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archive

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 No. 1

[ New Media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1, pp. 113-164
Abbreviation: KSJCS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19
Received 07 Dec 2018 Revised 25 Jan 2019 Accepted 30 Jan 2019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1.004

사회문제 해결을 논할 수 있는 온라인 공론장의 구조적 조건
강주현** ; 임영호***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강사, 제1저자 (kmunhak@hanmail.net)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교신저자 (yhoim@pusan.ac.kr)

Structural Conditions of Online Public Sphere for Constructive Discussions of Social Issues
Ju Hyun Kang** ; Yung-Ho Im***
**Instructor, Dept. of Communi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kmunhak@hanmail.net)
***Professor, Dept. of Communi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yhoim@pusan.ac.kr)

초록

이 연구는 온라인 공간에서 사회적 이슈에 관한 상반된 정보를 접한 온라인 이용자들이 어떻게 토론을 하고, 온라인 공간의 여론 전개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V토론 시청자 게시판을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온라인 토론의 중심 현상은 “의견 진영화”와 “문제 해결책 논의”가 있었다. 온라인 이용자들은 각자의 정치 진영, 이해관계, 도덕규범을 기준으로 의견을 밝혔고, 이런 의견이 상반된 입장의 진영을 이루었다. 그런데 사회적 이슈가 온라인 이용자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고, 문제 해결 의지에 공감대가 넓으면 온라인 이용자들은 문제 해결책을 주로 논의했다. TV토론은 온라인 게시판의 논의에서는 입장 비중의 변화에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의견 진영화가 이루어진 이슈에서 TV토론이 도덕적 속성을 부각할수록 게시판의 논의 역시 도덕적인 쟁점에 집중하며 상대측 패널이나 게시자에 대한 비난이 늘어났다. 하지만 TV토론이 이슈와 관련된 이해관계 차이를 부각하거나, 소수 입장에 유리한 정보와 논리를 제공하면 온라인 게시판에서 소수 입장의 이용자들도 의견을 드러내며 침묵 현상의 균열이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공간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숙의 공론장이 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탈도덕적 접근, 삶과 밀접하고 다양한 이해관계가 반영될 수 있는 정보, 차이의 공존 모색이라는 조건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online users react to TV debates on social issues, thus leading to the formation of online public opinion. For this research question, the authors selected 12 issues from televised debates on three major Korean television channels in 2012, and analyzed postings on the online bulletins for the programs, based on grounded-theory method. As a result, the “central phenomenon” turned out to be "polarization of opinion blocks“ and "probing solutions for the problems." In most issues, online users tend to formulate opinions based on their preference for political camps, group interests, and moral norms, and thus a polarization of opinion blocks is prevalent in online debates. However, when agenda are concerned with practical issues of their daily lives, or there emerges a consensus with regards to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 online discussions attempt to converge on the ways to probe practical measures. In general, online discussions bring about limited changes in the relative composition of positions on the issues. Furthermore, a moralization of the issues in TV debates induces online discussions to focus on moral-ethical aspects of the issues and yield moral blamings on other opinions. Nevertheless, when TV debates underscore areas of group interests in the issues, or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nd logics useful for minor opinions, minorities are likely to express their opinion more actively.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for a revitalization of the ideal of online public sphere.


Keywordsdeliberative public sphere, the spiral of silence, Online discussion, online public opinion process
키워드: 숙의 공론장, 침묵의 나선 효과, 온라인 토론, 온라인 여론 전개, 이슈의 속성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강주현의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사회적 이슈에 관한 온라인 토론과 여론 전개 과정>을 압축해서 수정, 보완한 논문입니다. 박사논문 심사 과정에서 수정 조언을 해 주신 교수님들, 학술지 심사과정에서 꼼꼼한 조언을 해 주신 세 분 심사위원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References
1. 강철희·김미옥 (2007). 부유층의 기부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9권 2호, 5-38.
2. 김예란 (2010). 감성공론장: 여성 커뮤니티, 느끼고 말하고 행하다. <언론과 사회>, 18권 3호, 146-191.
3. 김선욱 (2001). 한나 아렌트의 판단이론과 의사소통적 합리성. <사회와 철학>, 2권, 255-278.
4. 김수경 (2015). 이주민 문제의 정치적 탈이념화. <한국사회학>, 49권 1호. 77-110.
5. 김수정·김예란 (2008). 사이버 공론장들의 젠더성과 담론 구성의 특징. <미디어, 젠더 & 문화>, 10권, 5-36.
6. 김은미·양정애·임영호 (2012). 온라인 뉴스환경에서의 이용자 참여와 속성의제 설정: 인지적 속성과 정서적 속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6권 3호, 94-134.
7. 김은미·이주현 (2011). 뉴스 미디어로서의 트위터: 뉴스 의제와 뉴스에 대한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6호, 152-180.
8. 김재현 (1994). 위르겐 하버마스. <진보평론>, 10호, 61-92.
9. 김종길 (2005). 사이버공론장의 분화와 숙의 민주주의의 조건. <한국사회학>, 39권 2호, 34-68.
10. 김현석·이준웅 (2007). 인터넷 정치 토론의 담론적 특성. <한국언론학보>, 51권 4호, 356-384.
11. 김현정 (2011). CMC(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s) 상황의 여론화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3권 2호, 94-133.
12. 노성종·민영 (2009). ‘숙의’와 ‘참여’의 공존: 대화의 숙의수준에 따른 정치적 이견의 경험과 정치 참여의 관계 탐색. <한국언론학보>, 53권 3호, 173-197.
13. 류성진·고흥석 (2007). 전자게시판 토론 참여자의 토론 능력과 숙의적 토론과의 관계. <언론정보연구>, 44권 1호, 5-35.
14. 문병훈 (1996). 하버마스의 규범적 커뮤니케이션 모델과 그 언론학적 수용. <한국언론학보>, 38권. 249-296.
15. 박경숙·이관열 (2012). ‘편향적’ 여론 환경의 인지와 의견표명에 대한 연구: 미국 소고기 수입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6권 3호, 458-494.
16. 박선희·한혜경 (2008). 의견, 여론지각, 지각 편향이 공개적 의견표명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42권. 168-204.
17. 박성희·박은미 (2007). 인터넷 공간에서의 이슈 유형별 여론지각과 의견 표명에 관한 연구: 인터넷 여론조사와 게시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9권, 284-323.
18. 박승관 (2000). 숙의 민주주의와 시민성의 의미. <한국언론학보>, 45권 1호, 162-194.
19. 박은희·이수영 (2002). 사이버 공간의 특성과 의제 전개과정: 일반 네티즌 공간과 참여 네티즌공간의 차이. <한국언론정보학보>, 18권, 99-130.
20. 박홍원 (2012). 공론장의 이론적 진화. <언론과 사회>, 20권 4호, 179-229.
21. 반 현 (2004). 선거 후보자의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2차 의제설정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8권 4호, 175-197.
22. 반 현·McCombs M. E. (2007). 의제설정 이론의 재고찰: 5단계 진화 모델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 3권 2호, 7-53.
23. 변상호·정성은 (2012). 실명성, 직업상 조직 소속 여부, 개인의 정치적 성향이 SNS공간에서 의사표현 위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6권 4호, 105-132.
24. 배 영 (2006). 사이버 공간의 공론장과 공익의 증진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17권, 47-76.
25. 석승혜·장예빛·유승호 (2015). 한국의 중도 집단은 탈도덕적인가?. <한국사회학>, 49권 5호, 113-149.
26. 양정애·김은미·임영호 (2012). 온라인 환경에서의 뉴스 프레임 형성: 뉴스 토픽과 작성에 따른 차이. <한국언론학보>, 56권 1호, 264-288.
27. 원용진·이수엽 (2009). 인터넷 공론장의 현실적 기술(記述)을 위한 이론적 제안: 의사소통적 ‘합의’에서 ‘협력’으로. <언론과 사회>, 18권 3호, 71-109.
28. 유성애 (2017). <해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9. 유용민 (2013). 경합적 민주주의 이론의 비판적 수용: 숙의적 접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1권 4호, 5-45.
30. 윤영철 (2000). 온라인 게시판 토론과 숙의 민주주의. <한국방송학보>, 14권 2호, 109-150.
31. 윤영철·송현진·강기호·박민아 (2010). 숙의 민주주의를 위한 온라인 토론의 조건: 평가지표를 적용한 온라인 토론 비교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7권 2호, 121-172.
32. 음수연 (2003). <온라인 토론을 통한 여론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인터넷의 매체적 특성과 온라인 토론 참여자의 이슈에 관한 관여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건호·유찬윤·맥스웰 맥콤스 (2007). 의제설정이론의 정향욕구 개념에 대한 탐구적 제언. <한국언론학보>, 51권 6호, 411-438.
34. 이동훈 (2007). 뉴스 수용자에 대한 포털뉴스의 의제설정효과 연구: 북핵보도 관련 종미신문의 의제 전이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1권 3호, 328-357.
35. 이동훈 (2009). 숙의적 공론장으로서 블로그 공간의 의사소통적 관용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3권 4호, 27-49.
36. 이민웅 (2006). 숙의적 방송 커뮤니케이터 모델: 숙의 민주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권 1호, 285-321.
37. 이범준·조성겸 (2015). 소통의 질 측정 방법의 타당성 검토. <커뮤니케이션 이론>, 11권 1호, 144-185.
38. 이숙정·이경아 (2007). 특수교육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이론과 실제. <정신지체연구> 9권 1호, 123-147.
39. 이재현 (2004).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세계: 뉴미디어란 무엇인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0. 이종혁·최윤정 (2012). 숙의(deliberation) 관점에서 본 인터넷 토론 게시판과 글 분석: 의견 조정성 예측을 위한 다수준모델(multi-level model) 검증. <한국언론학보>, 56권 2호, 405-435.
41. 이준웅 (2001). 여론 환경에 관한 인식과 정치적 의견 표명. <한국방송학보>, 15권 1호, 199-236.
42. 이준웅·김은미 (2006). 인터넷 게시판 토론과 정치 토론 효능감. <한국언론학보>, 50권 3호, 393-423.
43. 이준웅·김은미·문태준 (2005). 숙의 민주주의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규제적 조건과 인터넷 토론의 양과 질: 제17대 총선 관련 인터넷 게시판 토론을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49권 1호, 29-56.
44. 이창호·정의철 (2009). 공론장으로서의 인터넷 카페 게시판의 가능성과 한계:‘쭉빵클럽’과‘엽기 혹은 진실’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9권 3호, 388-424.
45. 정일권·김지현·이연주 (2009). 여론조사 보도가 여론지각과 의견표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성형수술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1권, 157-194.
46. 조맹기 (2007). 하버마스(Juergen Habermas)의 공론장 형성과 그 변동: 공중의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8권, 70-105.
47. 조항제·박홍원 (2010). 공론장-미디어 관계의 유형화. <한국언론정보학보>, 50권, 5-28.
48. 최영·이종민·김병철 (2002). 인터넷 신문의 공론장 역할에 관한 연구: 토론 참여자의 익명성과 토론 매개자의 신분이 토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권 2호. 115-158.
49. 최정숙 (2003). <여성의 이혼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 논문.
50. 한혜경 (2003). 여론 지각 매체로서 인터넷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조선과 오마이뉴스 독자 집단의 의사합의 지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7권 4호, 5-33.
51. 황유선 (2013a). 선택적 노출 행위를 통해 바라본 트위터 공간의 이념적 양극화. <한국언론학보>, 57권 2호, 58-79.
52. 황유선 (2013b). 진보적 정치 성향과 정치 지식은 정치 대화를 촉진하는가?: 트위터 매개 정치 대화와 트위터 연계 정치 대화에 관한 영향력 탐색. <한국언론학보>, 57권 3호, 221-248.
53. Ackerman, B. & Fishkin, J. S. (2004). Deliberation day. New Haven &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54. Arendt, H. (1958). The human condition. 이진우 역 (2007). <인간의 조건>. 서울: 한길사
55. Babbie, E. (2010).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2 ed). Belmont, CA: Wadsworth.
56. Castells, M. (2001).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7. Charmaz, K. (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박현선 외 역 (2013). <근거이론의 구성: 질적분석의 실천 지침>. 서울: 학지사.
58.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California: Sage.
59. Creswell, J.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California: Sage.
60. Creswell, J.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2nd. ed.). 조흥식 외 역 (2010)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서울: 학지사.
61. Dahlgren, P. (2009). Media and political engagement: Citizens, communication, and democracy. New York: Cambridge.
62. Fox, J. & Warber, K. M. (2015). Queer identity management and political self-expression on social networking sites: A co-cultural approach to the spiral of sil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65, 79-100.
63. Fishkin, J. (2009). When the people speak: Deliberative democracy & Public consultation. UK: Oxford.
64. Garrett, R. K. & Stroud, N. J. (2014). Partisan Paths to Exposure Diversity: Differences in Pro- and Counterattitudinal News Consump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64, 680-701.
65. Glaser, B. G. & Strauss, A. L. (1999).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이병식 외 공역 (2011). <근거이론의 발견: 질적 연구전략>. 서울: 학지사.
66. Gonzenbach, W. & Stevenson, R. (1994). Children with AIDS attending public school: An analysis of the spiral of silence. Political Communication, 11, 3-18.
67. Gonzenbach, W. J., King, C., & Jablonski, P. (1999). Homosexuals and the military: Ananalysis of the spiral of silence. Howard Journal of Communications, 10(4), 281-296.
68. Harbermas, J. (1991).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Untersuchungen zu einer kategorie. 한승완 역 (2011). <공론장의 구조 변동>. 서울: 나남.
69. Hayes, A. F. (2007). Exploring the forms of self-censorship: On the spiral of silence and the use of opinion expression avoidance strategies. Journal of Communication, 57(4), 785-802.
70. Herring, Susan C. (1993). Gender and democracy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lectronic Journal of Communication. 3(2) also In R. Kling (Ed.). (1996), Computerization and controversy: value conflicts and social choices, 2nd Ed. San Diego, CA: Academic Press, pp. 476-489.
71. Ho, S. S. & McLeod, D. M. (2008). Social-psychological influences on opinion expression in face-to-face an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search, 35, 190-207.
72. Jacobson, S. (2013). Does audience participation on Facebook influence the news agenda? A case study of the Rachel Maddow Show.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7(3), 338-355.
73. Kim, S. H., Kim, H. B., & Oh, S. H. (2014) (2014). Talking about genetically modified(GM) foods in South Korea: The Role of the internet in the spiral of silence process.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17, 713-732.
74. Knobloch-Westerwick, S. & Meng, J. (2011). Reinforcement of the political self through selective exposure to political messages. Journal of Communication, 61, 349-368.
75. Lasorsa, D. L. (1991). Political outspokenness: Factors working against the spiral of silence. Journalism Quarterly, 68(1/2), 131-140.
76. Lee, E. J. (2007). Deindividuation effects on group polariza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he role of group identification, public self-awareness and perceived argument quality. Journal of Communication, 57, 385-403.
77. Lippman, W. (2004). Public opinion. New York: Dover publications. (Original work published 1922).
78. Louis, W. R., Duck, J. M., Terry, D. J., & Lalonde, R. N. (2010). (2010). Speaking out on immigration policy in Australia: Identity threat and the interplay of own opinion and public opinion. Journal of Social Issues, 66(4), 653-672.
79. Matthes, J., Rios, M. K., & Schemer, C. (2010). (2010). A spiral of silence for some: Attitude certainty and the expression of political minority opinions. Communication Research, 37(6), 774-800.
80.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양승찬, 이강형 공역 (2007).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 나남.
81. McCombs, M. (2004). Setting the agenda: The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Cambridge: UK Polity Press.
82. Meraz, S. (2011). Using time series analysis to measure intermedia agenda-setting influence in traditonal media and political blog network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88(1), 176-194.
83. Mouffe, C.(1993). The return of the political. London: Verso. 이보경 역 (2007). <정치적인 것의 귀환>. 서울: 후마니타스.
84. Noelle-Neumann, E. (1993). The spiral of silence: Public opinion-our social skin (2nd ed).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5. Salwen, M. B. (1990). News media and public opinion: Benign agenda-setters? Opinion molders? Or simply irrelevant?. Florida Communication Journal, 18(2), 16-23.
86. Shanahan, J., Scheufele, D., Yang, F., & Hizi, S. (2004). Cultivation and spiral of silence effects: The case of smoking. Mass Communication & Society, 7(4), 413-428. Strauss, A. L. (1987).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 Strauss, A. & Corbin, J. (1990).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ve criteria. Qualitative Sociology, 13(1), 3-21.
88. Stroud, N. J. (2007). Media effects, selective exposure, and Fahrenheit 9/11. Political Communication, 24, 415-432.
89. Stroud, N. J. (2008). Media use and political predispositions: revisiting the concept of selective exposure. Political Behavior, 30, 341-366.
90. Stroud, N. J. (2010). Polarization and Partisan Selective Exposure. Journal of Communication, 60, 556-576.
91. Sunstein, C. R. (2009). Going to extremes: How like minds unite and divide. UK: Oxford. 이정인 역 (2011). <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 서울: 프리뷰.
92. Trope, Y., Liberman, N., & Wakslak, C. (2007). Construal levels and psychological distance: Effects on representation, prediction, evaluation, and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7(2), 83-95.
93. Wallsten, K. (2007). Agenda setting and the blogspher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stream media and political bolg. Review of Political Research, 24(6), 567-588.
94. Yang, X. & Li, L. (2016). Will the spiral of silence spin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 experiment on opinion climate, fear of isolation and outspokenness. China Media Research, 12(1), 79-87.
95. Yun, G. W. & Park, S. Y. (2011). Selective posting: Willingness to post a message onlin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6, 201-227.
96. KBS (2012). 생방송 심야토론 [On-line], Available: http://www.kbs.co.kr/1tv/sisa/toron/
97. MBC (2012). 100분 토론 [On-line], Available: http://www.imbc.com/broad/tv/culture/toron/
98. SBS (2012). 시사 토론 [On-line], Available: http://tv.sbs.co.kr/opi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