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KSJCS)
[ Articl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7, No. 5, pp.46-100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3
Received 14 Apr 2023 Accepted 22 Sep 2023 Revised 04 Oct 2023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23.67.5.002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뉴스 양식 및 품질 연구 : 인스타그램에서의 <인사이트>와 <위키트리>를 중심으로

박채림* ; 윤영민**
*고려대학교 미디어학과 박사수료 chrry345@korea.ac.kr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ymyoon@korea.ac.kr
An Investigation of Format and Quality of Curating Journalism Disseminated on Social Media : Focusing on <Insight> and <Wikitree> on Instagram
Chaerim Park* ; Youngmin Yoon**
*Ph.D. Candidate,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first author chrry345@korea.ac.kr
**Professor,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ymyoon@korea.ac.kr

초록

정보를 선택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형태로 구성하는 큐레이팅 저널리즘(Curating Journalism)은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탄생한 저널리즘이다. 소셜 미디어에서 유통되는 큐레이팅 뉴스는 다른 언론사의 뉴스에 일정한 기획과 재구성을 통해 보다 맥락적이고 균형적인 뉴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저널리즘이 갖고 있는 단순 객관보도와 편협한 정파보도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큐레이팅 뉴스가 기존 주류 언론의 뉴스를 베껴 쓰는 관행과 저작권 문제로 언론의 비판을 받고 있으나, 젊은 층 이용자들은 오히려 가치 있고 믿을 수 있는 뉴스를 충분히 소비하고 있다고 여기는 상황이다. 동시에 큐레이팅 뉴스와 기성 언론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고 큐레이팅 뉴스의 품질을 기준으로 전반적인 주류 언론의 취재와 보도 관행에 대해 비판하며, 나아가 전통 뉴스 미디어가 생산하는 뉴스를 불신하고 외면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결국 큐레이팅 뉴스의 가치가 사회적으로 불투명한 현실 앞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는 상황에서, 큐레이팅 뉴스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문제점과 한계를 검토하여 개선 방향과 대안책을 제안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서 유통되는 큐레이팅 뉴스가 내용적, 형식적 차원에서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공정성과 심층성을 기준으로 큐레이팅 뉴스의 품질 수준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인스타그램에 <인사이트>와 <위키트리>가 게시한 뉴스들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내용적 측면에서 큐레이팅 뉴스는 시의성, 근접성, 흥미성의 뉴스 가치를 중심으로 방송과 연예, 스포츠와 같은 문화 관련 주제를 주로 보도하며, 연성화 경향이 강했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역피라미드 구조와 스트레이트 유형의 뉴스가 가장 많이 보도되었고, 대부분 이미 공개되어 있는 정보를 중심으로 뉴스가 작성되었다. 공정성 측면에서 큐레이팅 뉴스의 전체 취재원 수는 평균적으로 1.22개였고, 취재원 유형으로는 타 언론사 보도 및 방송사 자료가 가장 많았다. 큐레이팅 뉴스의 절반 이상은 완전히 단일 관점에 해당되었으며, 허핀달-허쉬만 지수 측정을 통해 특정 보도의 주제에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층성 측면에서 큐레이팅 뉴스의 분석력은 과정과 결과만을 포함한 채 사안의 원인이나 전망을 제시하지 않았고, 뉴스의 깊이 역시 사건 중심의 과정과 결과만을 보도하는 이벤트 중심의 뉴스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한 익명 취재원보다 투명 취재원이 많이 활용됐지만, 익명 취재원을 사용했을 경우 해당 취재원에 대한 설명이 뉴스에 제공되는 경우가 적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했을 때, 소셜 미디어상의 큐레이팅 뉴스가 연성화되고 흥미 위주의 보도로 이용자들을 자극해 클릭을 유도하는 것은 더 큰 자극이라는 악순환 고리로 이어지게 만들어 저널리즘의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무분별한 복제를 통해 큐레이팅 뉴스의 생산이 이루어진다면, 결국 국내 언론 환경 전반에 ‘약탈적 뉴스’라는 퇴행을 불러올 것이다.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발전과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생산 구조, 유통 구조, 소비 구조라는 보다 복합적인 단계에서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ractice of curating journalism, encompassing the selection, processing, and organization of material into novel formats, has gained prominence alongside the increasing impact of social media. The curating news disseminated on social media was anticipated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oversimplified, unbiased reporting and biased journalism in traditional media by offering a more comprehensive and impartial news experience. This would be achieved by ongoing strategic planning and restructuring of news content sourced from various media platforms. Nevertheless, this phenomenon frequently disregards copyright laws as it centers on the act of replicating news articles from established media sources. Furthermore, younger users perceive these replicated articles as both valuable and reliable. They are also unable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curating news and traditional news, criticize the overall mainstream media and reporting practices based on the quality of curating news, and even distrust the news produced by traditional news media. Con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curating news is confronted with a socially obscure actuality, thereby necessitating an evaluation of its present state, identification of its challenges and constraints, and the formulation of potential avenues and alternative remedies. Henc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attributes associated with the curating news on social media platform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aspects of content and formality. Additionally, it undertakes an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curating news by evaluating its fairness and depth. To this end,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news posts from <Insight> and <Wikitree> on Insta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In terms of content, curating news prioritized timeliness, proximity, and interest as news values with a primary focus on culture-related topics such as broadcasting, entertainment, and sports, with a strong tendency toward soft news. In terms of formality, the news reports predominantly employed inverted pyramid structures and straight news. Notably, most of the news was based on publicly disclosed information. In terms of fairness, curating news typically cited an average of 1.22 sources, with other media reports being the most commonly referenced source types. Moreover, over half of the curating news had a single viewpoint, and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showed a concentration of coverage on specific topics. In terms of depth, curating news mainly offered an analysis of the process and result of events but often lacked the provision of cause and prospect on the issues, leading event-centered news to prevail. Furthermore, despite the higher prevalence of transparent sources compared to anonymous sources, the news articles seldom included justifications or rationales for the utilization of anonymous sources. Therefore, the aforementioned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actice of selectively curating news content on social media platforms and the utilization of attention-grabbing news stories to engage users may result in a detrimental loop that undermines the value of journalism. If curating news is carried out by thoughtless duplication, it will ultimately result in 'predatory news' practices. To enhance its standing in the field of journalism, it is important to explore resolutions at a more intricate level encompassing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consumption.

Keywords:

Curating News, Social Media, Content Analysis, News Format, News Quality

키워드:

큐레이팅 뉴스, 소셜 미디어, 내용분석, 뉴스 양식, 뉴스 품질

References

  • Baek, S. (1992). A study on the fairness of Korean newspaper coverage: A semiotic analysis of the coverage of the ‘Chung prime minister's office assault case.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1, 181-246.
    백선기 (1992). 한국 신문보도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정총리서리 폭행사건’ 보도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1호, 181-246.
  • Barnhurst, K. G., & Mutz, D. (1997). American journalism and the decline in event-centered reporting. Journal of Communication, 47(4), 27-53.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7.tb02724.x]
  • BBC (2010). Editorial guidelines. Retrieved 11/15/21 from https://www.bbc.com/editorialguidelines/guidelines
  • Chang, B.-H., & Nam, S.-H. (2012). Social media and network journalism: Focusing on audiences’ evaluations on journalism functions of social media.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2(4), 457-496.
    장병희·남상현 (2012). 소셜미디어의 발전과 네트워크 저널리즘 전망: 소셜미디어의 저널리즘 기능에 대한 수용자의 평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2권 4호, 457-496.
  • Charnley, M. V. (1966). Reporting.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 Cho, C. (2016). Rhetoric for journalists. Seoul: Communication Books.
    조철래 (2016). <저널리스트를 위한 수사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Cho, E., & Yu, S.-K. (2014). A study on the diversity of news coverage among TV channels: Focusing on the diversity of ‘railway strike news coverag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8(3), 433-461.
    조은영·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철도노조파업 이슈에 대한 지상파 채널과 종합편성 채널 보도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8권 3호, 433-461.
  • Cho, E.-H. (2012). News analysis about earthquake and nuclear crisis in Japan. Journal of Social Science, 23(1), 117-143.
    조은희 (2012). 국내신문의 일본 대지진․원전사태 보도특성 연구. <사회과학연구>, 23권 1호, 117-143. [ https://doi.org/10.16881/jss.2012.01.23.1.117 ]
  • Cho, Y. (2014, June 7). News curating: ‘Stealing' or an alternative to news consumption? MediaToday. Retrieved 11/18/21 from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024
    조윤호 (2014, 6, 7). 뉴스 큐레이팅, ‘도둑질’로 끝날까 뉴스소비의 대안될까. <미디어오늘>.
  • Choi, M., Yang, S., & Lee, K. (2013). Journalism in the age of digital media: Issues and prospect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최민재·양승찬·이강형 (2013).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저널리즘: 쟁점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Choi, Y. (1997). The softening of broadcast news: A necessary evil or an expedient?. Journalism Review, 22, 75-77.
    최영묵 (1997). 방송뉴스의 연성화, ‘필요악’인가 ‘편법’인가. <저널리즘 비평>, 22권, 75-77.
  • ChosunBiz (2023, April 21). US online media layoffs hit hard... 'BuzzFeed News' closes, ‘Business Insider’ cuts staff. Retrieved 8/1/23 from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economy/2023/04/21/7QVYW5M3GBF4PCMLI43CLB3QFM, /
    조선비즈 (2023, 4, 21). <美 온라인 매체 감원 한파… ‘버즈피드뉴스’ 문닫고 ‘비즈니스인사이더’는 감원>.
  • Clark, R. P., & Scanlan, C. (2001). America’s best newspaper writing: A collection of ASNE prize winners. New York: Bedford.
  • Connolly-Ahern, C., Ahern, L. A., & Bortree, D. S. (2009). The effectiveness of stratified constructed week sampling for content analysis of electronic news source archives: AP newswire, business wire, and Pr newswir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6(4), 862-883. [https://doi.org/10.1177/107769900908600409]
  • Fedler, F., Bender, J. R., Davenport, L., & Drager, M., W. (2005). Reporting for the media. New York: Oxford University.
  • Graber, D. A. (1984). Processing the news: How people tame the information tide. New York: Longman.
  • Han, G., Hong, W. Lee, I., Lee, J., Chae, Y., Lee, G., ... & Lim, B. (2021).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media (revised 2018). Seoul: Communication Books.
    한균태·홍원식·이인희·이종혁·채영길·이기형·이두황·이훈·이정교·박종민·이상원·정낙원·홍지아·임병국 (2021). <현대사회와 미디어> (2018년 개정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Han, J.-M., & Seol, J.-A. (2001). Tabloidization of prime-time television news in Korea.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5(3), 333-366.
    한진만·설진아 (2001). 텔레비전 뉴스의 연성화에 관한 연구: KBS 1, MBC, SBS의 주시청시간대 뉴스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5권 3호, 333-366.
  • Isaac, M. (2019). Super pumped: The battle for Uber. New York: W.W. Norton & Company.
  • Jang, H.-Y. (2001). Exploring the structure of media criticism: A network analysis of the problems in Korean newspaper reporting.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16, 108-135.
    장하용 (2001). 언론보도와 비평의 구조: 신문보도의 비평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16호, 108-135.
  • Jung, S.-Y., & Goo, J. (2010). A Study on diversity and duplication of Korean terrestrial television news: Focusing on content analysis of evening news program on KBS, MBC, SBS in 2009.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4(5), 415-457.
    정수영·구지혜 (2010). 지상파TV 뉴스의 다양성 및 중복성에 관한 연구: KBS, MBC, SBS의 2009년도 저녁 종합뉴스 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4권 5호, 415-457.
  • Jung, S.-Y., & Nam, S.-H. (2012). The study on non-reporting and exclusive coverage of general news program of terrestrial broadcasters: Focusing on news subject and news value.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6(4), 265-309.
    정수영·남상현 (2012). 지상파TV 3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무보도와 단독보도 뉴스에 관한 연구: 뉴스 주제와 뉴스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6권 4호, 265-309.
  • Jung, Y. B., & Kim, C.-W. (2017).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news coverages of local newspapers: Focusing on content analysis of daily newspapers in Jeju. Tamla Culture, 56, 301-337.
    정용복·김치완 (2017). 지역신문의 대학보도 특성에 관한 연구: 제주지역 일간신문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56호, 301-337. [ https://doi.org/10.35221/tamla.2017..56.010 ]
  • Kang, M.-H. (2016). A comparative study on the news characteristics between over-the-air broadcasters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6(1), 5-36.
    강명현 (2016). 지상파와 종편채널의 뉴스특성 비교연구. <언론과학연구>, 16권 1호, 5-36. [ https://doi.org/10.14696/jcs.2016.03.16.1.5 ]
  • Kang, M. K. (1989). Truth and totality in news: Toward a ‘post-factual' conceptualization of news.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26, 85-111.
    강명구 (1989). 脫事實의 시대에 있어 뉴스공정성의 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 <언론정보연구>, 26집, 85-111.
  • Kang, T. Y., & Kwon, Y. S. (2000). Study on fairness in broadcasting. Seoul: Korea Broadcasting Commission.
    강태영·권영설 (2000). <방송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서울: 방송위원회.
  • Kim, D., & Jeong, A. (2016). Deliberative effects of curating journalism as a channel of political conversation: Focused on opinion qual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Speech & Communication, 15(3), 175-204.
    김동윤·정아름 (2016). 정치적 대화 채널로서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숙의적 효과: 의견의 질과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5권 3호, 175-204.
  • Kim, D., & Jeong, A. (2017). Curating news uses and the perception of online and offline media attribution in terms of political efficacy.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16(4), 147-183.
    김동윤·정아름 (2017). 큐레이팅 뉴스 이용자가 견지하는 정치효능감이 뉴스 이용방식과 매체속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통학보>, 16권 4호, 147-183.
  • Kim, D.-Y.(2017). Who and how?: The exploratory analysis on users of curating new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34(2), 5-37.
    김동윤 (2017). 큐레이팅 뉴스 이용자에 대한 탐색적 분석: 뉴스 이용방식, 정치적 식견, 그리고 매체속성 지각의 차이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4권 2호, 5-37.
  • Kim, D. Y. (2019). Curation news, individuality and political efficacy: Focused on the deliberative reading.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9(4), 44-77.
    김동윤 (2019). 큐레이팅 뉴스와 개인성 그리고 정치효능감: ‘숙독’의 숙의적 효과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9권 4호, 44-77. [ https://doi.org/10.14696/jcs.2019.12.19.4.43 ]
  • Kim, D. Y., Kim, Y. S., & Lee, H. J. (2018). What is the news curation?: Focusing on news perception and using behaviors.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17(1), 113-135.
    김동윤·김연식·이현주 (2018). 큐레이팅 뉴스란 무엇인가?: 뉴스 이용자의 ‘뉴스관’과 ‘이용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17권 1호, 113-135.
  • Kim, E., & Oh, H.-K. (2019). Quality and ratings in the performances of TV news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12), 249-258.
    김유정·오현경 (2019). 지상파뉴스의 품질과 시청률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권 12호, 249-258.
  • Kim, H. P. (2016). The tech giants who rule our lives: From Alibaba's Jack Ma to Amazon's Jeff Bezos. Seoul: History of People and Ideas.
    김환표 (2016).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알리바바의 마윈부터 아마존의 제프 베저스까지>. 서울: 인물과사상사.
  • Kim, J.-K., & Ha, J.-Y. (2015). Changes in news content structure and writing style of three Korean major daily newspapers: A comparison between 1995 to 2002 and 2003 to 2010. Journalism & Communication, 19(4), 5-33.
    김진국·하주용 (2015). 포털 뉴스 유통 전후 일간지 문화면의 지면구조 비교 연구: 1995년~2010년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을 중심으로. <언론학연구>, 19권 4호, 5-33.
  • Kim, K. (2018). What and how to evaluate article quality. In K. Kim., J. Park., J. Bae., N. Lee., & J. Lee (Eds.), Quality Journalism (pp. 49-69).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김경모 (2018). 기사 품질 평가의 대상과 방법. 김경모·박재영·배정근·이나연·이재경 (편), <기사의 품질> (49-69쪽).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Kim, K.-H. (2002). A study of reporting style in online news service by firm origi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6(1), 43-72.
    김경희 (2002). 모회사의 속성에 따른 온라인뉴스의 기사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오프라인 기반 뉴스와 인터넷 기반 뉴스의 비교. <한국방송학보>, 16권 1호, 43-72.
  • Kim, K.-K., & Kim, J.-W. (2010). A study on differences of headlines types between newspapers and online new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0(2), 39-72.
    김관규·김진원 (2010). 인쇄신문과 인터넷신문의 기사 표제 차이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0권 2호, 39-72.
  • Kim, K. S. (2013). Twitter users' views of news: Focusing on journalist roles, journalistic norms, and perceptions of journalistic authorit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7(2), 154-184.
    김균수 (2013). 트위터 이용자의 뉴스관: 기자 역할, 기자 규범 및 저널리즘 권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권 2호, 154-184.
  • Kim, M. H. (2002). Press sentence practice. Seoul: Nanam.
    김민환 (2002). <언론문장연습>. 서울: 나남.
  • Kim, S. (2012). Journalism survival frame, conversation·ecology·strategy. Seoul: Communication Books.
    김사승 (2012). <저널리즘 생존 프레임, 대화·생태·전략>.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Kim, S., & Kim, D. (2020). A study of card news on Instagram.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23(8), 1049-1058.
    김새난슬·김동환 (2020). 인스타그래머블 카드뉴스 연구. <한국멀티학회논문지>, 23권 8호, 1049-1058.
  • Kim, S.-E., & Lee, S.-G. (2008). Impartiality, pluralism and honesty: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fair broadcasting in the UK and France.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Research, 67, 69-112.
    김세은·이상길 (2008). 서유럽 방송의 공정성 원칙과 규제: ‘불편부당성’, ‘다원주의와 정직성’을 위한 영국과 프랑스의 사례. <방송연구>, 67호, 69-112.
  • Kim, W. (2013). Internet news media. In Korea Press Foundation Research Team (Ed.), News media in South Korea 2013 (pp. 148-174).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김위근 (2013). 인터넷 뉴스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팀 (편), <한국의 뉴스 미디어 2013> (148-174쪽).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Kim, Y. (2003). Hard news and soft news: The realities of their effects. Seoul: Media Research Institute.
    김예란 (2003). <경성뉴스와 연성뉴스, 그 효용의 실제>. 서울: 미디어연구소.
  • Kim, Y., & Jeong, J. (2014). Social news distribution platforms: Social media and news consumption.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김영주·정재민 (2014). <소셜 뉴스 유통 플랫폼: 소셜 미디어와 뉴스 소비>.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Kim, Y.-W. (2011). The crisis of partisanship and social communication in South Korean media.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Symposium Semina, 107-136.
    김영욱 (2011). 한국 언론의 정파성과 사회적 소통의 위기.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107-136.
  • Kim, Y.-W., Jin, M., & Kang, S. (2014). Quality in journalism: Criteria and model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김영욱·진민정·강신규 (2014). <저널리즘의 품질: 평가기준과 모델>.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Ko, Y.-C. (2015). A comparison of the way of composing news contents on the front pages of local newspapers that are being publishe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ocus on the types of news articles, the forms of news writing, photos and infographic.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5(1), 5-47.
    고영철 (2015). 한․미 지역일간지 1면 기사 콘텐츠의 구성방식 비교 분석: 기사의 유형, 구조, 내용 그리고 사진 및 인포그래픽 제시방법 등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5권 1호, 5-47. [ https://doi.org/10.14696/jcs.2015.03.15.1.5 ]
  • Koh, Y.-S. (2007). An analysis of news reports about the scandals of the presidents’ relatives and in-laws’: A news frame approach. Communication Theories, 3(1), 156-196.
    고영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대통령 친인척 비리보도의 뉴스프레임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3권 1호, 156-196.
  • Korea Press Foundation. (2007). Article format and content in Korean and the U.S. newspapers.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한국언론재단 (2007). <한․미 신문의 기사 형식과 내용>. 서울: 한국언론재단.
  • Korea Press Foundation. (2022). 2022 Survey of media audience.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한국언론진흥재단 (2022). <2022 언론수용자 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Kovach, B., & Rosentiel, T. (2014). The elements of journalism. New York: Three Rivers Press.
  • Kweon, S. H. (2004). A study of news form in the internet media: Comparison news construction types in the online journalism.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8(4), 306-357.
    권상희 (2004). 인터넷미디어 뉴스형식(News Form) 연구: 온라인 저널리즘의 기사 구성방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8권 4호, 306-357.
  • Lee, C.-H., & Sohn, S.-H. (1999). Importance of television news items and their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4(1), 412-440.
    이창현·손승혜 (1999). 뉴스 아이템의 특성에 따른 TV 뉴스의 중요도 차이. <한국언론학보>, 44권 1호, 412-440.
  • Lee, C. K. (2004). On the history and nature of 'due impartiality' standard in the British broadcast journalism. Studies of Broadcasting Culture, 16(2), 199-227.
    이창근 (2004). ‘적절한 불편부당성’(due impartiality) 기준의 역사와 성격에 대하여. <방송문화연구>, 16권 2호, 199-227.
  • Lee, G. (2008).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newspapers' front pages: Analysis of credibility and originality of stories with relation to information depth.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2(5), 107-129.
    이건호 (2008). 한․미 신문 기사의 심층성과 신뢰도 및 독창성 분석: 6개 한국 신문과 2개 미국 신문 1면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권 5호, 107-129.
  • Lee, G., & Jung, W.-K. (2008).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newspapers’ front pages: Analysis of sources based on the reporting areas and writing style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2(4), 25-49.
    이건호·정완규 (2008). 한국과 미국 신문의 1면 기사 비교: 취재 영역 및 보도 형태별 취재원 출현에 따른 심층성 분석. <한국언론학보>, 52권 4호, 25-49.
  • Lee, G.-H., & Jung, W.-K. (2009). Depth of news reporting and writing: Analysis of transparent sources, viewpoints, stakeholders in front page stories.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21, 5-47.
    이건호·정완규 (2009). 취재 영역 및 보도 형태별 뉴스 심층성 연구: 한․미 신문 1면 기사에 나타난 투명 취재원, 복합 관점, 이해 당사자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21권, 5-47. [ https://doi.org/10.16935/ejss.2009.21..001 ]
  • Lee, H.-S. (2017). Frame analysis of political news in social media: Focus on the keyword, “presidential election" in Wikitre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2), 309-318.
    이현숙 (2017). 소셜 미디어 정치 뉴스 프레임 분석: 위키트리 ‘대통령선거’ 키워드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권 2호, 309-318. [ https://doi.org/10.14400/JDC.2017.15.2.309 ]
  • Lee, J. H., Jung, N., & Kim, S.-E. (2017). An analysis of broadcast news coverage on the 20th general electio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97, 129-163.
    이종혁·정낙원·김세은 (2017). 선거 방송의 평가 기준과 실제: 지상파와 종편의 제20대 총선 보도 전수 조사 분석. <방송통신연구>, 97호, 129-163.
  • Lee, J., & Park, J. (2010). The effects of market competition on Korean newspaper diversit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4(3), 301-325.
    이진영·박재영 (2010). 한국 신문 보도의 다양성 연구: 한겨레 시장 진입 전후(1986~2005)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4권 3호, 301-325.
  • Lee, J. H., & Lee, D.-H. (2013).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news literacy self-efficacy on news content usage: Based on news consumers in 20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8), 180-190.
    이정훈·이두황 (2013). 뉴스 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의 뉴스콘텐츠 이용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대 뉴스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권 8호, 180-190. [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180 ]
  • Lee, J.-K. (2006). A comparison of the presidential news coverage: The Chosun Ilbo and the New York Times. Media and Society, 14(4), 37-69.
    이재경 (2006). 한․미 신문의 대통령 취재관행 비교: 조선일보와 뉴욕타임스. <언론과 사회>, 14권 4호, 37-69.
  • Lee, J. R. (2015). Fairness in media journalism. Journal of Political Criticism, 17, 31-47.
    이진로 (2015). 미디어에 있어서 공정성 문제. <정치와평론>, 17집, 31-47.
  • Lee, K.-S. (2015). Rethinking the right to culture in the digital age: The issues of copying culture and content cura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74, 197-224.
    이광석 (2015). 디지털 시대 문화 권리의 제고: 복제문화와 콘텐츠 큐레이션의 쟁점. <한국언론정보학보>, 74호, 197-224.
  • Lee, M. J., & Lee, G. (2014). Features of investigative news reporting and writing of daily newspapers: Study on the idea creativity and information depth of education-related article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8(6), 64-89.
    이민정·이건호 (2014). 중앙 일간지 탐사보도 특성 연구: 교육 관련 기획시리즈의 독창성 및 심층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8권 6호, 64-89.
  • Lee, M.-K., & Kim, S.-J. (2006). A comparative analysis over news framing of the abolition of the family headship (Hoju) system: Examining three major Korean dailies: Chosun, Kukmin, Hankyoreh.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34, 132-160.
    이민규·김수정 (2006). 호주제 폐지에 대한 뉴스 프레이밍 비교 연구: 조선일보, 국민일보,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4호, 132-160.
  • Lee, N. Y. (2018). A content analysis of fact-checking of Korean news organization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Based on principles of the international fact-checking network.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55(4), 99-138.
    이나연 (2018). 한국 언론의 팩트체크: 19대 대통령선거에서의 후보자 검증 기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55권 4호, 99-138. [ https://doi.org/10.22174/jcr.2018.55.4.99 ]
  • Lee, N. Y., Kim, C., & Kim, J. (2021). A study on the journalism practice of anonymous news sources of political news: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newspapers and the New York Time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5(3), 5-38.
    이나연·김창숙·김지현 (2021). 정치기사 익명 취재원 표기 관행: 미국 뉴욕타임스와 한국 주요 일간지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보>, 65권 3호, 5-38. [ https://doi.org/10.20879/kjjcs.2021.65.3.001 ]
  • Lee, S.-J., & Yang, J. (2017). The effects of news literacy o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competenci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1(6), 152-183.
    이숙정·양정애 (2017). 뉴스 리터러시가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31권 6호, 152-183.
  • Lee, S.-R., & Yoon, Y.-M. (2012). The analysis about the softening of news in the smartphone: A case of internet front page and smartphone application news of Donga daily, The hankyore, Naver and Daum.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2(3), 330-354.
    이상록·윤영민 (2012). 스마트 폰 앱 뉴스의 연성화 분석: 동아닷컴, 인터넷한겨레, 네이버, 다음의 인터넷 사이트와 스마트 폰 앱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2권 3호, 330-354.
  • Lee, W. (2019). Customers search for news like this. Seoul: Tarae.
    이욱희 (2019). <고객은 이런 뉴스를 검색한다>. 서울: 타래.
  • Lee, W., & Park, J. (2013). Language and expression in broadcasting news: Focus on objectivity and fairness of news language. Broadcasting & Communication, 14(1), 5-46.
    이완수·박재영 (2013). 방송뉴스의 언어와 표현: 뉴스언어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권 1호, 5-46.
  • Lee, W.-S., Bae, J.-Y., & Iim, B.-S. (2015). Structural analysis on the news components of the local newspaper: Focusing on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 Busan Ilbo.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5(3), 221-266.
    이완수·배재영·임봉수 (2015). 지역신문 뉴스구성요소의 구조분석: 부산일보 기사의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5권 3호, 221-266. [ https://doi.org/10.14696/jcs.2015.09.15.3.221 ]
  • Lim, T. (1993). A discourse analysis study of fairness in television news. Media and Society, 1, 67-109.
    임태섭 (1993). 텔레비전 뉴스의 공정성에 대한 담론분석 연구. <언론과 사회>, 1권, 67-109.
  • McQuail, D. (1986). From bias to objectivity and back. In T. McCrormack (Ed.), Studies in communication: A research manual (pp. 1-36). Greenwich, CT: JAI Press.
  • McQuail, D. (1992). Media performance: Mass communication and the public interest. CA: Sage. [https://doi.org/10.22230/cjc.1993v18n4a783]
  • Nam, J.-I., & Lee, G.-H. (2017). Korean journalists’ perception of ‘good journalism’.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7(2), 82-128.
    남재일·이강형 (2017). ‘좋은 저널리즘’의 구성 요소에 대한 기자 인식 변화 추이. <언론과학연구>, 17권 2호, 82-128. [ https://doi.org/10.14696/jcs.2017.06.17.2.82 ]
  • Newman, N., Fletcher, R., Schulz, A., Andi, S., & Nielsen, R. K. (2020). Reuters institute digital news report 2020.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Retrieved 11/19/21 from https://reutersinstitute.politics.ox.ac.uk/sites/default/files/2020-06/DNR_2020_FINAL.pdf
  • Oh, C. S. (2015). Three possibilities of design curating and their appearance backgrou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1), 335-342.
    오창섭 (2015). 디자인 큐레이팅의 세 가지 가능성과 그 출현 배경.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권 1호, 335-342.
  • Oh, H. J., & Choi, J. (2019). Effects of thematic and formal formats of public broadcasting news on the depth of news: A Comparison between <KBS News 9> and <BBC News at 10>.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3(5), 152-189.
    오해정·최지향 (2019). 한국 공영방송 TV 뉴스의 형식적, 내용적 도식에 따른 심층성 분석: KBS <9시뉴스>와 BBC <10시뉴스>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3권 5호, 152-189. [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5.005 ]
  • Oh, S., Park, A., & Choi, J. (2021). Digital News Report 2021 Korea.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오세욱·박아란·최진호 (2021).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1 한국>.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Pae, J. K. (2018). The study on card-new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Image and Cultural Contents, 14, 125-152.
    배정근 (2018). 디지털 모바일 뉴스환경과 카드뉴스에 대한 연구: 카드 뉴스의 개념과 특성. <영상문화콘텐츠연구>, 14집, 125-152. [ https://doi.org/10.24174/jicc.2018.06.14.125 ]
  • Park, C., & Min, Y. (2019). A comparative study of fact-checking news coverag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16(3), 13-44. [https://doi.org/10.20879/acr.2019.16.3.13]
  • Park, J. (2014). Agenda statements in internet journalism. Seoul: Communication Books.
    박주현 (2014). <인터넷 저널리즘에서 의제의 문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Park, J. (2020). News stories: The craft and effectiveness of narrative articles. Seoul: Lee Chae.
    박재영 (2020). <뉴스 스토리: 내러티브 기사의 작법과 효과>. 서울: 이채.
  • Park, J., Ahn, S., & Park, S. (2014). The diachronic change of election report in the coverage of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since 1992. Studies of Broadcasting Culture, 26(2), 33-66.
    박재영·안수찬·박성호 (2014). 대통령 선거 보도의 기사품질, 심층성, 공공성의 변화: 1992~2012년 국내 주요 신문의 경우. <방송문화연구>, 26권 2호, 33-66.
  • Park, J., & Lee, N. (2018). Evaluate the quality of an article: Focus on the quality of sources and information. In K. Kim, J. Park, J. Bae, N. Lee, & J. Lee (Eds.), Quality Journalism (pp. 81-164).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박재영·이나연 (2018). 기사의 품질 평가: 취재원과 정보의 질을 중심으로. 김경모·박재영·배정근·이나연·이재경 (편), <기사의 품질> (81-164쪽).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Park, J., & Lee, W. S. (2007). Quotation & attribution: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U.S. newspap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1(6), 439-468.
    박재영·이완수 (2007). 인용(quotation)과 취재원 적시(attribution)에 대한 한미(韓美) 신문비교. <한국언론학보>, 51권 6호, 439-468.
  • Park, J., & Lee, W. S. (2008). Reporters and editors’ attitudes toward the inverted pyramid and narrative writing sty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2(6), 123-145.
    박재영·이완수 (2008). 역피라미드 구조와 내러티브 스타일에 대한 기자와 에디터의 인식. <한국언론학보>, 52권 6호, 123-145.
  • Park, J. H. (2017). Journalism without reporters. Seoul: Communication Books.
    박주현 (2017). <기자 없는 저널리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Park, J.-Y. (2005). The realization of fairness: What Munhwa Ilbo did for the fair coverage of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and how?.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9(2), 167-195.
    박재영 (2005). 공정성의 실천적 의미: 문화일보 2002년 대선(大選) 보도의 경우. <한국언론학보>, 49권 2호, 167-195.
  • Park, K.-S., & Ahn, J.-M. (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portal site's front-page: Soft/hard news, sub-headline, hyperlink, sourc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0(6), 199-226.
    박광순·안종묵 (2006). 포털사이트 프론트(front)페이지 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성/경성뉴스, 소제목, 하이퍼링크, 뉴스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권 6호, 199-226.
  • Park, K.-S., & Ahn, J.-M. (2015). Effect of the recommendation story in online journalism on the user's news sele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3), 1795-1805.
    박광순·안종묵 (2015). 온라인 저널리즘의 추천기사가 뉴스 이용자의 뉴스기사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눈문지>, 16권 3호, 1795-1805. [ https://doi.org/10.5762/KAIS.2015.16.3.1795 ]
  • Park, S. (2018). Reconstructing ‘impartiality’: Hearing, explaining, and questioning.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55(1), 119-160.
    박성호 (2018). 공영방송 저널리즘을 위한 불편부당성 개념의 재구성: BBC의 ‘적절한 불편부당성’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55권 1호, 119-160. [ https://doi.org/10.22174/jcr.2018.55.1.119 ]
  • Park, S., & Yoon, Y. (2016). News quality of reporting on investigation and trial: A Study on accuracy, depth, and impartiality of broadcasting new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0(4), 83-120.
    박성호·윤영민 (2016). 방송 법조뉴스의 품질 연구: 정확성, 심층성, 불편부당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0권 4호, 83-120.
  • Project for Excellence in Journalism. (2005). The state of the news media: An annual report on American journalism. The Pew Research Center. Retrieved 10/30/21 from http://www.stateofthemedia.org/2005, /
  • Rhee, J. W., & Kim, K. (2008). Textual properties of ‘desirable news’: Fairness, validity, and sincerity.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67, 9-44.
    이준웅·김경모 (2008). ‘바람직한 뉴스’의 구성조건: 공정성, 타당성, 진정성. <방송통신연구>, 67호, 9-44.
  • Rupar, V. (2006). How did you find that out? Transparency of the newsgathering process and the meaning of news: A case study of New Zealand journalism. Journalism Studies, 7(1), 127-143. [https://doi.org/10.1080/14616700500450426]
  • Schudson, M. (1995). The power of new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Seol, J. (2013). Research on article types and newsworthiness in social new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7(6), 149-175.
    설진아 (2013). 소셜 뉴스의 기사유형 및 뉴스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7권 6호, 149-175.
  • Seol, J. (2018). Millennial generation’s mobile news consumption and the impact of social media.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9(4), 123-133.
    설진아 (2018). 밀레니얼세대의 모바일 뉴스소비와 소셜미디어의 영향.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9권 4호, 123-133.
  • Seol, J., & Namkoong, K.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vision news and diplomacy: A content analysis of six party talks new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1(4), 69-100.
    설진아·남궁강 (2007). <6 자 회담>에 관한 텔레비전 외교 뉴스의 정보원 분석. <한국방송학보>, 21권 4호, 69-100.
  • Shim, H. (2005). Topic and source diversity of the front page in the New York Times, Chicago Tribune and the Los Angeles Times from 1950 to 2000.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30, 175-282.
    심훈 (2005). 20세기 하반기의 미 신문 1면 보도에 대한 다양성 분석: 뉴스 토픽과 정보원의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0호, 175-282.
  • Shim, H. (2016). The comparison of news amount and the diversity in news topics, writing formats, and sources on the coverage of China between Korean and Japanese daily newspapers. Media & Performing Arts, 11(3), 9-34.
    심훈 (2016). 한국과 일본 신문의 對中 기사 비교 연구: 보도 비중 및 보도 주제, 보도 양식 그리고 정보원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11권 3호, 9-34. [ https://doi.org/10.22534/broad.2016.11.3.9 ]
  • Shim, J. C. (2003). A few thoughts on news values in an era of the digital media.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56, 33-60.
    심재철 (2003).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뉴스가치에 관한 소론. <방송통신연구>, 56호, 33-60.
  • Shim, M.-S., & Kang, H.-R. (2013). A exploratory study on college students’ evaluations of 19th general election news values not reported in terrestrial broadcasters but reported in internet media: Focusing on fairness concept of new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7(4), 85-130.
    심미선·강혜란 (2013). 지상파 및 인터넷에서만 방영된 19대 총선 관련 뉴스에 대한 대학생집단의 뉴스가치 평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뉴스 공정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7권 4호, 85-130.
  • Shoemaker, P. J., Danielian, L. H., & Brendlinger, N. (1991). Deviant acts, risky business and U.S. interests: The newsworthiness of world events. Journalism Quarterly, 68(4), 781-795. [https://doi.org/10.1177/107769909106800419]
  • Sohn, S., Hwang, H., & Jang, Y. (2011). An analysis of Korean media’s education reporting and news values. MEDIA & EDUCATION, 1(1), 115-145.
    손승혜·황하성·장윤재 (2011). 한국 언론의 교육보도 특성과 뉴스 가치 분석. <미디어와 교육>, 1권 1호, 115-145.
  • Song, Y. (2007). A study on the Korean newspapers’ objectifying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1(1), 229-251.
    송용회 (2007). 언론의 현실해석과 객관화 담론전략: [조선일보] 와 [한겨레]의 2004년 국가보안법 개폐논쟁 관련 해설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1권 1호, 229-251.
  • Spurk, C., Lopata, S., & Keel, G. (2010). Measuring the ‘democratic’ quality of radio news: Experiences form Liberia. Journal of African Media Studies, 2(2), 173-192. [https://doi.org/10.1386/jams.2.2.173_1]
  • Sung, W.-J. (2012). A meta-analysis of media diversity studies: Concept and approach.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79, 101-139.
    성욱제 (2012). 국내 미디어 다양성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미디어 다양성에 대한 개념 및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79호, 101-139.
  • Westerståhl, J. (1983). Objective news reporting. Communication Research, 10(3), 403-424. [https://doi.org/10.1177/009365083010003007]
  • Won, H., & Youn, S. (2015). A content analysis on the fairness of the main news of Korean general programming TV stations: Centered around main news during the 18th pre-presidential election period.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9(1), 117-148.
    원희영·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제18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메인 뉴스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9권 1호, 117-148.
  • Yang, J. (2011). News story salience and users’ selective exposure: Effects of popularity indications on online news exposure.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5(2), 77-117.
    양정애 (2011). 뉴스 기사의 현저성과 이용자의 선택적 노출: 온라인 뉴스의 ‘인기기사’ 추천 효과. <한국방송학보>, 25권 2호, 77-117.
  • Yoo, S. (2018). Research on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changes of the main news programs’ news topic at the initial introduction of general programming cable channel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0), 53-64.
    유수정 (2018). 종편 출범 초기의 지상파와 종편 메인뉴스의 주제 구성 및 다양성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권 10호, 53-64.
  • Yoo, S. (2021). A study on the quotation of social media news source. Media, Gender & Culture, 36(3), 5-46.
    유수정 (2021). 소셜미디어 취재원 인용에 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36권 3호, 5-46. [ https://doi.org/10.38196/mgc.2021.09.36.3.5 ]
  • Yoo, S., & Lee, G. (2020). A study on the quality of exclusive coverage in the broadcasting new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4(3), 174-210.
    유수정·이건호 (2020). 방송뉴스의 단독 보도 품질 연구. <한국방송학보>, 34권 3호, 174-210.
  • Yoo, S. Y., & Lee, O. H. (2001). The new newspaper article style: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to the inverted pyramid style.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유선영·이오현 (2001). <새로운 신문 기사 스타일: 역피라미드형 스타일의 한계와 대안>. 서울: 한국언론재단.
  • Yoon, H. Y., Kil, W. Y., & Lee, J. H.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news media repertoire and users’ interest in multiple news topics: Focusing on news topic network.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1(1), 107-148.
    윤호영·길우영·이종혁 (2017). 다중미디어 시대의 뉴스 미디어 레퍼토리와 주제 관심도 관계 분석: 뉴스 주제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1권 1호, 107-148.
  • Yoon, Y. (2019). Introduction to media content analysis. Seoul: Communication Books.
    윤영민 (2019). <미디어 내용분석 입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Yoon, Y.-K., & Cho, I.-H. (2017). A study on the change of news value measurement factors by media platform diver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8), 57-68.
    윤여광·조인희 (2017). 미디어 플랫폼 다양화에 따른 뉴스가치 측정 요소의 변화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권 8호, 57-68. [ https://doi.org/10.21184/jkeia.2017.12.11.8.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