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archive

Th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 No. 1

[ Brdadcast Contents / Culture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Vol. 63, No. 1, pp. 286-324
Abbreviation: KSJCS
ISSN: 2586-736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19
Received 12 Oct 2018 Revised 25 Jan 2019 Accepted 30 Jan 2019
https://doi.org/10.20879/kjjcs.2019.63.1.009

장애인 관련 영상제작자 및 활동가들의 ‘소수자-되기’에 대한 미디어 비오그라피 연구 : 미디어의 장애인 재현과 제작 활동을 중심으로
강진숙** ; 김동명***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jskang1@cau.ac.kr)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연구조교 (simalo0422@gmail.com)

Media Biography of ‘Becoming minority' of video producers and activists related to the handicapped : Focusing on reproduct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of the disabled of media
Jinsuk Kang** ; Dongmyeong Kim***
**Professor, Chung-Ang University (jskang1@cau.ac.kr)
***Research Assistant, Chung-Ang University (simalo0422@gmail.com)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영상 제작자의 미디어 제작활동과 생애전환점 분석을 통해 미디어의 장애인 재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소수자-되기 실천의 함의들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논의에서 프랑스 후기구조주의 사상가인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과타리(Félix Guattari)의 소수자 이론을 검토한 후 이탈리아의 정치철학자인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의 ‘호모 사케르(Homo Sacer)’의 사유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장애인 영상제작자와 인권동호회 영상제작자들을 연구 참여자들로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미디어 비오그라피 연구를 적용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미디어의 장애인 재현과 주체적인 미디어 제작 활동들을 생애사적으로 분석하여 한국 사회의 장애인 미디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roblems of representing the disabled in the media, suggest the improvement and to derive implications of ‘Becoming minority’ practice through analyzing the media production activities by the disabled and the turning point in life of the disabled producers. For that, this study will examine the minority theory of Gilles Deleuze and Félix Guattari, the late post-structuralist thinkers of France, and explore thought of ‘Homo Sacer’ suggested by Italian political philosopher Giorgio Agamben. Based on this, we will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selected disabled people who produce video and people who belong to human rights groups for video production. This study apply the media biographical research which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analyzing result of intervi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to improve the media environment of the disabled in Korean society by analyzing the reproduction of the disabled in the media and subjective media production activities by the disabled.


KeywordsDisabled, Video Production, Minority, Media Biography
키워드: 장애인, 영상제작, 소수자, 미디어 비오그라피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도 중앙대학교 연구장학기금 지원에 의한 것임


References
1. 강주현·임영호 (2012). 한국 영화에 나타난 장애인의 스테레오타입. <한국소통학보>, 15권 2호, 5-40.
2. 강진숙 (2014). 미디어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시론: “미디어정동(精動, affectus) 능력”의 개념화를 위한 문제제기.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3호, 195-221.
3. 강진숙 (2015). 정동의 장치와 주체화 연구방법 – 미디어 비오그라피. <커뮤니케이션이론>, 11권 4호, 4-37.
4. 강진숙 (2016).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연구의 주사위: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지금.
5. 강진숙·박지혜 (2015). 청소년의 욕망 생성과 소수자 되기를 위한 미디어교육 사례 연구 – 청소년 미디어 동아리 ‘S.Y.Media’참여자들의 인식과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5권 7호, 117-148.
6. 김미정 (2001). <한국영화에 나타난 장애인의 자아의식과 차별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비아 (2007). <들뢰즈·가타리의 ‘되기’의 정치학이 지닌 교육적 함의>.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상지 (2018, 3, 14). 장애인 낙인찍은 ‘장애등급제’...내년 7월부터 단계적 폐지. <에너지경제>. URL: http://www.ekn.kr/news/article.html?no=349032
9. 김용탁·김정연·고인철 (2016).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 (현장연구 2016-02). 성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10. 김윤상 (2013).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프로젝트 연구 I. <카프카연구>, 통권 30호, 283-301.
11. 김정선 (2004). <영화에 나타난 장애인 등장인물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영화와 미국영화를 중심으로>.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연 (2017). <장애인들의 다중 형성과 소수자 미디어교육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들뢰즈와 가타리의 소수자론과 네그리와 하트의 다중지성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형태 (2010). 미디어속의 장애인의 모습. <초암네트웍스>, 24권 3호, 108-113.
14. 김효경·박소영 (2018.03.12). 신의현 첫 메달 장면, 방송사 한 곳도 중계 안 했다. <중앙일보>, 10면.
15. 김흥주 (2004). <한국영화에 나타난 장애인 이미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고창환 (2009). <개인, 사회적 관계 상황에서 청각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장애인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7. 고춘완 (2005). 장애인운동의 전개과정과 그 특징: 2000년 이후 몇 가지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진보평론>, 26호, 231-256.
18. 박홍근 (2017). 영화에서 재현되는 시각장애인의 이미지와 성차 : 2000년대 이후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44집, 423~451.
19. 양정혜·노수진 (2012). 휴먼 다큐멘터리가 재현하는 장애인 – KBS 인간극장에 나타난 장애인 내러티브 분석. <한국방송학보>, 26권 3호, 371-415.
20. 오창호 (2014). 소셜 미디어와 유목적 삶 – 들뢰즈·가타리 욕망이론의 관점에서 본 소셜 미디어 문화현상. <한국지역언론학보>, 14권 4호, 189-231.
21. 윤지선 (2016). 장기-몸(intestins-corps)의 봉기로서의 출산 – 들뢰즈와 가따리의 ‘기관없는 신체’ 이후. <철학연구>, 115호, 165-196.
22. 이경화 (2013). Deleuze와 Guattari의 ‘여성-되기’의 관점에서 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아시아여성연구>, 52권 1호, 67-86.
23. 이익섭·신은경 (2005). 장애 정체성 개념화 연구: 포커스 그룹 면접과 심층 면접을 중심으로. <건강>, 10권 4호, 509-530.
24. 이진경 (2006). <철학의 외부>. 서울: 그린비.
25. 이해인 (2018, 7, 10). ‘기봉이’ 흉내 개그, 시청자들이 화났다. <조선일보>, 25면.
26. 정근식 (2013). 차별 또는 배제의 정치와 ‘소수자’의 사회사 재구성. <경제와 사회>, 통권 100호, 183-208.
27. 최애경·박승희 (2004).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통합풍물 연계프로그램이 비장애 고등학생의 장애 고등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0권 1호, 279-314.
28. 최진주 (2018, 3, 9). 휠체어로 지하철 환승, 40분이나 걸렸다. <한국일보>, 13면.
29. Agamben, G. (1995). Homo Sacer. II potere sovrano e la nuda vida. 박진우 (역) (2008). <호모 사케르: 주권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서울: 새물결.
30. Agamben, G. (2005). Profanazioni. 김상운 (역) (2010). <세속화 예찬: 정치미학을 위한 10개의 노트>. 서울: 난장.
31. Agamben, G. (2006). Che cos’é un dispositivo?, L’amico, Che cos’é il contemporaneo? 양창렬(역) (2010). <장치란 무엇인가?: 장치학을 위한 서론>. 서울: 난장.
32. Barnes, C. (1992). Media Guidelines. In: Pointon, A. and Davies, C. (eds.) (1997). Framed: Interrogating Disability in the Media. London: British Film industry. pp.228-233.
33. Deleuze, G. & Guattari, F. (1972). L’Anti-Oedipe: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 김재인 (역) (2014). <안티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분열증>. 서울: 믿음사.
34. Deleuze, G. & Guattari, F. (1980). Mille palteaux: Capitalisme et shchizophrenie 2. Les Editions de Minuit. 김재인 (역) (2001).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서울: 새물결.
35. Denzin, N. K. (1978). Research Act, 2nd ed. New york: McGraw-Hill.
36. Ellis, K. (2015.07.08). The Voice, and the body: contesting with disability on reality TV [On-Line]. Online Journal of THE CONVERSATION. Retrieved from https://theconversation.com/the-voice-and-the-body-contesting-with-disability-on-reality-tv-44413
37. Foucault, M. (2003). Le pouvoir psychiatrique: Cours au CollCollége de France, 1973-1974. paris: Gallimard. 오트르망(심세광, 전혜리) (공역) (2014). <정신의학의 권력: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3-74년>. 서울: 난장.
38. Foucault, M. (2004). Naissance de la biopolitique: Cours au Collége de France, 1978-1979. NY: Palgrave Macmillan. 심세광·전혜리·조성은 (공역) (2011).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8-79년>. 서울: 난장.
39. Gray, C. (2009). Narratives of Disability and the Movement for Deficiency to Difference. Cultural Sociology, col.3, 317-332.
40. Kellner, C. E., Hallahan, D. P.(1990). The coverag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American Newspaper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4, 272-282.
41. Metcalf, F. (2002). Tears of Courage, the Courier Mail, 4-5.
42. Nelson, J. (1994). The Disabled, the Media, and the Information Age. Westport, CT: Greenwood Press.
43. René Descartes (1637). Discours de la Méthode. 권오석 (역) (1993). <방법서설>. 서울: 홍신문화사.
44. Oliver, M. (1990). The Politics of Disablement. London: the Macmillan Press.
45. Shakespeare, T. (1999). Art and lies?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on film. In: Corker, M. and French, S. (eds.) Disability Discourse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164-172
46. Safran, S. P. (1998). “The first century of disability portrayal in film: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7. Spinoza, Benedict de (1675). Ethica. 강영계 (역) (1990). <에티카>. 서울: 서광사.
48. United Nations (2008).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Rights and Dign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G.A. Res. 61/106, Annex I, U.N. GAOR, 61st Sess., Supp. No. 49, at 65, U.N. Doc. A/61/49 (2006), entered into force May 3, 2008. Retrieved from http://www.un.org/disabilities/documents/convention/convoptprot-e.pdf
49. Vollbrecht, R. (1993). Lebensläufe und sozialer Wandel. Das Krisenkonzept der Erfahrung als Grundlage medienbiographsicher Reflexion. In Thier, M. & Lauffer, J. (Hrsg.). Medienbiographien im vereinten Deutschland. Dokummentation der Postsdamer Tagung vom Febr (PP. 10-27). Bielefeld.