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KSJCS)
[ Articl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7, No. 2, pp.206-241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3
Received 16 Dec 2022 Revised 27 Mar 2023 Accepted 31 Mar 2023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23.67.2.006

텔레비전 드라마 속 여성주의 서사의 가능성과 한계 : <마인>(tvN)과 <구경이>(JTBC)를 중심으로

정영희* ; 한희정**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 연구원 yeongsol@hanmail.net
**국민대학교 교양학부 부교수 leeward@kookmin.ac.kr
Possibility and Constraints of Feminist Narratives in Television Drama : Focusing on Mine (TvN) and Inspector Koo (JTBC)
Young-Hee Chung* ; Han, Hee Jeong**
*Research Fellow, Research Institute for Information & Culture, Korea University yeongsol@hanmail.net
**Associated Professor,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leeward@kookmin.ac.kr

초록

본 연구는 이전과는 차별화된 여성 캐릭터들이 돋보인 드라마 <마인>과 <구경이>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마인>은 여성의 연대와 자매애, 여성 간의 사랑이 서사의 중심축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구경이>는 범죄 드라마의 전형적인 장르 관습과 달리 수사관, 범죄자, 권력자 모두 여성만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성애적 로맨스를 중심으로 여성의 경쟁자를 여성으로 설정하고 여성을 무력한 희생자나 보조자로 재현해 온 기존의 텔레비전 드라마 서사와는 차별적이다. 이 두 드라마를 분석하여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여성 캐릭터가 어떻게 변했는지, 이러한 서사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보편적인 여성주의적 서사가 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했다. 텍스트의 여러 구성 요소 중에서 특히 등장인물, 주요 인물 간의 관계, 주요 인물들의 역할이 상호 교차하는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인물에 대한 외적 표현, 인물의 인격, 여성 간의 관계, 남성과의 관계, 자녀와의 관계를 재현하는 방식에서 과거 드라마와는 다른 점들이 발견되었다. <구경이>의 구경이는 대중문화물에서 ‘술 좋아하는 망가진 정의로운 천재 남성’을 표현해오던 전형적인 방식으로 재현되었다. 이러한 재현은 그동안 여성에게 부여되지 않았던 특징들을 전유했다는 점에서는 저항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범죄 수사극에서 남성적 기표를 활용한 여성 캐릭터의 창조는 이분화된 전형적인 젠더 규범을 더 명시적으로 보여주며, 범죄 수사극은 여전히 남성적 기표가 우세한 장르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그러나 남성=가해자, 여성=피해자 혹은 조력자로 설정하는 텔레비전 수사 드라마의 전형적인 장르 관습을 벗어나서 남성을 주변화하고, 여성이기에 공유하는 감정과 상호연결성을 보여주면서 여성주의 서사를 시도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마인>의 정서현은 기존의 젠더 이분법에서 본 여성 캐릭터에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정서현은 남성의 기표를 두른 구경이와 달리 인물의 시각적 표현, 여성과의 관계 등에서 탈젠더적인 특징이 발견되었다. <마인>은 새로운 여성 캐릭터, 여성의 연대와 모성에 대한 다양한 재현, 이성애적 로맨스를 탈피함으로써 여성주의 서사를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드라마는 기존의 전형화된 젠더 인식 및 규범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주변 인물들이 여전히 젠더 이분법적 틀 속에서 표현되었고, 여성을 중심으로 한 서사가 남성 인물을 완전히 배제함으로써 구축되었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종합하여, 젠더 감수성에 민감한 우리 시대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새로운 생존 전략으로서 가부장적 규범 측면에서 표현은 모호하나 함의는 명료하게, 여성주의적 서사 측면에서는 표현은 분명하나 의미는 흐릿하게 하는 공존의 전략을 선택했다고 결론 내렸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dramas Mine and Inspector Koo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dramas are unlike any other. The narrative's major axis in Mine is women's solidarity, sisterly affection, and love between women. Also, Inspector Koo features female investigators, criminals, and strong characters, breaking the genre norms of crime dramas. It differs from the previous television drama narratives that have shown women as rivals and represented them as helpless victims or assistants in romantic rivalries. By examining these two dramas, we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female characters have evolved in Korean television dramas as well as the possibility that these feminist components could become broadly applicable feminist narratives in dramas. The analysis of the texts concentrated on the episodes where the characters, their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and their roles intersect.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terior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the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and the way it showed relationships between women, relationships with men, and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were all different from previous dramas. Goo Kyung Yi in Inspector Koo is represented in the typical way that pop culture has shown the "broken, righteous genius man who likes to drink." This representation has a resistance aspect in that it appropriated characteristics that had not been given to women in the past. Nonetheless, the creation of female characters using masculine signifiers in crime investigation shows more explicitly the dichotomous gender norms, reminding us that crime investigation plays are still a genre dominated by masculine signifiers.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genre norms of TV investigative dramas, in which are represented as “men = criminals” and “women = victims or helpers,” it attempted a feminist narrative by marginalizing men and showing the affects and connectivity shared by women. By eschewing heterosexual romance, using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women's unity and motherhood, and using new female characters, Mine appears to have developed a feminist narrative. The traditional gender view and conventions were not entirely disproved by these dramas, nevertheless. There were restrictions since the surrounding characters continued to express themselv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gender binary, and the narrative focused on women was constructed by completely ignoring male characters. Combin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television dramas of our time, which is gender-sensitive, have chosen a strategy of coexistence. In other words, in a patriarchal way, the expression is ambiguous but conveys clear meanings, whereas in a feminist way, the expression is explicit but leaves room for interpretation.

Keywords:

TV drama, feminist narrative, character analysis, representation, female solidarity

키워드:

텔레비전 드라마, 여성 서사, 캐릭터 분석, 재현, 여성 연대

References

  • Badinter, E. (1980). (L')amour en plus: histoire de l'amour maternel, XVIIe-XXe siecle. Paris: Flammarion.
  • Choi, H. J. (2008). A study on the reverse of the gender role in TV drama -A case study of <A Poor Homemaker>.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2(4), 401-438.
  • Choi, H. J. (2022, December 27). The power of female narrative in “Woo Young Woo” and “Shurup”. Starnews. https://v.daum.net/v/20221227133614297
  • Choi, S. E. (2023, January 26). How did the foreign media view the various changes of K-drama female protagonists? The Kyungyang Shinmun.
  • Chung, J.-E. (2014). The way gender relationship is represented in TV dramas: A study on the romance representation between older woman and younger man. Media, Gender & Culture, 29(4), 85-125.
  • Chung, Y.-H. (2006).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television dramas. Commbooks.
  • Chung, Y.-H. (2009). Contemporary topology and historicity of Korean TV drama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1), 84-108.
  • Chung, Y.-H. (2019). A study on Korean television dramas after the Mid-2000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3(5), 221-252.
  • Chung, Y.-H. (2020). A study on motherhood fantasy in television dramas: Analyzing a KBS2 drama, When Camellia Bloom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4(4), 132-166. [https://doi.org/10.20879/kjjcs.2020.64.4.004]
  • Ellis, K. (2019). Disability and digital television culture. Taylor & Francis. [https://doi.org/10.4324/9781315755663]
  • Han, S. J. (2023, February 9). Jeon Do-yeon vs Lee Bo-young, Major Players in the Female Narrative. IZE. https://www.ize.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447
  • Hong, J. (2009). The symbolic boundaries of motherhood in TV drama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3(6), 284-322.
  • Hong, J. (2010). The discourse of women's body represented in TV drama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49, 122-143.
  • Hong, S. J. (2010, October 24). Drama <Life is Beautiful>, ‘Homosexual Covenant Ceremony’ Censored. Hankyoreh.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45306.html
  • Hwang, N. K. (2023, January 17). “Female characters who are serious about marriage...” CNN analyzes why female characters in K-dramas are becoming stronger and more proactive. HuffpostKorea.
  • Jin, H.-H. (2021, December 13). What Young-Ae Lee's amazing transformation, Inspector Koo left behind. StarToday. https://www.mk.co.kr/star/hot-issues/view/2021/12/1131634/
  • Kim, G.-E. (2020). The possibility of a female narrative seen through classic novel content: Focusing on the webtoon Her Tale of Shim Chong. The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41, 177-205.
  • Kim, G. W. (2005). Mothering discussion shown in Noh Hee Kyung`s television dram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Korea.
  • Kim, H. S. (2013). Women's lives on television: Love, family, and work. In Rethinking media and gender (pp. 191-219).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 Kim, H. S., & Kim, M. H. (1996). The patriarchal narrative strategy of television dramas. Media and Society, 6, 6-50.
  • Kim, H. S., & Kim, M. S. (2008). Television drama and women discourse : A study on the 30s single women's work and lov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2(1). 244-270.
  • Kim, J. H. (2021, June 14). tvN Mine, a strange solidarity of women who break the cliché of 'bloodline' of conglomerates. The Kyungyang Shinmun. https://m.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106142014001#c2b
  • Kim, J. S. (2020, August 24). From “victim” to “savior”… A deeper narrative of women. KBS.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523442
  • Kim, M. (2017). The feminism narrative in the TV drama series, <Dear My Friends>.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56, 275-310. [https://doi.org/10.17938/tjkdat.2017..56.275]
  • Kim, M. (2018). Expanding and rethinking “Motherhood”: Focused on the TV drama <Mother>,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 61, 333-368. [https://doi.org/10.17938/tjkdat.2018..61.333]
  • Kim, M. (2021). The feminism narrative in TV drama <Mine>: Breaking the cliché and overturning the order of the patriarch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11), 268-280.
  • Kim, S. H., & Han, J. M. (2001). Korean society and television drama. Seoul: Nanam Publishing House.
  • Ko, S. et al. (2013). Korean television drama: History and boundaries. Seoul: Culturelook.
  • Kozoloff, S. (1987). Narrative theory and television. In R. Allen (Ed.), Channels of discourse: Television and contemporary criticism (pp. 67-100). Chapel Hill, 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 Kwon, Y. (2019). Representation aspect and meaning of maternal narrative - Based on the TV drama, “Mothe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82, 537-567. [https://doi.org/10.31147/IALL.82.20]
  • Lee, D. (2021). A study on the changing trend of female characters in television drama : Focused on the dramas in late 2010s.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69, 139-169.
  • Lee, E.-J. (2019). “To be a mother is to give yourself all up for another little being”: A study on motherhood practice represented in TV Drama Mother. Family and Culture, 31(3), 34-79.
  • Mikos, L. (2003). Film-und Fernsehanalyse. Utb.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n.d.). Standard Korean Dictionary- motherhood.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B%AA%A8%EC%84%B1
  • Oh, M.-H. (1994). Television drama sociology. Seoul: Nanam Publishing House.
  • Park, E. (2013). Structure of story and characteristics of protagonists in television melodramas: Focusing on three major broadcast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2). 48-59.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048]
  • Park, H.-J. (2023, January 25). Revenge and fight... 'Cool older sisters' dominating the home theater. Yonhapnews TV.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30125003700641?input=1947m
  • Park, J.-Y. (2019, May 6). “Stop killing lesbian characters!” Crying Fans- Go to <Clexacon>, the fandom of queer women leading change. Ilda.https://ildaro.com/8463
  • Park, J. Y. (2023). New materialism : Ontology and politics of matter. Seoul: Greenbee Publishing.
  • Pingree, S., Hawkins, R. P., Butler, M., & Paisley, W. (1976). A scale for sexism. Journal of Communication, 26(4), 193-201. [https://doi.org/10.1111/j.1460-2466.1976.tb01958.x]
  • Propp, V. (1970). Morphology of the folktale. Austin, TX: University of Texas Press.
  • Ruddick, S. (1995). Maternal thinking: Toward a politics of peace. New York, NY: Norton.
  • Suh, Y.-C. (2022). Why is female detective TV series strange? -Crossing and overthrowing of detective genre, cracking gender ideology. Cartoon & Animation Studies, 67, 317-356. [https://doi.org/10.7230/KOSCAS.2022.67.317]
  • Sung, W.-J., Jeong, E.-J., Yu, S.-J., Jang, S.-Y., Kang, J.-S., Kim, N.-D., & Song, M.-S. (2019). Medial diversity studie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 Woo, R. (2010). Comparison of female and male character and narratives in trendy dramas: Focusing on Prosecutor Princess (SBS). Proceedings of the 2010 Fall Conference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04-111.
  • Yu, S.-J. (2022). KBS content diversity study: Focusing on gender equality. KBS Public Media Research Institute.

Appendix

부록

  • 고선희 외 (2013).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역사와 경계>. 서울: 컬처룩.
  • 국립국어원 (n.d.). 표준국어대사전-모성.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B%AA%A8%EC%84%B1
  • 권양현 (2019). 모성 서사의 재현 양상과 의미 -텔레비전 드라마 <마더>를 중심으로. <국제어문>, 82집, 537-567.
  • 김강원 (2005). <노희경의 TV 드라마에 나타난 모성담론>.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강은 (2020). 고소설 문화콘텐츠를 통해 본 여성 서사의 새로운 가능성: 웹툰 <그녀의 심청>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1집, 177-205.
  • 김미라 (2017). TV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의 여성주의적 서사. <한국극예술연구>, 56집, 275-310.
  • 김미라 (2018). ‘모성’의 확장과 재사유: TV드라마 <마더>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61집, 333-368.
  • 김미라 (2021). TV드라마 <마인>의 여성주의 서사: 가부장제 클리셰의 파기와 질서의 전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집 11호, 268-280.
  • 김승현·한진만 (2001). <한국 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경기: 나남.
  • 김지선 (2020, 8, 24). ‘피해자’에서 ‘구원자’로…더 깊어진 여성 서사. <KBS news>.
  • 김지혜 (2021, 6, 14). tvN ‘마인’, 재벌가 ‘핏줄’ 클리셰 부수는 여성들의 낯선 연대. <경향신문>. https://m.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106142014001#c2b
  • 김훈순 (2013). 텔레비전 드라마 속 여성들의 일상: 사랑, 가족, 일.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 (191-219쪽). 이화출판.
  • 김훈순·김명혜 (1996). 텔레비전 드라마의 가부장적 서사전략. <언론과 사회>, 통권 6호, 6-50.
  • 김훈순·김미선 (2008). 여성 담론 생산의 장(場)으로써 텔레비전 드라마: 30대 미혼여성의 일과 사랑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권 1호. 244-270.
  • 박은하 (2013).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의 이야기 구조와 남녀주인공의 특성 – 방송 3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권 2호. 48-59.
  • 박주연 (2019, 5, 6). “레즈비언 캐릭터 좀 그만 죽여라!” 외친 팬들- 변화를 이끄는 퀴어여성들의 팬덤, <클렉사콘>에 가다 上. <일다>. https://ildaro.com/8463
  • 박준영 (2023). <신유물론-물질의 존재론과 정치학>. 그린비.
  • 박효정 (2023, 1, 25). 복수하고 싸우고…안방극장 장악한 '멋진 언니들'. <연합뉴스TV>.
  • 서영주 (2022). 여성탐정 드라마 〈구경이〉는 왜 이상한가? -탐정장르의 횡단과 전복, 균열하는 젠더 이데올로기.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67호, 317–356.
  • 성욱제·정은진·유수정·장시연·강준석·김남두·송민선 (2019). <미디어 다양성 조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오명환 (1994). <텔레비전 드라마 사회학>. 나남출판.
  • 우린 (2010). <트렌디드라마에서 재현되는 여성상과 남성상의 캐릭터 서사비교 : SBS <검사 프린세스>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0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04-111.
  • 유수정 (2022). <KBS 콘텐츠 다양성 연구: 성평등을 중심으로>. KBS 공영미디어연구소.
  • 이다운 (2021). 텔레비전드라마의 여성인물 변화 양상 연구 - 2010년대 후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69권, 139-169.
  • 이은지 (2019). “엄마가 되는 건 다른 작은 존재를 위해서 자기를 다 내줄 때에요”: TV 드라마 <마더>에 재현된 모성 실천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31집 3호, 34-79.
  • 정영희 (2006). <한국 사회의 변화와 텔레비전 드라마>. 커뮤니케이션북스.
  • 정영희 (2009).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한국언론학보>, 53권 1호, 84-108.
  • 정영희 (2019).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 지상파, 케이블·종편의 장르 및 소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3권 5호, 221-252.
  • 정영희 (2020). 텔레비전 드라마 속 모성 판타지에 대한 여성주의적 고찰: KBS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4권 4호, 132-166.
  • 정지은 (2014). TV 드라마의 젠더 관계 재현 방식: 연상녀·연하남 커플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29권 4호, 85-125.
  • 진향희 (2021, 12, 13). 이영애의 경이로운 변신 ‘구경이’가 남긴 것. <스타투데이>. https://www.mk.co.kr/star/hot-issues/view/2021/12/1131634/
  • 최서은 (2023, 1, 26). K-드라마 여주의 다채로운 변화, 외신은 어떻게 봤을까. <경향신문>.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301261559001
  • 최현주 (2008). 텔레비전 드라마에 된 성역할의 전도(reverse)와 그 함의-남성 전업주부 드라마 〈불량주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2권 4호, 401-438.
  • 최혜진 (2022, 12, 27). '우영우'→'슈룹'이 보여준 여성 서사의 힘 [2022 드라마 결산③]. <스타뉴스>. https://v.daum.net/v/20221227133614297
  • 한수진 (2023, 2, 9). 전도연 vs 이보영, 여성 서사의 메이저리거. <아이즈>.
  • 홍석재 (2010, 10, 24).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 ‘동성애 언약식’ 가위질. <한겨레>.
  • 홍지아 (2009). TV드라마에 나타난 모성재현의 서사전략과 상징적 경계의 구축. <한국방송학보>, 23권 6호, 284-322.
  • 홍지아 (2010).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된 여성의 몸 담론.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9호, 122-143.
  • 황남경 (2023, 1, 17). "결혼에 진심인 여성 캐릭터는..." CNN이 'K-드라마 여성 캐릭터'가 왜 더 강하고 능동적으로 변화하는지, 그 이유를 분석했다. <허프포스트코리아>.
  • Badinter, E. (1980). (L')amour en plus: histoire de l'amour maternel, XVIIe-XXe siecle. Paris: Flammarion. 심성은 (역) (2009). <만들어진 모성>. 서울: 동녘.
  • Ellis, K. (2019). Disability and digital television culture. Taylor & Francis. 하종원·박기성 (역) (2022). <장애와 텔레비전 문화>. 서울: 컬처룩.
  • Kozoloff, S. (1987). Narrative theory and television. In R. Allen (Ed.), Channels of discourse: Television and contemporary criticism (pp. 67-100). Chapel Hill, 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김훈순 (역) (1992).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서울: 나남.
  • Mikos, L. (2003). Film-und Fernsehanalyse. Utb. 정민영·김종대·김형래·김혜숙·류용상·백인옥·서유정·신혜선·임우영·주미경 (역) (2015). <영화와 텔레비전 분석 교과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Ruddick, S. (1995). Maternal thinking: Toward a politics of peace. New York, NY: Norton. 이혜정 (역) (2002). <모성적 사유: 전쟁과 평화의 정치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