (2015). 해독 패러다임을 넘어 수행 패러다임으로: 팬덤 연구의 현황과 쟁점. <한국방송학보>, 29권 4호, 33-81.
  • 김영찬 · 이기형 (2003). <네 멋대로 해라> 폐인들의 문화적 실천에 관한 현장 보고서. <프로그램/텍스트>, 9호, 167-201.
  • 김창남 (2010).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나래.
  • 김현정 · 원용진 (2002). 팬덤 진화 그리고 그 정치성. <한국언론학보>, 46권 2호, 253-278.
  • 김호영 · 윤태진 (2012). 한국 대중문화의 아이돌(idol) 시스템 작동방식. <방송과커뮤니케이션>, 13권 4호, 45-81.
  • 박동숙 (1999). <매스미디어와 수용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배윤경 (2022, 3, 2). ‘K-컬처’ 이끄는 CJ, ‘BTS’ 하이브 뛰어 넘는 팬덤 플랫폼 시동. <매일경제>. Retrieved from https://www.mk.co.kr/news/it/view/2022/03/196970, /
  • 배정원 (2022, 4, 12). 네이버서 Z세대 뺏어왔다… ‘덕질 놀이터’ K팝 팬플랫폼. <중앙일보>. Retrieved from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62629
  • 신윤희 (2018). <아이돌 팬덤 3.0. 연구: ‘참여’ 모델의 ‘양육’형 팬덤, ‘워너원(WANNER·ONE)’ 팬덤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 신윤희 (2022). 코로나19 이후의 팬덤. 류진희 등 (편), <페미돌로지> (300-329쪽). 서울: 빨간소금.
  • 원용진 (2010). <새로 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서울: 한나래.
  • 원용진 · 박서연 (2021). <메가플랫폼 네이버: 한국 인터넷 산업의 성장과 그늘>. 서울: 컬처룩.
  • 이광석 (2017). 자본주의 종착역으로서 ‘플랫폼 자본주의’에 관한 비판적 소묘. <문화과학>, 92호, 18-47.
  • 이광석 (2020). <디지털의 배신: 플랫폼 자본주의와 테크놀로지의 유혹>. 서울: 인물과사상사.
  • 이명지 (2022). 비대면이 낳은 엔터계 신성장 동력 ‘팬덤 플랫폼’. <매거진한경>. Retrieved from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203168773b
  • 장민지 (2018). 오디션 프로그램의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과 미디어 수행성: <프로듀스 101 시즌 2>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33권 3호, 147-181.
  • 장지현 (2022). “항상 함께할 거예요”의 이면. 류진희 등 (편), <페미돌로지> (170-196쪽). 서울: 빨간소금.
  • 정민우 · 이나영 (2009). 스타를 관리하는 팬덤, 팬덤을 관리하는 산업. <미디어, 젠더 & 문화>, 12권, 191-240.
  • 홍지아 · 정윤정 (2018). 리얼리티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이 재현하는 아이돌 되기의 자격. <현상과인식>, 42권 2호, 121-150.
  • 마에지마 사토시(前島賢) (2014). セカイ系とは何か. 김현아 · 주재명 (역) (2016). <세카이계란 무엇인가>. 워크라이프.
  • 사사키 아쓰시(佐々木敦) (2009). ニッポンの思想. 송태욱 (역) (2010). <현대 일본사상>. 서울: 을유문화사.
  • 사이토 타마키(齊藤環) (2014). キャラクタ-精神分析 - マンガ · 文學 · 日本人. 이정민 (역) (2021). <캐릭터의 정신분석: 만화 · 문학 · 일본인>. 성남: 에디투스.
  • 아즈마 히로키(東浩紀) (2001). 動物化するポストモダン: オタクから見た日本社会. 이은미 (역) (2007).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오타쿠에서 본 일본 사회>. 파주: 문학동네.
  • 아즈마 히로키(東浩紀) (2007). ゲーム的リアリズムの誕生: 動物化するポストモダン 2. 장이지 (역) (2012).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2>. 서울: 현실문화연구.
  • 오쓰카 에이지(大塚英志) (2016). 感情化する社會. 선정우 (역) (2020). <감정화하는 사회>. 서울: 리시올.
  • 요모타 이누히코(四方田犬彦) (2006). かわいい論. 장영권 (역) (2013). <가와이이 제국 일본: 세계를 제패한 일본 ‘귀요미’ 미학의 이데올로기>. 서울: 펜타그램.
  • 우노 츠네히로(宇野常寛) (2018). 若い讀者のためのサブカルチャ-論講義錄. 주재명 · 김현아 (역) (2018). <젊은 독자들을 위한 서브컬처론 강의록>. 서울: 워크라이프.
  • 이노우에 아키토(井上明人) (2012). Gamification. 이용택 (역) (2012). <게임 경제학>. 서울: 스펙트럼북스.
  • Caillois, R. (1967). Les Jeux et les hommes: Le masque et le vertige. 이상률 (역) (1994). <놀이와 인간: 가면과 현기증>. 서울: 문예출판사.
  • Chandler, D. (2002). Semiotics for beginners. 강인규 (역) (2006). <미디어 기호학>. 서울: 소명출판.
  • Fiske, J. (1992). The cultural economy of fandom: In L. A. Lewis (Ed.), The adoring audience: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pp.30~49). 손병우 (역) (1996). <문화, 일상, 대중: 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187~209쪽). 서울: 한나래.
  • Grief, M. (2017). Against everything. 기영인 (역) (2019). <모든 것에 반대한다>. 서울: 은행나무.
  • Huizinga, J. (1955).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김윤수 (역) (1981). <호모 루덴스>. 서울: 까치.
  • Lazzarato, M. (2004). La politica dell’evento. 이성혁 (역) (2017). <사건의 정치: 재생산을 넘어 발명으로>. 서울: 갈무리.
  • Lyotard, J. F. (1979). La condition postmoderne - Rapport sur le savoir. 이현복 (역) (1992). <포스트모던적 조건: 정보 사회에서의 지식의 위상>. 파주: 서광사.
  • Malpas, S. (2002). Jean Francois Lyotard. 윤동구 (역) (2008).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 포스트모더니즘을 구하라>. 서울: 앨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